과연 올 한 해 가장 화제가 된 이슈는 무엇이었을까? 세밑의 sbs스폐셜은 그 주제를 2018년의 시작을 떠들썩하게 시작하여, 귀신처럼 사라져 버린 열풍, 암호 화폐, 비트코인 열풍을 추적한다. 

안하면 바보였다. 누구라도 발 빠르게 시작한 사람은 돈을 만졌다는데, 몇 분 만에 일확천금을 벌었다 하고, 그 돈 번 '인증샷'이 빈번하게 올라왔던, 곧 더 이상 우리가 쓰는 지폐나 카드 대신 새로운 금융 시스템과 화폐 질서가 등장할 것이라던 전망이 등장하고, 혹여 나만 그 빠른 물결에 뒤처져있는 건 아닌가 하고 자조적인 생각을 한 게 엊그제 같았는데, 2018년이 저무는 이즈음 그 열풍의 흔적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마치 '볼드모트'처럼 게눈 감추듯 사라져 버린 열풍, 그 많던 돈 벌었다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다큐는 그 '돈 벌었다던' 사람들을 찾아 나선다. 젊어 투자라는 닉네임을 가진 문주용 씨, 비트코인 데이 트레이더인 그는 자신의 경험을 책으로 펴낸바 있는 이른바 슈퍼 개미다.  3000만원으로 시작하여 한 때는 2분 만에 4000만원을 벌기도 했던, 그게 아니라도 1억 5천만원을 들여 장비를 갖춰 이른바 '채굴(거래 내용을 암호화한 걸 수많은 수의 조합을 맞춰 풀어 그 보상으로 비트코인을 얻는 방식이 금을 캐는 방식과 유사하다 하여 붙인 이름)'을 해서 순수익이 1억이 넘게 벌었던, 그랬던 그도 연일 계속되는 하락장에 맥을 못춘다. '채굴'을 위해 갖췄던 장비도 전기세를 감당못해 처분했다. 그도 말한다. 정작 수익을 냈다는 사람은 보지 못했다고. 대신 돈 잃었다는 사람들만 난무한다고. 

일확천금에의 일장춘몽
2009년 1월 처음 등장한 암호 화폐 비트코인, 그로 부터 10년 만에 2000%나 상승했다. 비트코인이 오르자 다른 코인들도 더불어 들썩였다. 하루에 300에서 3000%까지 상승하며 하룻밤에 수억을 벌었다는 사람들이 너도 나도 '인증샷'을 올리자, 대출받아 뛰어든 사람들이 생겨났다. 

그때 뛰어든 대학생 3인이 있었다. 이성묵, 김동운 등, 하지만 이제 그들은 더 이상 그곳에 있지 않다. 주식 시장과 달리 24시간 장이 열리는 암호 화폐 시장, 쉽게 접근이 가능한 그곳에 젊은 층과 초보 투자자들이 열광했다. 중독성이 강한 그 시장, 더 이상 그곳에 머물지 않는 그들은 비트 코인을 '내 손안의 카지노'라 정의내린다. 

그 '내 손안의 카지노'에서 일장춘몽을 꾼 사람이 있다. 보험을 해약하고 마이너스 통장을 만들어 뛰어든 차형민 씨, 일주일만에 다섯 배를 벌고, 4억 가까이 수익을 냈다. 이게 '로또'구나 싶었다. 하지만 그 꿈은 2주만에 끝났다. 1억이 759만 원이 되어버리는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하지만 비트코인으로 수억을 주무르던 그는 1억의 손실이 실감이 나지 않았다고 한다.  1억을 잃고 은행에서 독촉전화를 받는 지금에서야 자신이 꾼 게 일장춘몽이었음을 실감한다. 

27살의 김민석 씨는 1년을 뼈빠지게 고생하여 7천만원을 벌고, 그 돈을 1년만에 다 날렸다. 돈만 날린 게 아니다. 삶의 의미도 잃었다. 33살의 나민영 씨는 수익이 생길 때마다 현금화하여 시계니. 차니, 카메라니 '소확행'을 즐겼다. 하지만 잠자는 시간이 아까울 정도의 초조함과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외줄타기'하는 기분이라 호소한다. 

 

 

비트코인이 뭐길래? 
지금까지 거래는 '은행'이라는 기관을 통해서만 이루어져 왔었다. 이런 중앙 집중 기관 없이 시스템에 참여하는 사람들끼리 공동으로 거래 정보를 기록 , 검증, 보관하는 4차 산업 혁명의 핵심인 '분산 장부' 기술을 '블록 체인;이라 하고, 이 블록 체인에 참여하는 보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암호 화폐'이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올 한 해 우리나라를 들썩이게 했던 '비트 코인'이다. 

비트코인 열풍에 발맞춰 지난 1월 18일 jtbc 뉴스룸에서는 유시민,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 등을 초빙하여 토론을 벌였고 이 토론 자체가 비트 코인 열풍과 함께 화제가 된 바 있다. 일찌기 유시민 작가는 tvn의 알쓸신잡에서 비트코인 열풍을 17세기 튤립 버블의 21세기 글로벌 버전이라 정의내린바 있다. 실물 경제를 잘 모르는 엔지니어들이 만들어 낸 아이디어에 전 세계 사기꾼들이 다 모여들어 장난을 쳐서 돈을 뺏어먹는 과정에 불과하니 정부가 나서서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단정지었다. 

그런 유시민 장관의 의견에 궤를 같이하듯 그로 부터 1년여 12월 15일 정부는 가상 화폐 실명제 추진을 밝히며 시세 조작 자금 세탁 탈세 등 거래 관련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검찰 경찰 금융 당국의 합동 조사를 통해 엄격히 대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홍익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인 홍기훈 씨는 미래에 대한 막연한 믿음에서 시작된 버블에 불과하다며 유시민 작가의 의견에 동조한다. 이리저리 포장하지만 결국 고위험, 고수익의 고변동성 전자 자산에 대한 투기일 뿐이라고 단정짓는다. 당연히 도박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런 홍기훈 교수의 의견은 비트 코인 거래를 하는 대형 거래소의 속임수 등의 범법 행위로 증명된 바 있다. 사람들이 많이 모여든 대형 거래소는 승인받지 않은 코인을 상장하고 그걸 자신들이 샀다 팔았다 사는 방식으로 가격을 올려간다. 그 상승세에 투자자들이 몰리면 한번에 팔고 사라지는 '먹튀'를 하고 그 손실은 고스란히 개미 투자자들 몫이 되고 만다. 지금 현재 우리나라에서만 활동하고 있는 거래소만 100여개가 넘지만 심사나 허가가 없으며, 규제조차도 갖춰지지 않은 현실에서 이른바 '먹튀'는 비일비재하다.

5억만 있으면 만들 수 잇는 거래소, 이렇게 위험 요소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돈을 벌 수 있다며 투자자들이 벌떼처럼 달려든다. 실패했던 사업을 만회하기 위해 뛰어든 이성규 씨도 예외는 아니었다. 부동산의 100배, 1000배를 벌수 있다며 그를 유혹한 건 다른 곳도 아닌 보물섬 인양 해프닝을 벌여 투자금을 모아 '먹튀'했던 신일 그룹이 모태가 된 신일 골드 코인, 얼마되지 않는 투자금에 대번에 감투까지 씌워준 그룹에 이성규씨는 헌신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 결과 그는 떼인 돈을 어떻게라도 일부라도 받아내기 위해 사라진 코인 업체의 주소를 수소문하여 이리저리 헤매이는 중이다. 이성규씨와 같은 사례는 비일비재하다. 30만원을 출금하는데 50억의 수수료를 떼는 비현실적인 조항을 제대로 살펴보지도 않고 덥석 뛰어드는 사람들에게 가상 화폐 시장의 봉이 김선달들은 활개를 칠 수 밖에 없다. 심지어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가상 화폐 사업에 감투를 쓰고 오프 라인에서 투자자를 모으는데 앞장서는 이성규 씨 등처럼 자신들이 피해자인 줄도 모르는 채 '부화뇌동'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

신기술 vs. 사기성 도박
과연 지난 1년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길래. 유튜브에서 암호 화폐 인플루언서(influencer영항력을 주는 개인)로 활약하는 황규호 씨는 현재의 암호 화폐 시장을 피바다라 정의내린다. 하지만 그는 장기적인 기술의 가능성을 믿는다며 자신의 신념을 접지는 않았다.  

신기술에 대한 믿음과 일확천금의 비현실적인 사기성 도박이라는 두 의견이 팽팽한 상황, 1월의 토론에서 유시민 작가에게 완패를 당했다는 세간의 평가를 받았던 정재승 교수, 하지만 그는 지난 12월 29일 중앙일보 칼럼 '4차 산업 혁명은 어떻게 오는가'를 통해 자신의 주장을 다시 한번 펼친다. 

'내년에 전 세계적으로 블록 체인과 암호 화폐에 기반한 생활 체감형 서비스가 등장할 것이다. 제도적으로 이를 준비하지 않으면 혁신의 열매을 만끽할 기회를 다른 나라에 빼앗기게 된다. 지금처럼 거래소를 겁박만 하지 말고, 블록 체인 회사들이 혁신에 도전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물론 정재승 교수도 국민들이 큰 피해를 보지 않도록 거래를 투명하게 할 수 있는 관리 제도와 규정 등 발빠른 대처가 필요하다는데 이견은 없다.  즉 비트코인 등 비정상적인 가상 퐈혜 광풍은 제어하되, 블록 체인 기술은 암호 화폐 뿐만 아니라, 전세계 경제, 금융 시스템에 큰 변화를 가져올 중요한 기술이므로 적극적으로 키워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국내 블록 체인 선구자 박창기 씨 역시 회의적인 의견에 99년에 인터넷 버블이나, 2008년 부동산 버블처럼 2018년의 비트코인 버블은 신기술의 통과 의례라는 입장이다. 과도하게 투자되었다가 거품이 꺼지면 그때 비로소 새로운 금융 제도가 만들어 질 꺼라는 낙관론을 제시한다. 

하지만 현실은 기술에 대한 긍정적 접근보다는 일확천금을 노린 맹목적 투자와 그로 인한 피해의 '버블'이다. 이에 중앙일보 고성일 기자는 암호 화폐로 인한 부작용이 계속 되풀이 되는 이유를 '비트 코인'처럼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부자가 되고 싶어하는 심리에서 찾는다. 그리고 그 '심리'는 어쩌면 바로 한국 사회를 떠받치고 있는 심리이기도 하다. 전후 똑같이 못먹고 못살던 시절, 그 중 누군가는 더 열심히 일해서가 아니라, 더 좋은 줄을 잡아서, 더 좋은 껀수를 잡아서 돈을 벌었다고 생각하는 사회, 부동산 투기를 통해 일궈진 부의 역사, 투자라고 쓰고 투기라고 읽지만, 기꺼이 그 '투기'의 기회를 잡지 못한 게 무능이 되어버린 사회, 그 역사를 보고 배운 것이다. 이렇게 살다가는 흙수저를 면치 못할 거 같아서 시작했다는 데이 트레이더의 자조적인 한 마디, 과연 이런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분위기 속에서, <돈밝히는 책읽기>와 같은 돈공부, 마음 다스림을 통해 그 광풍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by meditator 2018. 12. 31. 12:27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