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회부터 시작되었던 봄이(고아성 분)의 한송 집안 사람 만들기는 14회 스스로 자신의 집안을 조정하고, 그것을 위해 비서 이선숙(서정연 분)을 좌지우지하여 한정호(유준상 분)까지 움직이게 하는 경지에 이르러, 성공적으로 미션이 완료 되었다. 한정호- 최연희(유호정 분) 부부가 원하듯 우생학적 차원에서 봄이를 사돈댁으로 부터 완벽하게 분리시키지는 못했지만, 한송 집안의 사람답게 처신하며 자신의 친정 식구들마저 컨트롤할 줄 아는 인물로 거듭남으로써 한정호를 흡족하게 만들었다. 




'을'들의 고군분투
언니 서누리가 한송 집안 사람으로 거듭나고 있는 서봄을 부러워하며 자신도 신분 상승의 동앗줄을 잡기 위해 재벌가의 자제와 하룻밤을 보내게 된다. 하지만 서누리의 희망과 달리, 그 일은 그저 해프닝으로 한송 주변 사람들은 물론, 서누리 방송국 사람들 사이에서도 웃음거리가 될 뿐이었다. 최후에 이 사실을 알게 된 봄, 언니를 만나 단호하게 말한다. '욕심이 과했다'고. 하지만 봄이의 변화는 식탁에 멀찍이 떨어져 앉은 봄이와 언니의 거리에 있지 않다. 오히려 그 다음, 집으로 가는 차를 세워 이 비서를 다르쳐 한송 집안의 작은 사모님으로서 자신의 권위에 복속시키고, 그녀를 이용해 한정호를 움직여 언니의 치욕을 역전시키는 수완을 발휘하는데서 한정호가 흐뭇해 하는 한송인 서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한송인으로의 거듭남 뒤에는 그간 이 집안에서 수모를 겪으며 며느리로 인정받게 되어 가는 서봄의 입신양명(?)과 함께, 그런 서봄의 존재를 우습게 여기며 힘겨루기를 하려던 이비서의 몰락이 있다. 서봄의 말처럼 처음 한송 집안으로 찾아오던 날 부른 배를 안고 어쩔 줄 모르던 소녀, 한송이 보기에 그저 보잘 것없는 친정을 가진 아이였던 서봄은 어느새 당당한 한송 집안 사람으로 사람을 부릴 줄 알게 되었고, 그런 서봄의 권력 앞에, 결국 자신의 목줄을 매달 수 밖에 없는 '을'임을 자각한 이비서는 무릎을 꿇을 수 밖에 없었다. 

처음 서봄이 한송 집안에 부른 배를 하고 들어와 아이를 낳고, 아이가 백일이 되기 까지가 한송 집안 사람으로서 서봄과 서봄의 집안이 '을'로서의 서러움을 당하는 과정, 즉 한정호의 '갑질'이 유세를 떠는 과정이었다면, 이제 서봄의 영특함을 눈여겨 본 한정호가 적극적으로 그녀를 자신의 집안 사람 만들기에 나서고, 그에 부응하여 서봄이 한송인으로 거듭나는 이후의 과정은, '갑질'에 대응하는 다양한 '을'들의 또 다른 '블랙 코미디' 한 편이 펼쳐진다. 



갑을 관계 속에 무기력해진 을의 존재
가장 대표적인 것은 서봄과 봄이의 집안이다. 마치 양계장에 던져진 벌레처럼 이리저리 쪼이고, 온갖 수모를 당하던 서봄은, 이제 자신이 한송 집안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지는 순간, 가련한 미혼모에서, '작은 사모님'으로 변신한다. 14회에 이른 과정에서 그 누구보다도 가장 철저하게 '을'에서 '갑'으로 변신한다. 한송이 벌이는 '갑질'을 영특한 머리로 습득하여, 바로 실천한다. 

미혼모가 된 딸에 좌절하고, 한송과 사돈을 맺게 되었다는 사실에 희희낙락하다, 그들의 갑질에 분노하던 서봄의 부모와 언니가, 전략을 바꾼 그들의 회유책에 1인 시위를 한다며 한송 앞까지 갔던 아버지가 피켓을 뒤로 숨기고 뒷걸음질 치듯, 적극적으로, 혹은 마지 못해하며 그들이 던진 떡고물에 두 손을 드는 모습은 이 '블랙 코미디'에 빠질 수 없는 한 장면이다. 그들이 자신들에게 벌인 '갑질'에 분노하던 사람들은, 편의적으로 대접해주며 던져준 떡고물에 어느덧 스스로 삼가며 길들여져 간다. 마치 조삼모사처럼, 돈으로 자신을 회유하냐며 분노하던 때가 언제인듯, 회유하듯 부드러운 말로 존중을 해주는 척하자, 한송이 내미는 카드를 덥석 받고, 사업 계획서를 들고 한송의 문턱을 넘는다. 

그런가 하면 애송이 사모님을 만만하게 보고, 거기에 갑질을 해볼까 해보다 큰 코를 다치는 이비서도 있다. 한송을 잘 안다는 이유 만으로 서봄을 만만하게 다루려 하지만, 결국 계급적 위계 질서 앞에, 이비서의 숙련된 노하우도 무기력하다. 

이렇게 서봄과, 그녀의 가족들, 그리고 이비서등이 '갑'질을 내재화시키며, 자기 안의 논리로 그것을 받아들이고, 수용하고, 묵인하는 과정이 벌어지는 한편에서, 한정호에 대항하려 했던 민주영(장소연 분), 봄이의 삼촌(서철식 분), 그리고 변호사 유신영(백지원 분)의 음모는 결국 투항으로 이어졌다. 그들이 어떤 일을 벌이기도 전에, 그들의 획책은 한송의 레이더망에 포착되었고, 결국은 각개격파의 방식으로 저마다 백기를 들고 한송에 순응하고 만다. 

이렇게 각각의 '을'들이 '갑'들에 대항하여 저마다의 전략으로 싸우고, 동화되고, 무너지는 동안, 갑들의 행태는 여전하다. 서봄을 그 집안으로 부터 우생학적으로 분리하고자 하는 혹은 거리를 두고자 하는 한정호네의 노회한 술책은 착착 진행되고, 서봄의 언니를 둘러싼 갑들의 속물적이고 비윤리적인 행태는 달라지지 않는다. 하지만, 그렇게 갑들이 여전함에도, 그들에 맞서는 을들은 각각의 방식으로 '갑'질에 대한 자신의 존재 양태를 모색해 간다. 

계급적 사다리를 성공적으로 올라탄 서봄은 스스로 '갑'이 되었고, 그런 서봄에게 알량한 '갑질'을 하려던 이비서는 자신의 존재를 깨닫고 무릎을 끓는다. 어떻게든 '갑'에 대항해 보려던 서봄네 식구들을 비롯한 민주영, 서철식, 유신영의 몸짓은 투항과 변절의 다양한 양태로 드러날 뿐이다. 

이렇게 한송가를 둘러싼 드라마 속 을들의 다양한 군상들의 고군분투를 보며 씁쓸해 지는 것은 현재 우리 사회에서 보여지는 갑을 관계의 전형적인 모습들을 섬세하게 그려내고 있기 때문이다. 언제인가 부터 '계급'이란 말대신 '갑을'이란 모호한 개념어가 우리 사회를 지배한다. 그것은, 분명하고 뚜렷한 적이 형성된 전선이 다양하게 분화되면서, 사람들은 원자화되고, 고립되어, 개별적 존재로서 각자 삶의 터전 속에서 갑에 대항한 을의 존재로 남기 때문이다. 이비서가 갓 들어온 며느리 서봄에게 '갑질'을 하려던 것처럼, '갑질'은 분명한 계급 대신 그것을 내재화한 사람들을 통해 끊임없이 재생산된다. 사람들은 각자 삶의 현장에서 다양하게 변모된 갑과 마주한다. 서봄은 그런 논리를 영특하게 이해하고, 자신의 존재를 재빨리 깨달아 '갑'을 등극하는가 하면, 그렇지 못한 유신영이나, 민주영, 서철식은 무기력하게 투항한다. 그들은 함께 싸워보려 했지만, 갑들의 각개격파에 개별적으로 무너진다. 결국, <풍문으로 들었소> 속 수많은 을들이 등장하지만, 그들은 저마다의 삶의 조건에서 마주친 갑들에게 손을 든다. 그리고 이런 드라마의 해프닝은, 함께 싸우기가 만만치 않은 우리 사회의 현실을 고스란히 대변한다. 작은 사모님 서봄의 작은 승리가 시청자들의 기쁨으로 이어질 수 없는 이유이다. 그저 서봄은 '을'을 잘 다루는 '갑'이 되었을 뿐이기 때문이다. 

by meditator 2015. 4. 8. 1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