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드신 어르신들이 입버릇처럼 하시는 말씀이 있다. '더 살믄 뭐 하누. 그저 오늘 밤이라도 자다가 조용히 가면 좋겠다'고. 하지만, 당신들이 그런 말씀을 하시는 만큼, 아이러니하게도 당신들의 삶에 대한 집착은 커져 가는 듯 보인다. 매 끼니마다 밥 보다 더 많은 양의 약을 한 움큼씩 드시고, 혹여라도 조금이라도 몸에 이상이라도 생긴다싶으면 득달같이 병원, 그것도 종합 병원을 내 집 드나들듯 하신다. 그렇게 말씀과 다르게 '건강 염려증'으로 삶에 대한 열렬한 욕구를 표출하시는 어르신들을 보면 나이듦이 무서워진다. 그리고 그 무서워짐의 내면에는 '뭐 저 나이 돼서도 저렇게 삶에 연연하나?'라는 선입견이 있다. 


완의 나레이션을 통해 사회적 선입견을 
노희경 작가의 <디어 마이 프렌즈>도 마찬가지다. 이 드라마가 노인들을 주인공으로 삼았음에도 극의 나레이션을 난희(고두심 분)의 딸 완이(고현정 분)에게 맡긴 것은 바로 우리 사회가 노인들을 보는 바로 저 선입견으로 부터 비롯한다. 

급격한 노인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초고속 노령 사회로 진입하는 우리 사회의 변화와 달리, 우리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개념을 정립하지 못했다. 농경 사회 속 '어르신'이었던 노인은 어느 틈에 산업 사회 '뒷방 늙은이'가 되었다가, 이즈음에는 빈곤 노인과 어버이 연합으로 상징되는 소통 불능의 꼰대들로 취급받을 뿐이다. 

그래서 드라마 속 노인들은 누군가의 엄마로, 혹은 집안 어른으로 주로 맡는 역할이 '하드 캐리'한 '안티'캐릭터들이 대부분이다. 언제나 목소리 높은 악독 시어머니의 대명사였던 박원숙씨처럼 말이다. 그런 그들을 노희경 작가는 '인생'이 있는 노년으로 불러온다. 그래서 박원숙씨는 경우없는 시어머니에서 돌아온 거울 앞의 국화같은 노년의, 배포있고 그 배포만큼이나 아량도 넓은 동창생 영원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악독한 시어머니가 넉넉한 마음을 가진 노년의 멋쟁이로 되살아나는 이 이질감을 극복하기 위해 노희경 작가는 난희의 골치덩어리 노처녀 딸 완이를 개입시켜, 노인들에 대한 우리 사회의 감정을 마음껏 풀어댄다. 그래서 그녀는 엄마 난희를 비롯하여, 엄마의 동창생 이모들이 갖가지 해프닝을 벌일 때마다 시청자, 그리고 우리 사회 속 시선에 따라 한껏 '욕'을 해댄다. 

그렇게 완은 외진 시골 도로에서 더 이상 운전을 못하겠다며 자신을 불러댄 희자(김혜자 분) 이모와 정아(나문희 분)이모에게 노인네들이 집에나 있을 것이지, 오밤중에 운전을 하느냐 부터 시작하여 온갖 할 소리 못할 소리를 다해댄다. 말은 완이의 입에서 나오지만, 사실 그들을 보는 시청자의 입장도 그리 다른 건 아닐 터이다. 

아직은 끝나지 않은 노년의 삶
죽기에 좋은 날이라며 빌딩 옥상에 올라간 희자의 처지가 안타까우면서도 한편에서 그럴만도 하다 고개가 끄덕여지는 쓸쓸한 노년의 삶이다. 그들의 여전한 악다구니와 해프닝이 '뭐 나이 들어 저렇게 까지'라는 생각이 들어 더 씁쓸해 지는 상황들이다.

그리고 그 지점에서 희자와 정아의 교통 사고가 있다. 한밤중 고속도로에서 <델마와 루이스> 기분을 내던 정아와 희자는 운전 미숙으로 교통사고를 내고만다. 그리고 너무 놀라 뺑소니를 친다. 운전도 못하는 노인네들의 주책맞은 한밤중 드라이브라는 상황을 뛰어넘은 이 사고를 통해 작가 노희경은 죽을 날이 얼마 남지 않았지만 아직 끝나지 않은 삶으로서의 '노년'을 역설적으로 정의해 낸다. 

빌딩 옥상에 올라 떨어져 죽으려다 떨어지는 자신 때문에 거리의 행인이 다칠까 한강 다리로 자리를 옮겼다가 경찰에 잡혀간 희자는 여전히 삶에 미련이 없다. 하지만, 정작 정아와 함께 사고를 낸 순간 그녀는 아직 자신이 죽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경험한다. 정아의 역설은 다른 지점에서 온다. 뺑소니를 친 사실을 안 완이 자수를 권하자 자신이 친 피해자가 늙어서 다행이라며 어깃장을 놓던 그녀, 하지만, 완의 차 백미러에 비친 역시나 늙은 자신의 모습을 보며 자신으로 인해 혼수상태에 빠진 피해자의 아직 끝나지 않은 노년의 삶에 감정 이입을 한다. 

<디어 마이 프렌즈>가, 그리고 노희경 작가는 이런 죽음의 역설을 통해 우리 사회가 징그러워해 마지 않는 노년의 끝나지 않은 삶에 대한 공감을 제시한다. 하지만 공감에서 그치지 않는다. 삶에 대한 여전한 열망을 깨닳은 두 노인이 선택한 삶의 방식으로 인해 시청자들을 감동시킨다. 

아직은 죽고 싶지 않은 자신을 깨달은 희자, 그녀가 선택한 다음 행보는 자신이 친구 정아 대신 교통 사고를 일으킨 당사자로 자수를 하려는 것이다. 아직 죽지 않은 남편과 그녀의 도움이 필요한 세 딸이 있는 정아와 달리, 막상 자식들에게 유서 한 장을 적으려 해도 딱히 할 말이 없을 정도의 걸리적거릴 것이 없는 자신의 삶을 핑계 대며 친구를 대신하여 감옥에 가려는 것이다. 정아 역시 다르지 않다. 늙은 두 친구가 손을 꼭 잡고 함께 한 경찰서 행은 끝나지 않은 삶을 '욕구'와 욕망'이 아닌 나이가 들어도 여전한 '이타적'일수 있고, '도덕적'인 존재로서의 어른으로 그들의 여전한 삶을 응원하게 만든다. 그리고 뒤늦게 자신의 편견과 선입관을 후회하며 쫓아온 완이를 통해, 우리 역시 '선입관'과 '편견'에서 한 발자국도 움직이지 못했음을 반성하게 만든다. 

이제 4회이지만 <디어 마이 프렌즈>의 노년은 '훈계'나 하며 자신의 존재를 위해 '인정 투쟁'을 하는 뒷방 세대가 아니다. 얼굴의 주름은 자글자글할 지언정, '내일 밭 농사가 더 걱정인' 오쌍분(김영옥 분) 여사처럼 오늘의 삶에 펄떡이는 당대성이다. 완이의 사랑 이야기보다 더 귀추가 주목되는. 
by meditator 2016. 5. 22. 1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