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그저 또 하나의 '알츠하이머'에 대한 이야긴줄 알았다. 바닷물에 발을 담근 채 망연자실한 주인공 박태석 변호사 이성민의 표정, 거기에 '사라질 수록 소중한 것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란 대사가 더해지니, 잘 나가던 변호사가 '기억'을 잃는 불행에 빠지는 이야기인가 보다 했다. 하지만, 불행히도 <미생>, <골든 타임>을 통해 각인된 명배우 이성민이지만, 이미 그의 앞에 여전한 미소년 유승호가 <리멤버-아들의 전쟁>에서 이미 '알츠하이머'를 통해 숱한 시청자들을 울려 버렸다. 그래서 <기억>의 예고편 속의 이성민의 알츠하이머는 그다지 신선하게 다가오지 못했다.
이미 1회에서 이성민이 연기한 박태석의 '알츠하이머'로 시작하는 <기억>이기에 그럴 수 밖에 없었지만, 이미 <리멤버-아들의 전쟁>, 그리고 역시나 tvn의 배종옥이 동일한 질병인 알츠하이머를 연기한 <풍선껌>이 있었기에, <기억>은 후발주자로서의 불리함을 안고 시작했다. 더구나, 극 초반 주인공이 대뜸 걸려버린 병은, '칙칙한 드라마'를 즐겨하지 않는 시청자들에게 리모컨의 향방을 바꿀 빌미를 주었다. 더구나 전작 <시그널>이 센세이션을 불러 일으켰기에, <기억>에 대한 기대는 컸고, 그 기대에 비해 <기억>의 시작은 신선하지도 충격적이지도 않았다.
그저 알츠하이머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었다.
하지만, 오판이었다. <시그널>이 2016년의 센세이셔널한 역작이라면, 그 후속작 <기억>은 '걸작'의 반열에 올려 놓아도 과언이 아닌 작품이었다. 다만, 그 진가를 풀어 헤치는 데, 시간이 필요했을 뿐, 블럭으로 집짓기를 하면, 처음엔 그저 블럭의 조합이었던 것이, 어느 틈엔가 빈틈없는 구조물이 되어 등장하듯이, <기억>은 그 어느 구석에 비집고 들어갈 빈 틈이라고 존재하지 않는 완벽한 작품의 실체를 드러낸다. 마치 안개 속을 헤매다가 어느 틈엔가 우리 앞에 드러난 거대한 성채처럼.
2014년 '세월호 사건' 이래 많은 드라마들이 이 사건을 복기해 왔다. 도대체 벌건 대낮에 숱한 생명들이 사람들이 손놓고 지켜보는 가운데 사라져 갔다는 사실이, 그리고 알고보니 그게 그저 우연히 벌어진 사건이 아니라, 그간 대한민국이란 급행 열차가 가져온 필연적인 사건이었다는 것을 몸서리치게 절감한 작가들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우리 사회에 대해 문제 제기를 했다. 심지어 로코 속 군인의 입에서 조차, 국가의 의무를 훈계하는 세상이 된 것이다. 그리고 영웅적 주인공들은 저마다 사회의 부조리와 불합리한 제도에 대항하여 자신을 던졌다. 그를 통해 드라마들은 우리 사회의 구조화된 정치와 법률, 그리고 자본의 커넥션에 대해 고발했다.
하지만 저마다의 목소리는 높았고 문제 의식은 분명했지만, 그 해법은 오리무중이었다. 악이 전횡을 펼치는 '고구마'같은 전개를 반복하다, 어설프게 '사이다' 한 잔을 제시하는 식이었다. <용팔이>가, <리멤버-아들의 전쟁>이, 그리고 <동네 변호사 조들호>가 그랬다. 하지만, 그 시원한 사이다의 뒷맛은 짧고, 뭔가 쳇바퀴를 도는 듯, 정의와 악에 대한 응징 자체가 클리셰가 되어 가는 듯한 상황이었다.
그저 잘 나가던 변호사의 알츠하이머로 시작된 <기억>이 박태석 변호사의 아들 동우의 미제 사건을 풀어나가며 드러내 보였던 우리 사회의 부조리한 권력 카르텔은 이미 앞선 드라마들과 다르지 않았다. 그리고 역시나 가족의 상처로 부터 시작된 박태석의 진실 찾기라는 구도도 아니었다. 법조계 3세의 교통 사고, 그리고 재벌 3세의 살인 사건까지 이어지는 부도덕한 자본의 민낯 역시 익숙했다.
하지만 <기억>은 알츠하이머를 걸린 변호사 박태석을 통해, 이제 우리 드라마에서 그다지 새롭지 않은 이 담론에 대해 한 발 더 나아간다. 상처를 입은 자가, 트라우마에 갇힌 자가, 그 상처를 극복하고, 트라우마에서 벗어나는 과정을 넘어, 새로운 시작과 '희망'의 가능성을 연다. 그리고 그것은 바로 알츠하이머에 걸린 속물 변호사 박태석이라는 설정에서 비롯된다.
우리 자신을 위해 싸워야 한다
tv 방송에도 출연하며 대한민국 최고의 로펌이라는 태선 로펌의 파트너 변호사로 재벌인 한국그룹의 뒷배를 봐주기에 여념이 없던 박태석, 비록 전처는 그를 사람 취급도 안하지만, '성공적'인 삶에 신바람이 나있던 그에게 '알츠하이머'는 청천벽력이다. 하지만, 엔딩에서도 말하듯이, 그가 끝이라고 생각했던 그곳에서 그는 새로운 삶을 만난다.
이제 더 이상 시간이 별로 없다는 사실이, 그가 지금까지 살아왔던 삶을 되돌아 보게 하고, 그의 삶을 돌려놓는다. 병에 걸려 기억을 잃어가는 그는 아이러니하게도 그가 숨겨두었던, 비겁하게 도망갔더 기억들을 끌어올려, 비로소 그를 제대로 된 아버지로, 변호사로 만들어 주기 시작한다. 그리고 무서울 것없는 그의 싸움이, 오랫동안 그가 반목해 왔던 자신의 삶을 비로소 제대로 보고 받아들이게 한다.
'결자해지(結子解之), 그저 네 자의 사자성어로 귀결될 수 있는 16부에 이르는 박태석의 싸움은 그저 아들의 죽음을 밝히는 묵은 해원을 풀어내거나, 복수를 했다거나, 부조리와 부도덕에 맞서 싸웠다는 말 그 이상, 그 자신이 자신의 병을 축복이라고 말하듯, 스스로의 삶을 돌아보고, 바로잡는 시간이었고, 이는 곧 박태석와 함께, 동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자신에게도 '결자해지'의 반추를 해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즉, 우리가 이 시대에 밝히고 싸워야 하는 이유가 타인이나, 다른 세력의 부조리와 부도덕 때문이라는 대상화를 넘어, 우리가 제대로 살기 위한 싸움과 반추, 그리고 바로잡음이어야 한다고 드라마는 말한다.
그러기에, 아들을 죽인 범인 승호를 보내 줄 수 있는 박태석 변호사와, 그의 아내 나은선(박진희 분)의 혜량이 이해될 수 있었다. 범인으로 추정된 인물의 자살 앞에 분노하던 두 사람이 15년을 한 시도 잊을 수 없던 아들의 억울한 죽음이 밝혀진 순간, 무엇보다, 자신의 사랑하는 아들 동우가, 누군가의 짐이 아니라, 누군가의 삶을 밝혀줄 등불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두 부부의 의지는, 아직도 진실을 향해 목놓아 소리치는 거리의 부모들의 진짜 마음을 대변하고, 승화시키기에 감동스럽다.
박찬홍- 김지우, 그리고 이성민
악의 전횡과 사이다 같은 복수 한 방으로 마무리되던 대부분의 드라마들을 그렇게 <기억>은 넘어선다. 이런 <기억>이 반가운 것은 무엇보다, <부활>, <마왕>을 통해 복수극의 대명사로 불렸던 박찬홍-김지우 콤비가 <상어>의 부진을 딛고 '부활'했을 뿐만 아니라, 이전 작품의 문제 의식이 우리가 고통받는 시대에 맞춰 구체화되었고, 견고해졌다는 점이다. 감동적인 대본과, 그 대본을 감탄이 나올 정도로 절묘하게 구현해내는 장면, 장면은 박찬홍-김지우 콤비의 작품이 아니고서는 맛볼 수 없는 행복이다.
이런 박찬홍-김지우 콤비의 부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두 말 할 것도 없이 그가 아니면 그 누구도 대신할 수 없을 것 같은 박태석을 연기한 배우 이성민이다. <로봇 소리>에서 로봇을 상대로 자식을 잃은 아버지의 연기를 열연했던 이성민은 <기억>에서 다시 한번 자식을 잃은 아버지가 되어 나타났지만, 로봇 '소리'의 동반자 그 아버지는 찾을 수 없이, '에브리데이 굿데이'를 잔망스럽게 외치는 속물 변호사에서 부터, 아버지의 손에 끌려 엘리베이터에 타는 어린 아들의 모습, 정말 그의 뇌가 터지지나 않을까 노심초사하게 만들었던 진실에 다가가며 분노하는 모습에서 회환에 찬 모습까지, 그리고 알츠하이머에 걸렸지만 비로소 인생의 진짜 행복을 찾은 엔딩까지, <기억> 속 구비구비의 감정을 설득해 낸다.
'tv > 드라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어 마이 프렌즈> 노년, 그 풍성한 삶의 속내를 열다 (2) | 2016.05.15 |
---|---|
<또 오해영> '귀기울여지는' 또 하나의 사랑이 시작되었다. (0) | 2016.05.11 |
<옥중화>최완규 & 이병훈의 절치부심, 가능성을 열다 (0) | 2016.05.02 |
<ebs다큐프라임-나를 찾아라> 관계와 공간, 그리고 시간 속에 나를 놓쳐버린 현대인의 자아찾기 (0) | 2016.04.28 |
결국 인간을 구원할 수 있는 건, 인간들의 선의 -드라마를 통해 인간의 실천을 갈구하다 (0) | 2016.04.27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