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에 촛불이 사그라들고 sns에서 벌어진 설전 중 하나는, 과연 촛불의 주역이 누구인가 하는 것들이었다. 그리고 그 주역 논란의 주인공은 우리 사회 민주주의의 홍역을 앓던 80년대에 대학을 다녔던 이른바 386 세대, 이제 희끗희끗해져가는 머리가 무색하게 그 겨울 차가운 바닥을 버티느라 좌골 신경통이 도졌던 이 세대는 당당하게 '촛불'의 주인임을 외치지만, 그들은 바라보는 '후배' 세대의 시선은 냉랭하다. 경제 호황기에 태어나 복받고 살아왔던 사람들의 후일담 정도로 치부될 정도다. 하지만, 이들이 억울한 건, 그 겨울 광장을 녹였던 여전한 열정에 대한 '공치사'만이 아니다. 전통적 가족 제도에서 자라나, '서구적 민주주의의 가치'를 내면화하고, 핵가족의 중심으로 살아낸 장년기, 그들에겐 이제 100세를 살아내야 할 '독립'의 과제가 맞부닥쳐 있기 때문이다. 


이제는 '과거형'이 되어가는 '논 팔고 소팔아 어떻게든 자식 대학만 보내면 되던' 그 산업 부흥기의 부모 세대들이 왜 그토록 자식에게 연연했을까? 조선으로부터 내려온 유구한 유교적 문화 전통에 입각한 고고한 정신 때문에? 박민규 작가는 모 일간지에 게재한 이런 조선 시대로부터의 '공부에 대한 집착'을 '백년 동안의 지랄'이라 일갈한다. 일찌기 흥선 대원군이 철폐한 서원이 700여개, 하지만 그 철폐한 서원까지 포함하여 그 시절 조선에는 이른바 사립 교육 기관이 줄잡아 1700 여개가 있었다고 한다. 그게 100년 전이다. 그리고 그 시절부터 100년이 지나 oecd 기준 25세~30세 사이 대졸자 기준 최고의 현실은 달라진 것이 없다고 작가는 지적한다. 그 일관된 공부에 대한 편집증이 지향하고 있는 것은 바로 '입신양명', 한 집안에서 잘 난 놈 하나가 나오면 그 부모는 물론, 그 집안 전체가 다리 뻗고 산다는 것이 지난 100년간 우리 한국 사회의 '이데올로기'였던 것이다.

 

부양을 기대할 수 없는 노년, 자녀로 부터 독립하라 
그런데 현실은 어떤가, 젊은 사람들이라면 웬만하면 '대학'을 나오는 시절, 우리 젊은이들을 비롯한 한국 사회는 '고용 불안, 일자릭 부족, 취업 대란'을 겪고 있다. 남들 하는 거 다했는데, 그 결과는 대학문을 나서도 자기 앞가림을 못하는 아이들이다. 그리고 그 앞가림을 못하는 아이들은 고스란히 부모의 부담으로 전가된다. mbc 다큐 스페셜 <부모 독립 프로젝트, 쓰고 죽을까? (이하 부모 독립 프로젝트)>는 바로 이 지점에서 시작된다. 세대

데뷔 40년차인 가수 박일준씨(65) 지금도 여전히 왕성하게 활동 중이지만, 노년을 바라보는 그에겐 깊은 고민이 있다. 다름아닌 마흔을 바라보며 일가를 이룬 나이에도 여전히 '아빠'에게 의탁하여 사는 그의 아들 박형우(38)씨 때문이다. 언제 독립하냐는 아빠의 우문에, 지금의 자기 벌이로는 자기 가족 살기 힘들다며 당당하게 아버지에게 의탁할 것을 주장하는 아들의 현답에 박일준씨는 답답하다. 

바로 이 박일준씨의 딜레를 다큐는 본격적으로 다룬다. 이제 노년에 들어선 5,60대 세대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가장 큰 건 주택 마련 자금과 자녀의 학자금이다. 그 중에서도 자녀에게 들어가는 돈은 박일준 씨나, 그 뒤에 이어진 음악 동호회 회원들의 근심깊은 토로에서도 보여지듯이 학자금, 결혼 자금, 자식 주택 마련 자금으로 이어진 굵직굵직한 부담의 행렬이다. 문제는 과연 이렇게 자식 공부시키고, 결혼시키고, 집까지 마련해주고 자신의 노후까지 책임질 수 있을 만큼 부모들의 경제력이 넉넉치 않다는데 있다. 이제 노년에 들어선 세대는 더 이상 자식들의 부양을 기대할 수 없는 세대이다. 스스로 자신의 '늙음'을 책임져야하는 건 물론, 아직 채 독립하지 못한 자식들까지 '책임'져야 하는 이 이중의 딜레마, 과연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그 첫 번째 답을 다큐는 옥봉수 박임순 부부에게서 찾는다. 여느 가족들처럼 아이들이 어릴 때부터 공부에 올인했던 박임순 씨, 그러나 그런 엄마의 교육열은 가족간의 균열만을 낳았다고 한다. 더 이상 한 자리에 앉아 식사를 하면서도 대화를 하지 않는 가족을 보며, '공부' 대신 '세계 일주'를 선택했다. 그리고 여행 과정에서 엄마 아빠보다 더 해결 능력이 뛰어난 아이들을 보며 두 부부는 아이들을 놓아 주었다. 대학 대신 검정 고시를 치고 사업을 시작한 아이들, 겨우 사무실 집기만을 사주었지만, 이제 아이들은 대기업 사원 정도의 벌이는 스스로 할 정도가 되었고, 부부는 뒤늦은 신혼 생활에 빠져 있다. 

이렇게 다큐는 딜레마에 빠진 장년의 고민을 '독립'에서 찾는다. 독립하지 않는 자식들로 부터 부모가 '솔선수범'하여 자신들의 삶을 챙기고, 노년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배경환- 이경미의 '자녀 독립 프로젝트'가 그 모범 답안이다. 수능을 마친 딸에게 일년의 기한을 주고 '독립'을 준비시키는 부부, 대학 졸업 이후엔 취업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경제적 지원을 끊겠다는 선언, 하지만 잠시 혼란스러웠던 딸은 이내 기꺼이 부모의 선언에 동참한다. 다큐는 주장한다. 자녀로 부터 부양받을 수 없는 지금의 장년들이 노년의 삶을 스스로 살아내기 위해서는 '자녀를 독립'시키는 게 전제 되어야 한다고. 




부모의 독립 로망의 전제가 되어야 할 사회 안전망
'부모 독립 프로젝트'를 위한 '자녀 독립 프로젝트'의 전제는 이상적이며, 필연적이다. 하지만, 그 이상적인 과정은 사실, 한정적이기도 하다. 프로그램 초반, 자식 결혼 비용이며, 집 사줄 걱정을 하는 부모들, 과연 대한민국에 자식 집 사주고, 결혼 비용 대줄 수 있는 부모가 얼마나 될까? 다큐는 철저히 중산층 이상의 장년들을 대상으로 한정시킨다.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말미, 다큐는 부모 독립 프로젝트의 이상향을 '다시 신혼처럼 사는 부부'로 잡는다. 뒤늦었지만 철이 들어 아내 대신 집안 일을 하는 남편과 그런 남편과 함께 노년을 행복하게 보내는 아내. 여전히 이혼율이 높고, 심지어 중장년의 이혼율이 젊은 층의 이혼율을 앞선 국가에서, 다큐가 보여주는 장년 부부의 현실은 '환타지적'이기 까지 하다. 자식을 독립 시키면 부부는 '신혼'이 된다는 이 맹목적 가족 중심주의는 다큐가 가진 본래의 의도조차 무안하게 만든다. 

그렇게 '가족'을 중심으로 이상적으로 부모를 독립시키며 부부의 새로운 삶의 단계를 칭송하게 됨으로써, 애초 이 다큐가 지향해야 할 '사회'의 역할을 간과하도록 만든다. '캥거루 족', '탕기족', '키퍼스족', '부메랑 키즈' 등은 경제적으로 여유치 않아 다시 부모의 품으로 들어오는 자녀들을 일컫는 세계 각국의 용어들이다. 세계적인 불황에 부모의 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자녀들은 전세계적인 문제인 것이다, 과연 이게 부모의 독립으로 해결될 일일까? 다큐도 짚는다. 부모가 책임을 져주지 않아도 사회가 자녀의 사회적 독립을 책임져 줘야 한다고. 물론 우리 사회 부모들이 '오래도록 '헬리콥터 맘'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건 현실이지만, 그 현실은 개인의 입신양명만이 유일한 동앗줄인 사회적 안전망의 부재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을 다큐는 좀 더 명확하게 해주었어야 하지 않았을까. 


by meditator 2018. 2. 23. 1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