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2의 단막극의 시리즈는 유구하다. 1984년 <드라마 게임(~1997)>을 시작으로 <테마 드라마(1997)>, <tv문학관(198~2011)>, <금요극장(1987)>, 일요베스트(199~2000)>, <드라마 시티(2000~ 2008)을 경과하여 2010년 <드라마 스페셜>로 정착한 이래 오늘에 이르렀다. 

하지만 말이 정착이지 '시청률 지상주의'의 tv 시장에서 일부 단막극 애청자들만의 선택을 받는 <드라마 스페셜>의 운명은 애처로웠다. 토요일 밤과 일요일 밤 늦은 시간을 전전했으며, '연작'의 모색을 거쳐, 2014년, 2015년에는 상반기, 하반기로 나뉘어  27편, 15편이 방영되었고, 2016년부터 올 해 까지 해마다 10편의 작품들이 <드라마 스페셜>의 이름으로 방영되었다. 

 

   

  

그러나 '애처로운 운명'에 저항하는 드라마 스페셜의 방식은 '도전'이었다. 2010년 <무서운 놈과 귀신과 나>. <위대한 계춘빈>, 2011년 <영덕 우먼스 씨름단>, <터미널>, 2012년 <환향-쥐불놀이>, <칼잡이 이발사>, 2013년 <마귀>, <엄마의 섬>, 2014년 <들었다 놨다>, <간서치 열전>, 2015년 <바람은 소망하는 곳으로 분다>, <붉은 달>, 2016년 <빨간 선생님>, <전설의 셔틀>, 2017년 <정마담의 마지막 일주일>, <강덕순 애정변천사> 등 낮은 시청률이 무색하게 장편 혹은 미니 시리즈에서 시도할 수 없었던 드라마의 주제와 형식, 서사 등을 다루면서 kbs2의 그 어떤 드라마보다도 '수신료의 가치를 증명하'는 드라마는 평가를 받으며 몇 년이 지나도 회자되는 명작들을 남겼다. 그리고 그런 의미에서 2018년 <드라마 스페셜>은 아쉽다. 

 

   

  

드라마 스페셜의 경쟁작은 '웹드'?
올 한 해 잔잔하게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이른바 '웹드'가 인기를 끌었다. tv가 중장년층이 주고객이 된 올드 미디어가 되어가는 반면 바쁜 일상의 틈틈이 즐길 수 있는 인터넷과 모바일이 젊은 층들이 향유하는 주력 매체가 되어가면서 '드라마'의 유통 방식에 변화를 모색한 것이 웹드라마이다. 기존 드라마와 달리 15분에서 30분 정도의 짧은 분량의 이들 웹드라마들은 네이버 등의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활발히 소비되어가며 <퐁당퐁당 love>처럼 공중파 tv로 역진출하는 성공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 

젊은 층이 주향유층인 만큼 이들 드라마는 대부분 젊은 남녀를 주인공으로 그들의 연애와 사회 생활 속 이야기를 주된 소재로 하여, 우리 시대 젊은이들의 고민을 담아내며 공감을 얻어가고 있다. 이미 <간서치 열전>을 웹드라마의 형식으로 방영한 바 있는 <드라마스페셜>은 2018년 시리즈에서는 젊은 층을 주 타깃층으로 설정했는지 첫 작품 <나의 흑역사 오답노트>에서 부터 <닿을 듯 말듯>까지 총 10편의 이야기 모두 젊은 두 남녀를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를 다루었다. 심지어 <엄마의 세 번 째 결혼>처럼 모녀간의 갈등조차도 그 촛점을 딸과 딸이 도발한 연애 사건을 극의 중심으로 끌어오며 이야기를 전개시킨다. 

당연히 2018년 시리즈에서는 사도 세자를 다른 시각에서 접근한 <붉은 달>이나 파발꾼을 역사의 주인공으로 내세운 <마귀>같은 '새로운 시각의 사극'의 형식은 찾아볼 수 없었으며, 스릴러의 형식으로 해체된 가족 관계를 다룬 <엄마의 섬>이나 노인 느와르 <아리동 라스트 카우보이>, 지역 정치 장기판의 졸이 되어버린 소시민의 해프닝을 다룬<서경시 체육회 구조조정 스토리>  같은 신선한 소재와 형식의 이야기는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었다. 

 

   

  
kbs2 드라마 부진, 그 원인은?
올 한 해 kbs2의 드라마들은 부진했다. 하지만 그 '부진'의 이유를 그저 시청률의 면에서만 질타하는 건 결과론적이다. 시청률은 부진했지만 호러와 로코의 조합을 시도했던 <러블리 호러블리>나, 귀신이 된 탐정의 수사극 <오늘의 탐정>, 하우스 헬퍼를 매개로 한 인생 정리인 <당신의 하우스 헬퍼>의 신선하고 실험적인 시도조차 묻혀서는 안될 일이다. 시청률을 중심으로 드라마를 평가한다면 최근 미니 시리즈로 귀환하고 있는 김순옥, 문영남 등 이른바 '막장' 장르 등이 '대안'이 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오히려 문제는 비슷한 시기에 출격했음에도 우리의 토속 신앙과 엑소시즘의 콜라보인 ocn의 장르물 <손 the guest>가 올해의 드라마로 주목받고 있는 것과 달리, <러블리 호러블리>나 <오늘의 탐정> 등이 심지어 출연진의 호연에도 불구하고 애초에 시도했던 '장르'적 특성이나 주제 의식을 스스로 휘발한 채 쓸쓸히 퇴장할 수 밖에 없었던 어설프고 안이한  완성도를 비판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타깝게도 이 어설픈 완성도는 <드라마 스페셜> 시리즈에서도 이어지며 2018 kbs2 드라마 부진의 특성이 되고만다. 

 

   

  
2017년 30회 tv 드라마 단막극 공모전에서 최우수 작품으로 선정된 <나의 흑역사 오답노트>가 열어제친 서막은 산뜻했다. 
수능 출제 의원으로 연수원에 입소한 '도도혜(전소민 분)'가 '감금'이나 다름없는 그곳에서 첫사랑과 전남편과 엮이며 다시 한번 '흑역사'를 재연하는 기발한 설정의 '로코'를 선보였다. 올 한 해 드라마 스페셜 중 가장 대중적으로 사랑받은 작품이 된 
<나의 흑역사 오답노트(황승기 연출, 배수영 극본)>, 하지만 대중적인 만큼 솔직하고 발랄하다 못해 때론 지나친 도도혜의 캐릭터나 전남편, 첫사랑의 캐릭터는  수능 출제 연수원이라는 배경의 신선함과 달리 전형성을 벗어나고 있는가라는 점에서 갸웃해지는 지점을 남긴다. <나의 흑역사 오답노트>는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나, 전개, 연기 모든 면에서 무람없는 작품이었지만 과연 공모전 최우수라는 기준에서 보면 평범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럼에도 특별하게 단점이 두드러지지않는 <나의 흑역사 오답노트>와 달리 자신의 이해를 관철하기 위해 '방관'하는 현대인들의 딜레마를 다룬  <잊혀진 계절(김민태 연출, 김성준 극본)>이나, 자살 문제를 다룬 <도피자들(유영은 연출, 백소연 극본)>의 경우는 작품이 다루는 주제 의식에 있어 '논란'의 여지를 남긴다. 주제는 무겁지만 과연 이 주제를 한 시간 여의 단막극을 통해 시청자가 공감할 수 있는 결론에 도달했는가, 외려 그 '주제' 의식이 역설적으로 범죄나, 자살을 합리화하거나 방조할 수도 있는 여지가 있는 건 아닌가 아쉬움을 남긴다. 뿐만 아니라 이제는 일드 정도는 낯설지 않은 풍토에서 어디선가 본듯한 구성이라는 후일담을 피해갈 수 없다. 

 

   

  

또한 남녀간의 사랑과 이별을 통해 시대적 공감을 얻으려 했던 <너무 한 낮의 연애(유영은 연출, 김금희 극본)>는 이미 김금희 작가의 소설로 대중적으로 인정받은 작품에, 최강희의 출연 등으로 화제가 되었지만 남녀간의 이별이라기엔 무지하고 비겁해서 아팠던 19년이라는 시간의 간극, 그리고 여전한 현실에 대한 공감을 한 시간여의 영상미로 설득해 내었는가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갈린다. 

유려한 영상미, 그러나 
<참치와 돌고래(송민엽 연출, 이정연 극본)>나, <닿을 듯 말듯(황승기 연출, 배수연 극본)>은 수영과 컬링이라는 스포츠를 통해 남녀 주인공을 엮었다는 점에서 신선했지만, 과연 각 종목을 '소재' 이상으로 극에 어울려 냈는가에 대해서는 안타깝다. 특히 <닿을 듯 말듯>은 여주인공의 청력 이상을 과거 아버지에 대한 강제 진압에 역시나 차출된 처지인 전경 출신의 선배에게 돌리는 방식이나 그 책임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안이한 화해는  과거사라는 묵직한 해원에 대한 해법으로 설득력을 가졌는가 의문을 제기할 수 밖에 없다. 

남녀 사이의 만남과 이별을 다룬 <이토록 오랜 이별(송민엽 극본, 김주희 연출>은 도돌이표가 반복되는 돌림 노래를 보듯 느슨했고 <너와 나의 유효기간(김민태 연출, 정미희 김민태 연출)>은 시대적 배경으로 설정한 90년대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가 부족해 보였다. 또한 모녀 사이의 관계를 다룬 <엄마의 세 번 째 결혼(김영진 연출, 정미희 극본)>은 김영진 연출의 은퇴작이라는 기념비적 작품이었지만 시한부의 환자로 결혼을 통해 한 몫 챙겨 딸에게 주겠다는 엄마의 이기적인 사랑과 그런 줄도 모르고 엄마가 결혼할 아저씨의 아들에 대한 딸의 무책임한 도발을 그저 모녀 간의 해프닝과 화해로 퉁쳐 버리기엔 사안이 녹록치 않다. 

kbs2 드라마의 장기 중 하나인 오피스물인 <미스 김의 미스터리>는 산업 스파이라는 흥미진진한 소재를 다루고자 했지만 그 방식에 있어서, <김과장>, <저글러스>에서 이미 너무나 익숙해진 방식의 답습이 아닌가라는 의문만을 남겼다. 이런 상투적 접근은 결국 최근 역시나 신선한 접근에도 불구하고 고전을 면치 못하는 <죽어도 좋아>까지 이어지며 장기가 함정이 되어버리는 한계에 봉착하게 된다. 

그럼에도 2018 드라마 스페셜 10편의 가장 큰 장점이라면 한 편의 영화와도 같은 영상미이다. 하지만 거듭된 영상의 미학이 주제의 천착과 구성의 아쉬움을 상쇄하지는 못한다. 오히려 '영상'만으로 설득하고자 하는 건 아닌가 라는 '안이함'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게 된다. 또한 필요 이상의 필터링된 뿌연 화면에 대한 피로감까지 등장하며 최근 <땐뽀걸즈>에서 제기되고 있듯 과연 필요한 영상적 구현인가라는 의문까지 등장하게 된다. 

물론 살펴본 2018 드라마 스페셜은 남녀 관계를 중심으로 풀어냈지만 다양한 주제와 구성 방식을 배치하려 애쓴 흔적이 보인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2018년 드라마 스페셜에 대한 시청자의 반응은 그 어느 때보다도 냉담하다. 그리고 이 냉담함은 올 한 해 kbs2 미니 시리즈에 대한 시청자의 냉담함으로 이어진다. 다양한 주제에의 접근, 아름다운 영상미, 하지만 제 아무리 좋은 의도와 기술도, 그것이 어우러지고, 그 속에서 시청자를 설득해 낼 수 있는 기승전결의 개연성을 가지지 못한다면 수신료의 가치를 증명해 내기엔 미흡하다. 과연 올해와 같은 방식으로 2019년의 드라마 스페셜의 존립이 가능할 수 있을까, 그 어느 때보다도 드라마 스페셜의 운명이 걱정되는 2018년이다. 

by meditator 2018. 12. 25. 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