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4일 방영된 <집밥 백선생>이후 전국의 마트는 '닭'비상에 걸렸다는 기사가 올라온다. 그도 그럴 것이 9회, '집으로 돌아온 닭' 특집에서 백선생 백종원은 닭을 활용한 갖가지 요리를 선보였고, 역시나 그 반응은 이 프로그램을 4주 연속 동시간대 케이블 및 종편 프로그램 1위를 수성하게 하는데 일조했다. (닐슨 코리아 기준 평균 6.6%, 최고 8.1%)


하지만 막상 방송에서 자신만만하게 닭을 해체하며 튀김에서부터 스테이크, 닭갈비까지 현란한 요리 솜씨를 보이는 것과 달리, 요리를 하는 백선생도, 제자들도 그 어느 때보다도 멘트에 있어서 한층 진중한 모습을 보였다. 다른 때 같으면 한번쯤 등장할 만한 '슈가보이' 드립은 '소스에 당연히 설탕이 들어가야지'라고 이구동성으로 채워졌고, 이러면 게시판에서 욕을 먹는다며 스스로 자기 점검을 하는 듯한 모양새가 이어졌다. 

그도 그럴 것이 <마이 리틀 텔레비젼>에 이어, <집밥 백선생>까지, 백종원의 인기가 거의 심드롬급이 되면서, 그와 그의 요리를 둘러싼 논란이 이어졌고, 백종원 요리에 대한 '직설'을 한 평론가 황교익에 대한 네티즌들의 '호불호' 역시, 황교익에 대한 진화에도 불구하고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백종원 논란? 문제는 백종원이 아니다. 
논란의 시작은 <마이 리틀 텔레비젼>에 출연한 백종원이 요리를 하는 과정에서 '설탕'을 즐겨 사용하며 '슈가보이'란 별명을 얻으면서 부터이다. 그가 <마이 리틀 텔레비젼>에서 부동의 1위가 확고해지면 질수록, 그리고 연이어 출연한 <집밥 백선생>이 인기를 얻고 거기서 그가 하는 요리들이 회자되면 될수록 백종원 식 요리에 대한 논란도 커져만 갔다. 

그런데 애초에 백종원이 <마이 리틀 텔레비젼>에 등장한 코너 이름이 무엇인가, 말 그대로 '더 고급진 레시피', 즉 전혀 고급지지 않은 방식으로 사람들이 즐겨먹는 혹은 즐겨 먹고 싶어하는 고급 음식들을 재연해 낸다는 취지였다. 실제로 그가 '고급진 레시피'에서 선보이는 것들은 다 그런 식이다. 콩을 불리고 삶아 갈아서 만들어야 하는 콩국, 레스토랑에나 가야 맛볼 수 있는 스파게티, 스테이크, 그리고 각종 일식, 중국식 요리들, 때로는 시간을 걸려 해놓고서 실패를 하고서, 백주부 스스로 '굳이 이렇게 애써서 할 것 없이 식당 가서 사먹는게 제일'이라는 고급진 요리들이다. 그런 사람들이 즐겨 찾는 요리들을 우스타 소스를 간장과 식초, 설탕, 토마토 소스만으로 재연해 내는 식으로 거의 똑같이 만들어 내자 사람들은 열광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열광과 함께, 비판도 시작되었다. '설탕'을 너무 많이 사용하는 것이 아니냐, 맛이 너무 진하지 않냐? 심지어, 난 내 자식에게 그런 식으로 요리를 해주지 않았다는 자부심 섞인 비판까지 다종다양한 비판들이 백종원의 발목을 잡았다. 

그런데 여기서 생각해 볼 것은, 백종원 스스로가 늘 밝히듯이, 그는 세프가 아니다. 그 스스로 말하듯 한식 조리사 자격증도 없다. 그저 요식업계 종사자로, 오랜 시간을 걸쳐 스스로 개발한 각종 요리들로 각종 식당을 운영하는 사람들로, 가장 대중적인 입맛으로, 그리고 가장 대중적인 수준의 요리를 전달하는 것이다. 애초에 <마이 리틀 텔레비젼>의 취지가 인터넷 먹방 방송의 변형이라고 보면 큰 무리가 없듯이, 그리고 <집밥 백선생>의 취지가 집에서 요리라고는 해먹지 않는 네 남자들을 데리고 요리에 대한 입문서 였듯이, 백선생의 요리는 이 시대 가장 대중적인 입맛의 상징일 뿐이다. 그러기에 그에 대한 비판은, 백종원식 요리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거기에 매료된 이 시대의 입맛에 대한 비판이어야 하는 것이다. <마이 리틀 텔레비젼>이나 <집밥 백선생>의 선택은 가장 대중적인 '호'에 어울리는 백선생을 취한 것뿐이다. 만약에 대중들의 입맛이 좀 더 '건강'에 트렌드가 맞춰져 있다면, 아마도 이 방송들은 백선생이 아니라 들판의 잡초를 요리로 승화시키는 '방랑 식객' 임지호를 불러 왔을 것이다. 



황교익 논란, 황교익이 잘못이 아니다. 
그런 가운데 <수요 미식회>에 출연하고 있는 맛칼럼니스트 황교익이 한 백종원에 대한 평이 논란이 되었다. 백종원의 음식은 맛있는 음식이 아니며, 그의 레시피는 그저 외식 레시피일 뿐이며 적당한 단맛과 적당한 짠맛의 밸런스만 맛춘 싸구려 식재료로 맛을 낼 수 있는 수준일 뿐이라고 하여 분란을 일으킨 것이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황교익의 직설이 이미 하루 이틀 일이 아니라는데 주목해야 하는 것이다. 황교익은 일찌기 서울 시내 내로라 하는 칼국수집을 섭렵한 <수요 미식회> '칼국수' 편에서도 제일 맛있는 집은 슬리퍼 신고 터덜터덜 가서 먹을 수 있는 동네 칼국수 집이 제일 맛있다며 명물 칼국수 집을 민망하게 만들었다. 또한 '닭튀김' 편에서는 '닭'이라는 고기 자체가 별 맛이 없으며, 우리가 맛있다고 먹는 닭맛은 대부분 양념 맛이거나 기름 맛이라고 단언한 바 있다. 황교익이 일관되게 하는 주장은, 오늘날 우리들의 입맛이 얼마나 외식 산업의 발달 속에서 현혹되어 극단적으로 변모하였으며, 실제 우리가 맛있다고 먹는 음식의 대부분은 그가 백종원의 음식을 평하듯, 분위기 70, 음식맛 30의 외식 산업의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또한 백종원 논란으로 그가 해명하듯, 이미 오래전부터 현대인들의 입맛을 '단맛'과 '짠맛'이 무감각하게 만들어 놓고 있다는 것을 지적해 왔다는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분노한다. 하지만 그 분노의 저변에 깔린 심정은 객관적인 백종원 음식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백종원 음식에 대해 열광했던 자기 자신에 대한 무안함이 아닐까. 말 그대로, 고급지지 않은 재료로 고급진 음식을 만드는 그 과정에, 별거 아닐 레시피로 식당에서 사먹던 맛을 재연해 낸 그 레시피에 매료된 '속된' 자기 입맛을 인정하기 싫어서 일 수도 있다.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가면 현재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나는 공정하고 균형잡힌 사람'(한겨레 7월 14일 이명수의 사람 그물 중)이라는 강박의 발동일 지도 모른다. 공정하고 균형잡힌 내가 좋다고 평가한 사람들 누군가 흠집을 내는 그 '사실' 자체가 견딜 수 없는 것이요, '그가 그런 잘못을 했는지 안했는지는 뒷전이요, 본인들이 생각하는 프레임만이 사실이요, 사소한 실수도 전인격적인 결함의 징후로' 간주하여 분노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그저 예능의 트렌드로 잠시 부상한 백종원의 레시피에 못견뎌 하며 나는 내 자식 그렇게 안키웠다는 속단도 씁쓸하고, 맛칼럼니스트의 소신있는 자기 주장을 못견뎌 하는 것도 아전인수다. 백종원이 트렌드라 하여 그의 레시피가 '만능'인 것은 아닌 것이며, 황교익이 '비평'을 했다하여 백종원의 레시피에 죄책감을 느낄 필요도 없는 것이다. 황교익이 이미 오래전 '단맛'에 통탄을 할 그 때부터 우리 입맛은 '단맛'과 '짠맛'에 길들여져 무뎌졌으며, 밥 한끼도 해먹기 힘든 세상에 백종원의 레시피는 '감읍'한 오아시스인 것이다. 그저 황교익의 평론으로 무뎌지고 외식 산업에 길들여진 우리의 입맛을 한번쯤 되돌아 보면 되고, 그러면서도 오늘 저녁 백종원의 레시피에 감사하며 간단하게 한 끼를 때우면 되는 것이다. 요리를 하면서 설탕 반 스푼을 덜고, 간장 한 숟가락을 덜어내는 실천이면 금상첨화고. 삶의 아이러니에 그 정도 입맛의 아이러니쯤이야 얼마든지 감내할 만 하지 않은가.
by meditator 2015. 7. 15. 1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