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4일 mbc 새 월화극 <기황후>의 제작발표회가 있었다. 

<기황후>는 원나라에 공녀로 끌려가 황후에 자리까지 오르는 여인의 일대기를 다룬 사극으로, 이미 제작에 들어간다는 발표가 있는 시점부터, 그 역사적 사실과 관련하여 계속 논란이 있어왔다. 
24일 제작 발표회에서는 다른 제작 발표회와 달리, 이 작품의 역사관이 논란이 되는 것과 관련하여, 배우, 피디는 물론 작가인 장영철, 정경순 작가까지 참여해 논란을 불을 끄고자 했다. 

우선 기획안 초반 원에 맛서는 매력남으로 설정되어 가장 문제가 되었던 악행과 패륜의 상징처럼 여겨졌던 충혜왕이란 캐릭터를 '왕유'로 변경하였다. 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 기록된 기황후와 그 형제의 패악에 대해서, 장영철, 정경순 작가는, 실제 역사적 사실이 부족하다며, 그 행간을 메꾸어 가는 것이 드라마의 몫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덧붙여, 기황후라는 역사적 인물의 입지전적 성공 이야기 뿐만 아니라, 그 인물의 흑역사 조차 후반부에 다룰 것이라 밝히고 있다. 그러면서 어디까지나, 이 드라마가, 사실과 역사를 퓨전한 '팩션 사극'임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최근 역사적으로 밝혀진 사실에, 드라마 작가의 상상력을 덧붙여 재해석한 '팩션 사극'이 사극의 주를 이루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조선왕조 실록]과 같은 세세한 역사적 기록을 가지고 있는 조선시대라면 몰라도, 그보다 시대를 더 앞선, 고려, 삼국 시대의 이야기는 사실 역사적 기록도 미비하고, 그 사이에 비어있는 행간이 워낙 많다보니 재해석의 여지가 그만큼 많을 수 밖에 없다. 

mbc의 경우 논란에 빠진 경우는 <기황후>만이 아니다. 이미 방영을 하고 있는 <수백향>도 방영하기 전에 일본 제24대 인현왕(일본명 닌켄 덴노)의 공주이자 제25대 무열왕(부레쓰 덴노)의 누이이며 제26대 계체왕(게이타이 덴노)의 정실부인인 5세기 후반에서 6세기에 걸쳐 생존했던 인물을 백제 무녕왕의 공주로 그리려 했다는 것에서 문제가 되었다.  
<수백향은 정말 백제의 공주였을까 (오마이뉴스)>라는 김종성 기자의 상세한 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수백향이 백제의 공주라는 근거는 문정창의 <일본 상고사>에서 제시된 가설에 불과하고, 문정창 본인도, 그 이후 저술된 자신의 책에서 그조차도 근거가 희박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는 데서 부실한 역사적 추론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자, <수백향> 제작진 측은 <기황후> 제작진과 같은 길을 걷는다. 주인공의 한자 이름을 手白香에서, 守百香으로 바꾸고, 일본의 역사적 인물과는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그려낼 것이라 역사 왜곡은 없을 것이라 다짐하였다. 

하지만 <수백향>의 문제는 비단 이것만이 아니다. 드라마 상에서, 실제 무녕왕의 아들인 성왕을 동성왕의 적장자로 둔갑시킨다. 그리고 무녕왕이 이복 형제였던 하지만 왕좌의 정통성을 지닌 동성왕의 가계를 유지시키고자 자신의 아들과 동성왕의 아들을 바꿔치기 한다. 덕분에, <제왕의 딸, 수백향>은 이중의 출생의 비밀을 가지게 된다. 덕분에, 남녀 주인공은 서로 사랑함에도 불구하고, 혈연지간이라는 운명의 장난에 휘말리게 되는 것이다. 
유교적 가계가 엄격한 조선 시대도 아니고, 아직 아비와 아들의 왕좌 계승조차도 자리잡지 않아 이복 형제의 혈통을 이어받는 백제 시대에, 자신을 죽이려 했던 이복 형제의 아들을 왕의 자리에 올리겠다는 '유교적 발상' 역시 '역'시대착오적인 것임은 물론, 엄연히 사료 상으로, 무녕왕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는 성왕을 동성왕의 아들로 둔갑시킨 것은, 수백향을 한자 이름만 바꿔 동명이인으로 새롭게 탄생시킨 팩션 사극의 한계를 넘어선다.

기사 관련 사진

하지만, 제 아무리 '퓨전'이라고 해도, 이미 역사적으로 알려진 사실을 뛰어넘는 재해석은 언제나 함정에 빠지기 쉽다. 이미 제작에 들어가기도 전에, 패륜왕으로 알려진 충혜왕을 원에 저항한 왕으로 그리려 한다던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고려를 수탈한 세력으로 알려진 기황후를 입지전적 인물로 그리려 한다는 건, 무리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논란이 되자 이름자를 바꿔 다른 사람이요 하는 것이나, 아비를 원수로 만드는, 이미 부족하나마 알려진 사실을 제 멋대로 그려낸다는 건, 재해석이 아니라, 그나마 또 한번의 왜곡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이미 <해를 품은 달>처럼 드라마를 보면 조선시대같은데도, 가상의 왕조와, 가상의 인물들을 등장시켜 성공한 예가 있는데, 굳이 역사적 인물을 가져다 쓸 필요가 있겠는가란 질문이 나올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굳이 역사적 왜곡의 혐의를 받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이런 무모한 팩션 사극을 시도하는 것일까? 이에 대해 드라마를 제작하는 측에서는, 사극을 만들 수 있는 역사적 자료는 빈약하고, 사극은 많이 양산되어야 하는 현실에서, 요즘의 사람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그 무엇을 만들려다 보니 어쩔 수 없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기황후> 제작진은 21세기에 해외에 나가 성공하는 한국인들이 많은데, 그런 한국인들의 표본으로써 기황후를 의욕적으로 그려내 보이겠다고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 하지만, 그런 야심찬 의도를 그저 곱게만 볼 수 없는 것이, 이미 드라마라는 것이 그저 이야기가 아니라, 하나의 '사업'이 되고 있는 현실 때문이다. 그쪽 나라에서 친숙한 누군가를 드라마로 제작하면 조금 더 쉽게 팔릴 수도 있겠다는 꼼수가 현실의 과도한 재해석 내지는 왜곡을 낳은 게 아닐까 라는 시선 역시 항존한다. 변발조차 하지 않는 원나라 황제를 꽃미남으로 그려내는 <기황후>이기에 그런 의심은 더더욱 피할 수 없다. 

이미 장영철, 정경순 작가는 유신 시대를, 개발 독재시대를 미화한다는 오명을 무릎쓰고 <자이언트>라는 걸작을 만들어 낸 전례가 있었다. 이번 <기황후>도 그런 결과를 낳을 수 있을 거라는 자신감을 내보이고 있는 듯하다. 부디, 이미 엎질러진 물이 되어버린, <기황후>를 잘 거둬 담아가길 바란다. 그저 찬미가 아닌, 명과 암이 있는 입체적 인물로 재탄생되는 기황후를 기대해 보겠다. <수백향>도 마찬가지다. 중년의 여성층을 사로잡기 위한 이중의 출생의 비밀과 얽힌 연인 관계가 아니라, 고뇌하는 역사적 인물의 속내를 제대로 펼쳐내 주길 바랄 뿐이다. 


by meditator 2013. 10. 25. 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