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가 넘는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며, 그리고 시청률을 뛰어넘는 박정환(김래원 분) 검사의 마지막 6개월을 신드롬으로 만들며, 박경수 작가의 권력 3부작은 화려하게 막을 내렸다. 그리고 이로써, <추적자>을 통해 정치 권력, 그리고 <황금의 제국>을 통해 재벌의 권력, 마지막 <펀치>를 통해 검찰의 권력을 조명함으로써, 대한민국을 이끌어 가는 부패한 권력의 실체를 낱낱이 까발리며 우리가 딛고 있는 현실을 냉엄하게 그려내었다. 이렇게 현실의 잔혹한 이면을 그려내었던 <펀치>를 보며, 그 권력의 귀추에 숨죽이던 시청자들은 <펀치>의 종영 이후 어떤 선택으로 방향을 틀었을까? <펀치> 종영 이후 첫 주에 제일 먼저 미소을 지은 것은 그간 꾸준히 <펀치>를 추적하던 <빛나거나 미치거나>였다.

 

 

아쉽게도 단점이 돋보이는 후발 주자들; <풍문으로 들었소>, <블러드>

<펀치>을 선보였던 sbs는 후속작으로 권력의 비리에 이어, 상류 사회 갑들의 부조리한 삶을 다룬 <풍문으로 들었소>을 선보였다. 장르 상으로는 전혀 다르지만, 우리 사회 '갑'들의 이면을 다룬다는 점에서는 일맥상통하는 작품이다. 이미 <아내의 자격>, <밀회>에 이어 jtbc를 통해 상류층의 부조리를 형상화시켰던 정성주, 안판석 콤비가 공중파로 진입하며 지금까지 해왔던 작품 경햠을 연장, 발전시켰다며 밝히고 있는 작품이다.

하지만 안판석 pd 특유의 고상한 상류층의 분위기를 한껏 드러낸 미쟝센이, 이번에는 너무 힘을 줬는지, 뜻밖에도 어둡고 칙칙하다는 반응에 부딪치며 정성주, 안판석 월드에 시청자가 적응하기에는 시간이 조금 필요할 것 같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영화<표적>을 통해 가장 악랄한 악역의 면모를 보인 것과 달리, tv에서는 언제나 좋은 이미지로 등장했던 유준상의 한정호 연기나, 역시나 선한 이미지를 유지해왔던 유호적의 최연희 연기 역시 아직은 낯설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또한 당찬 여고생 서봄 역의 고아성이 그 누구보다 자연스런 연기를 선보인데 반해, 싸이코패스로 익숙한 이준의 어리버리한 고딩 연기는 연기면에서나, 캐릭터의 개연성 면에서 호불호가 갈리는 형편이다.

 

<풍문으로 들었소>에 비해 한 주를 먼저 선보인 <블러드>의 경우는 더 쉽지 않은 처지에 봉착해 있다.

케이블 작품 <뱀파이어 검사>나 미드를 통해 이미 익숙해진 '뱀파이어'라는 캐릭터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중파 미니시리즈라는 대중적 장르로 안착하기에는 아직 생경한데다, 그 뱀파이어를 연기하는 남주인공 안재현의 연기나, 여주인공 구혜선의 연기마저 시청자들이 적응하기에는 생경하니, 엎친 데 덮친 격이 되었다.

게다가 전작 <굿 닥터>를 통해 서번트 증후군이라는 장애를 가진 주인공을 의사라는 직업과 매치시켜 '인간 승리'의 미담으로 승화시키는데 성공했던 것과 달리, 뱀파이어와 의사의 만남은 어쩐지 갓을 쓰고 양복을 입은 듯 아직은 어색한 만남의 분위기를 일소해 내지 못하고 있는 중이다.

 

 


 

 

무난한 스토리, 거기에 가속 패달은 배우들의 호연; <빛나거나 미치거나>

전작의 성공에 힘입어 야심차게 새로운 작품을 선보인 정성주, 안판석 콤비와 박재범 작가가 전작의 영광이 무색하게, 전작의 정서조차 아직 충분히 펼쳐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꾸준히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던 <빛나거나 미치거나>는 뜻밖에도 <펀치>의 빈 자리를 여유있게 차지한다. (13회 13.1% 닐슨 )

 

고려 광종을 주인공으로 삼은 <빛나거나 미치거나>의 경우, 실제 역사적 사실과는 괴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들마저도 외면할 수 있는 왕실 권력 쟁탈전을 배경으로 하면서 그 속에서 피어나는 지고지순한 남녀의 순애보를 그려내는 전형적인 사극으로 시청자들을 편안하게 맞아들인다.

 

또한 한껏 망가지는 코믹과, 운명적인 삶의 비극적 정서가 그 누구하나 어색함이 없는 호연을 통해 자연스레 전달되는 것이 무엇보다 <빛나거나 미치거나>의 장점이라 할 것이다. 이미 <운명처럼 널 사랑해>를 통해 <추노>의 대길이 같은 연기를 로맨틱 코미디에서도 특화시킬 수 있음을 증명한 장혁이, 다시 한번 그 캐릭터를 사극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시킴으로써 언제나 한껏 진지한 비극적 운명의 주인공만이 아니라, 망가짐을 두려워하지 않는 코믹 캐릭터까지 영역을 넓힌다. 예의 대길이 같은 웃음과 표정의 오글거림을 극복하고 나면, 어느 장면에서 성실한 장혁과, 그런 장혁과의 호흡에서 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받아넘기는 오연서의 호연에 자연스럽게 드라마에 집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제 아무리 이미 작품성을 인정받은 작가와, pd의 작품이라도, 결국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이듯이, 그것을 풀어가는 배우들의 호연이 뒷받침되지 않는 한, 시청자들의 시선을 사로 잡기는 함든 것이다. 거의 <빛나거나 미치거나>의 반 토막에 불과한 나머지 두 작품들의 시청률이 버거워 보인다.

물론 그럼에도 아직 첫 번째 대결이 마무리됐을 뿐이다. 30부작 <풍문으로 들었소>는 이제 막 첫 단추를 풀어 헤쳤을 뿐이고, 여전히 단 한 장면에서도 정성주 작가의 시선은 예리하고, 안판석 pd의 구도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블러드> 역시 박재범 작가의 장기인 병원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풀어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들 두 작품들이 부지런히 선방하고 있는 <빛나거나 미치거나>를 따라잡기 위해서는 우선 낯선 주인공들의 연기부터 친숙하게 만들 해법을 찾아야 할 듯하니, 갈 길이 만만치 않다.

by meditator 2015. 2. 25. 0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