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를 밟았다. 마치 <식스센스>처럼 <싱글 라이더>는 스포가 다했다며 유포됐다. 그래서일까? 고전 중이다. (영진위 추산 2월 27일 기준 287,987 명) 하지만 이 낮은 관객 수치를 놓고 과연 이 영화를 망했다고 말해야 할까? 아니 오히려 그것보다는 '이런(?) 영화에 대해 여전히 높은 장벽을 가진 우리의 영화적 관람 문화에 대해 한번쯤 생각해 보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싱글 라이더가 있어서 다행이야 
<싱글 라이더>의 감독은 이주영이다. 이 감독은 2012년 미쟝센 단편 영화제를 통해 화려하게 영화계에 첫 발을 내딛었다. (베스트 무빙 셀프 포트레이트상) 그리고 <싱글 라이더>가 이 감독의 첫 장편 영화다. 그런데 이 첫 장편 영화가 완성되기 까지 시나리오 작업을 위해 8개월간 이창동 감독과 작업을 했다고 한다. 이창동 감독의 최신 작은 2010년 <시>이다. <시>는 영진위 추산 최종 관객 수가 218,898 명이 들었다. 그러고 보면 아직 관을 내리지 않은 <싱글 라이더>의 이주영 감독이 스승인 이창동 감독을 관객수로 넘어선 셈이다. 우리는 이창동 감독의 <시>를 두고, 그 누구도 쉽게 '망한' 영화라 말하지 않는다. 분명 관객 수로 보면 '처참'할 지경이지만, 영화를 본 사람들은 2010년 그 해 한국 영화계가 이 영화를 가질 수 있어 영광이라 생각한다. 마찬가지다. <싱글 라이더>는 '영광'까지는 아니지만, 2017년 그래도 한국 영화계가 이런 영화를 가질 수 있어 다행이라 말하고 싶다. 



최근 그래도 선전하고 있는 <재심>은 10년간 억울하게 감옥 생활을 한 청년의 이야기를 다룬다. 영화는 내내 분명 '억울함'에도 불구하고, 그 청년의 진실에 다가가는 것이 우리 사회에서 얼마나 쉽지 않은 일인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하지만, 그 '적나라한 진실'은 그래도 마지막 이미 우리가 알고 있듯 '재심' 법정을 통해 '보상'을 받는다. 대부분의 한국 영화들이 그렇다. 2016년 <곡성>이 예외적일 정도로 대분분의 우리 영화들은 통쾌하고 속시원하게 관객들의 가려운 곳을 긁어준다. 그리고 이런 영화들의 흥행은 동시에 '영화의 역할'에 대한 질문을 안긴다. 그리고 그 질문에 대해 기존 한국 영화들이 해왔던 답의 정반대 편에 <싱글 라이더>가 있다.  tv 드라마도 골치아픈 것은 딱 질색인 시대, 그 누가 돈을 내고 극장까지 와서 이 '골치아픈 이야기'를 보려 하겠는가라는 원론적인 물음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기에 우리 문화가 가진 대책없는 낙관에의 회귀라는 지배적인 조류 사이에서 '되돌아보고', '내려옴'을 이야기하는 <싱글 라이더>는 무식하게도 용감하다. 

대한민국의 그림자를 말하다 
그렇다. 영화는 삶의 이야기가 아니다. 그리고 화합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 사회가 그토록 봉합하고 싶은 '가족'의 뒷면을, 여전히 부추키고 싶은 '청춘의 꿈' 그 이면을 서늘하게 들여다보는 이야기다. 그리고 그것은 바로 대한민국이 길게 늘어뜨린 그림자이다. 

<싱글 라이더>에는 두 명의 방황하는 인물이 등장한다. 증권회사 지점장이었다가 하루 아침에 모든 것을 잃은 강재훈(이병헌 분)과 워킹 홀리데이를 온 지나(안소희 분)가 그 두 사람이다. 두 사람의 캐릭터는 상징적이다. 금권 사회 대한민국의 첨병이었던 증권회사, 그 선봉에 섰던 지점장의 중년. 그리고 청춘의 꿈을 찾아 호주로 온 젊은이. 우리 사회 대표적 두 세대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그리고 영화는 이 전형적인 상징적 존재인 두 사람들을 처절하게 무너뜨린다. 부실 채권을 마구잡이로 팔아넘긴 증권회사는 그 손실을 고스란히 고객들에게 전가한다. 그리고 그 '전가'하는데 지점장인 재훈이 앞장섰다. 따지고 드는 재훈에게 던진 사장의 말, 사실은 자네도 그런 줄알면서 한 거잖아. 그저 믿고 싶지 않았을 뿐. 이 한 마디는 '돈'을 향해 부나방처럼 달려드는 우리 사회의 대부분의 사람들을 대변하는 말이 된다. '부도덕'한 줄 내심 알면서도, '돈'이 돤다기에 눈 질끈 감고 덤벼들었던 사람들, 그 중에서 재훈은 '운나쁘게도' 그 대열에서 탈락하고 만다. 그리고 그 '탈락'은 그저 직장을 잃는 것만이 아니라, 그가 가진 재산, 그리고 그의 인맥 등 모든 것이 하루 아침에 송두리채 날아가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한 명의 운나쁜 사람이 있다. 지나, 아프니까 청춘이라며, 88만원 세대에 갈수록 좁아지는 취업문에, 이제 눈을 밖으로 돌리라며 독려하는 세상, 그 독려에 걸맞에 지나는 호주로 일하러 왔다. 하지만 세상은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아, 그녀가 새벽부터 눈도 못뜨고 일을 하며 번 돈은 그녀가 호주에 온 동안 변화한 환율로 인해 '헐값'이 될지도 모른다. 그 한 푼이 아까워 무모한 시도를 했던 그녀, 그 청춘의 꿈은 결국 흙무더기가 되고 만다. 

이 두 사람은 결국 '성장'과 '성공'을 담론으로 하는 대한민국이 낳은 그림자다. 최소한의 인간적 도리를 다하고자 했던 재훈에게 돌아온 것은 '인간적 모멸'이 담긴 따귀 세례였다. 그는 결국 '인간'으로서 자존의 한계를 견뎌내지 못한다. 호주로 아이와 함께 어학 연수를 떠난 아내가 보내온 메시지는 그에게 남겨진 어쩌면 유일한 출구조차 봉쇄한다. 

그렇게 삶에서 봉쇄된 그는 하지만 미련을 접지 못해 아내와 아이가 있는 호주로 떠난다. 그리고 그곳에서 그가 만난 가족. 지난 2년동안 아내와 아이를 염두에 조차 두지 않았던 재훈, 그런 그의 무관심 속에 호주로 떠났던 아내, 아내는 그곳에서 자신을 이해해 주는 이를 만났다. 하지만 비로소 내려놓고 나서야 가족이 떠올려졌던 재훈처럼, 아내는 자신을 이해해주는 사람을 만났으면서도 재훈을 염려해 이민을 준비한다. 그리고 그런 아내를 여전히 오해했던 재훈. 



가족의 주변을 떠도는 재훈과 그런 재훈의 오해와 깨달음 사이에서 보여진 가족의 모습은 '가족애'라는 말로 봉합되기에는 처연한, 그래도 '가족'이다. 이미 그들은 배우자로서 서로에 대한 '감정적 연대'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가족'이란 이름으로 집착과 애착을 가진 불가사의한 존재. 재훈과 함께 떠나는 대신 자신을 찾으러 올 엄마를 기다리는 지나도 마찬가지다. 

영화는 내려올 때에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이 있다 라는 고은의 짧은 시로 시작된다. 그리고 재훈이 호주를 홀로 헤매이며 찾은 것은 '가족주의'라는 주제로 메꾸기에는 이미 서로 멀리 가버린 대한민국의 가족이다. 마치 재훈을 배려하여 이민을 준비했지만, 이제 이민의 배우자 란이 비워져 버린 현실처럼. 뒤늦게서야 아들이 보내온 동영상 속의 그 바닷가 절벽 위에 선 재훈은 그래서 '가족'을 내세우면서, 그걸 빌미로 각자도생에 바쁜 대한민국의 참회록이다. 그리고 느린 선율에 얹혀, 배우 이병헌의 흔들리는 눈동자에 섬세하게 천착해 가는 이 참회록에 마음을 여는 대한민국 사람들은 이창동 감독의 <시>때처럼 역시나 드물다. <초록 물고기><박하사탕>과 <오아시스>가 지금이라면 흥행이 될까? 대한민국은 어디로 흘러온 걸까?


by meditator 2017. 3. 1. 1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