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9일에서 20일로 넘어가는 자정 무렵, 한적했던 그 자리에, 새삼 피튀기는 혈투가 시작되었다. kbs드라마 스페셜과, mbc드라마 페스티벌이 동시에 방영되기 시작한 것이다. 

1. kbs단막극의 모색
10월 19일 방영된 <kbs드라마 스페셜>의 한 시간은 '일각이 여삼추(기다리는 마음이 간절하여 아주 짧은 시간도 삼년같았다)'같았다. 
그도 그럴 것이, 지난 13일부터 시작하여 매일 10분씩 네이버케스트를 통해 웹드라마의 형태로 방영되었던 <간서치 열전>의 마지막 결말을 알 수 있는 시간이었기 때문이었다.
20일까지 누적 조회수 60만을 돌파한 <간서치 열전>은 그간 새로이 시작된 kbs드라마 스페셜이, kbs단막극을 기다렸던 이들의 기대에 못미쳤던 완성도와 내용을 보였던 것과 달리, 이제야 비로소 kbs 단막극이지! 라며 무릎을 탁 칠만한, 내용과 연기, 완성도를 보여, 웹드라마로서 첫 발을 성공적을 딛게 되었다. 



<간서치 열전>은 허균이 지은 홍길동전을 둘러싼 당대 인물들의 갈등을 극적으로 그려낸다. 
이를 위해 드라마를 끌고가는 인물은, 오늘날의 오덕후에 해당하는 '간서치'를 등장시킨다. 
간처치, 看書痴, 말 그대로 책만 읽는 바보는, 조선 후기 유몀한 실학자 이덕무의 '간서치'전으로부터 유래를 찾을 수 있다. '간서치전'에서 '오로지 책 보는 것만 즐거움으로 여겨, 춥거나 덥거나 주리거나 병들거나 전연 알지를 못하였다. 어릴 때부터 스물한 살이 되도록 일찍이 하루도 손에서 옛 책을 놓아본 적이 없었다. 그 방은 몹시 작았지만, 동창과 남창과 서창이 있어 해의 방향에 따라 빛을 받으며 글을 읽었다”라고 썼다. 가난한 서얼출신인 이덕무는 남의 책을 베껴주는 품을 팔면서 책을 읽었고, 풍열로 눈병이 걸려 눈을 뜰수 없는 가운데 실눈을 뜨고 책을 읽었으며. 동상에 걸려 손가락 끝이 밤톨만하게 부어 피가 터질 지경인데도 책을 빌려달라는 편지를 쓸 정도였다' 드라마상의 간서치로 분한 수한(한주완 분)은 바로 이덕무가 설명해낸 간서치 딱 그 자체였다. 이덕무처럼 서얼 출신인 그는, 자신을 외면한 세상 대신에 책을 벗삼는다. 어머니가 그런 간서치인 아들을 견디다 못해 책을 불사르려 할 정도로, 책을 불사르려는 어머니에게 수한은 '그럼 왜 나를 낳으셨냐'는 말로 그 상황을 겨우 모면하고, 그럼에도 '간서치'다운 행실을 벗어나지 못한 채 장서가 풍부하기로 유명한, 그리고 그 자신의 창작물 역시 만만치 않은 허균의 서재에 드나들다, 그 서재에서 죽어간 허균 집 마름의 살인자로 누명을 쓰기에 이른다. 

이렇게 허균 집 마름의 죽음을 둘러싼 미스터리에서 시작된 간서치 열전은, 매일 10분씩 개봉되는 새로운 편에서 사라진 홍길동전을 이용해 허균을 옭아매려는 이이첨과, 한번 책을 보면 모조리 기억해 내는 책 돼지'서돈', 세상에 단 한 권의 책을 소유하기 위해 살인도 마다하지 않는 '서랑' 등 새로운 캐릭터의 등장으로, 새로 시작된 웹드라마로서의 매력을 한껏 뿜어낸다. 또한 그저 신간 홍길동전을 소유하고자 하는 책 욕심을 넘어, 서얼의 등용이 가로막힌 경직된 신분제 국가 조선에 대한 비판을 고스란히 작품화 한 혁신적 사상가 허균과, 그런 그의 사상이 담긴 홍길동전을 이용하여, 허균을 숙청하려는 이이첨의 야심이라는, 광해군 시대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드라마의 저변에 깔려있다. 여기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간서치 열전>에서 등장한 '홍길동전'은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그저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는 것을 허용받고 감읍하고, 임금 앞에 충성을 맹세하고 병조판서를 제수받는 충신이자 효자 홍길동이 아니다. 서얼인 신분을 극복하고, 그 스스로 왕이 되어, 새로운 왕조를 개창한 혁명가 홍길동으로, 그 책의 존재 자체가, 혁명이 되는, 바로 그런 책를 둘러싼 혈투가 <간서치 열전>의 내용을 흐른다. 

덕분에 매일 매일 생각지도 못했던 스토리와 캐릭터의 열전으로 <간서치 열전>의 일주일은 흥미진진했다. 확실히 일요일 밤 쏟아지는 잠을 쫓으며, 혹은 내일의 출근에 대한 부담감을 안고 기다리던 <드라마 스페셜>에 대한 부담감이, 웹드라마로 찾아온 <드라마 스페셜>로 인해 한결 덜어진다. 변해가는 세상에 변해가는 형식으로 ,생존'을 넘어, 발전을 이룬 성취이다. 마치 그간 지리멸렬했던 <드라마 스페셜>은 이 <간서치 열전>을 보여주기 위한 준비운동이라도 된 것처럼. 그렇게, 웹드라마로 동시에 시작된 kbs드라마 스페셜의 모색은 신선하고, 출발은 성공적이다. 물론 과제는 남아있다. 웹 드라마의 특성상, 10분 안에 승부를 봐야하는 드라마 형식에 대한 고민 역시 따를 것이다. 또한 이렇게 <간서치 열전>을 통해 한껏 높아진 기대를 좋은 작품으로 이어가야, 형식적 모색이 꾸준한 시청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2. mbc 단막극의 추수주의? 혹은 생존 전략?
출근을 앞둔 일요일 밤 12시, 언제부터 이 시간이 tv 시청하기에 적절한 황금시간대라도 되었었나?
<kbs드라마 스페셜>이 밀리고 밀려, 일요일 밤 12시에 시작되는 것도 안타까웠는데, 그 자리에 냉큼 mbc가 <드라마 페스티벌>이라며 단막극을 편성했다. 그 시간에 두 편의 단막극이 융성하는데서 오는 관심끌기?  일종의 족발 골목이나, 꽃게찜 골목같은 전략이라고 보아야 하나? 그게 아니면 그래도 그 시간이라도 기다려 단막극을 보고자 하는 시청자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주려는 속깊은 배려? 그도 아니면, 알량한 그 시간대 시청률이라도 나눠먹자는 심뽀?
굳이 하고 많은 시간을 놔두고, kbs드라마 스페셜조차, 낮은 시청률로 인해 '웹드라마'라는 형식을 모색하고자 하는 밤 12시대에 <드라마 페스틸벌>을 시작한 mbc의 속내가 그다지 곱게는 보이지 않는다. 더구나, 이를 위해, 유일한 mbc 코미디 프로그램이었던 <코미디의 길>은 소리소문없이 사라졌다. 

image
(사진; 간서치 열전)

게다가 2014년 하반기 들어 첫 선을 보이는 <드라마 페스티벌>의 첫 작품은 더더욱 마땅치 않다. 
29일 방영된 다시 돌아온 <드라마 페스티벌>의 첫 선은 이윤정 피디의 <포틴>이다. 이 작품은 mbc 드라마 페스티벌 홈페이지에 소개되기론 9회로 예정된 단막극 시리즈의 3회분으로 예정된 작품이다. 일본 작가 이시다 이라의 '4teen'을 각색한 작품으로, 이윤정 피디가 퇴사하기전 2013년에 촬영을 마쳤던 작품이다. 

'경쟁력있는 연출가와 신인 작가들의 만남을 통해 기존에 볼 수 없던 파격적이고, 실험적인 작품을 탄생시켜왔던 mbc드라마 스페셜은 올해도 장르와 소재의 경계를 뛰어넘는 재기발랄한 시도'를 하겠다는 것이 새로이 시작된 mbc 드라마 스페셜의 개막사이다. 
그런데 이런 야심찬 포부와 달리, 굳이 3회로 예정되어 있던 일본 작가 원작의 작품, 이미 퇴사한 피디의 작품을 굳이 첫번째로 끌어 올려 방영하면서 시청자의 관심을 끌려는 꼼수까지 부려야 했을까?

주인공 영훈의 30대 역으로 차태현이 등장하면서 시작된 <포틴>은 이른바 중2병을 앓는, 어리지도 성숙하지도 않은 열 네살 남자 중학생들의 고민과, 짙은 우정을 잔잔하게, 하지만 가슴시리게 다룬다. 역시나 지리한 청춘의 숨겨진 열정을 감성어린 화면으로 담아내는데 능숙한 이윤정 피디의 벼려진 칼날을 다시 한번 느끼게 해준데 손색이 없는 작품이었다. 하지만 그러면 뭐하나, 이미 이피디는 mbc에 없는 걸. 자리에 없는 피디의 작품까지 내세우면서, 알량한 시청률대의 시간까지 나눠먹기까지 하면서 찾아온 mbc드라마 스페셜, 겨우 9편의 방영을 선보인면서, 너무 시끌벅적한 등장아닌가 싶다. <mbc 베스트 셀러 극장>의 전통이 무색하다. 


by meditator 2014. 10. 20.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