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밤 9시 40분으로 안착한 < 발칙한 사물이야기 다빈치 노트(이하 다빈치 노트)>는 우리 주변의 친근한 물건을 매개로 인문학적 사고의 지평을 열어보이는 프로그램이다. 

2월 8일 세번 째를 맞이한 <다빈치노트>가 꺼내 든 사물은, 2014 뉴욕 타임즈가 올해 최고의 발몀품 중 하나로 선정한 '셀카봉'이다. 기괴한 물건으로 등장하여, 한국인들의 특이한 기호 상품을 넘어, 이제는 전세계인의 애장품으로 등극한 셀카봉을 통해, sns 시대를 사는 현대인의 사고를 훑어 본다. 

이름하야, '셀카봉', 그리고 그 셀카봉을 초빙한 <다빈치 노트>의 소제목이 '21세기 나르시시즘, 욕망을 기록하다'인 것처럼, 셀카봉은 나 자신을 욕망하는 최고의 발명품으로 칭송받는다. 하지만, <다빈치 노트>는 장하익 교수의 의견을 빌어, 나르시시즘이 결코 인간만의 소유물이 아님을, 인간과 유사한 유인원을 비롯하여, 심지어 돌고래까지도 자기를 인식하고, 자기애를 가진 동물이라는 증언을 통해, 사회적 동물 고유의 본능임을 짚고 넘어간다. 



이렇게 고유한 본능이 인간에게 와서 발전된 형태로 등장하기 시작한 것이, 자화상, 나르시스가 호수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빠지듯이, 인간은 자신의 모습을 기록하기 시작한다. 램브란트를 비롯한 다수의 화가가 자신의 모습을 작품으로 남겼고, 장장 8시간의 촬영 시간이 걸린 최초의 사진 촬영에서도 인간은 끈질기게 자신의 모습을 남겼다. 직접적인 셀카의 원조가 되기 위해서는, 서로가 힘을 모아서라도 들 수 있는 카메라의 등장이 필요했고, 누군가의 도움 없이 혼자서 자신을 찍는 셀카봉의 유래를 통해, 발명품의 흥망성쇠에 필요한 트렌드의 필요성을 나눈다. 

이렇게 역사적 흔적을 통해 셀카봉에 이르른 자기 확인에의 열정은 하지만, 그저 나르시시즘으로의 결론에 이르지 않는다. 오히려 굳이 혼자서도 찍을 수 있는 핸드폰 카메라임에도, 그것을 확장하여, 셀카봉에 이르른 이유는 오히려, 나르시시즘의 정극단에 존재한다. 자기애조찯도, 누군가의 인정을 받고자 하는, '공유'의 욕심, 자신뿐만 아니라, 자기가 있는 장소에 대한 확인조차도 인정받고 싶은 '타자 지향'이 심지어 1000 명이 넘는 사람들마저, 한 앵글안에 넣을 수 있는 셀카봉을 탄생시켰다는 것이다. 심지어, 생명이 경각에 달린 자연 재해의 현장, 혹은 익스트림한 상황에서도 셀카봉을 들이대는 정서에는, 자신의 생존을 타인을 통해 인정받고자 하는, 굳건한 '집단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저 몇 십의 무리를 넘어, 평균 150 명 정도의 인력 풀을 관리해야 하는 현대인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널리 증명할 수 있는 셀카봉이야 말로, 가장 사회적인 발명품이라며, 그 사회적 의미를 짚는 것을 놓치지 않는다. 

하지만 이렇게 자기애와, 공유의 공동 협조 체제의 산물인, 셀카봉이 우리나라에서 유독 화제가 되기 시작한 이면에는 슬픈 대한민국 현대인의 자화상이 있다. sns를 즐기는 사람들, 그 중에서도 여성들이 주로 애용하는 셀카봉이지만, 그 이면에는 세계 여성 중 가장 자존감이 떨어진다는 뜻밖의 통계때문이다. 가장 많은 셀카 사진을 올린 광주 한 여성의 사례를 통해, 이 시대 대중들이 소모하는, 혹은 선호하는 이미지라는 것이, 연예인을 닮은 듯한, 즉, 자기 자신에게서 우러난 것이 아닌, 미디어가 만들어낸 이미지를 답습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그렇게 연예인스러운 이미지를 모방하면서, 끊임없이 자기 자신에 대한 비하를 서슴지 않는 현대인, 그 중에서도 여성들의 현실태를 여러 여성들의 입을 통해 증명한다. 

그러나, 이렇게 누군가의 닮은 모습을 절묘한 셀카의 각도와 포샵을 통해 재연해 내고 있는 동시대의 여성들의 고뇌를, 오히려, 자신을 한껏 드러낸 셀카 이벤트와, 전시를 통해, 치유할 수 있는 가능성도 열어보인다. 



sns의 셀카봉 인류를 '호모 작대기쿠스'라 정의내린, <다빈치 노트>는 그렇다고, 이 현생 인류를 자기애에 탐닉하는 방식으로 '시뮬라크르'을 넘어서지 못하는 세대로 국한시키지 않는다. 오히려, 여러 베스트 셀러의 저자로 더 유명한 광고인 박웅현이, 자신이 글을 쓰는 마음의 근저에 역시나 자신을 세상에 알리고자 하는 욕구가 자리잡고 있음을 시임함으로써, 현대인의 욕망의 보편성에 진솔하게 다가가고자 한다. 또한, 그 나르시시즘의 욕망이, 그저 우물 안의 자기 만족이 아니라, 더 넓은 사회적 집단을 어울러야 하는 인간의 불가피한 결과물임을 간과하지 않는다. 물론, 그 자기애가 한편에서 자기를 간과한, '타자 지향' 매몰의 한계를 지닐 지언정, 자신을 남과 '공유'하고자 하는 열정의 건강함 또한 놓치지 말아야 할 지점으로 지적한다. 

<다빈치 노트>가 제시하는 인문학은 일상의 사물에서 시작하듯이, 거창하고 유식한 체 하는 인문학이 아니다. 인간의 역사도, 사상도 결국은 우리가 사는 세상의 평범한 사물로 귀결될 수 있는 소박한 인문 정신이다. 개그 프로그램보다도 재밌고, 다큐 못지 않은 세계를 보여주는, 아! 하고 감탄사를 연발하고, 깔깔 대며 웃다보면 어느새 한 시간이 훌쩍 지나가버린 그 시간에, 내 주변을 바라보는 눈은 조금은 넓어지는 시간, 바로 그것이, 발칙한 사물 이야기 다빈치 노트의 기록이다. 
by meditator 2015. 2. 9. 13:19

12월 2일 8시 50분 kbs2tv를 통해 또 하나의 파일럿 프로그램이 찾아왔다. 다행히도 이번에는 예능이 아니다. 그런데, 이 프로그램, 예능 못지 않게, 아니 종종 예능이 아냐? 할 정도로 재미지다. 바로 <발칙한 사물 이야기, 다빈치 노트>이다.

 

<발칙한 사물이야기, 다빈치 노트>는 인문학 토크쇼이다.

그런데 kbs의 인문학 토크쇼는 <발칙한 사물이야기, 다빈치 노트(이하 다빈치 노트)>가 처음이 아니다.

2011년 1월부터, 2012년 5월까지 방영되었던 <명작 스캔들>은 당시 인기있었던 문화 심리학자 김정운 교수와 조영남이라는 두 문화계 거두를 필두로 하여, 미술의 명작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문학적 이야기를 풀어냈었다.

또한 , 김정운 교수는 같은 해 소설가 이외수씨와 함께, <두 남자의 수상한 쇼, 야동>이라는 야릇한 제목으로, 우리 시대의 다양한 화두를 '삐딱하고 독특한 시선으로' 풀어내고자 한 바 있다.

이렇게 '인문학적 토크쇼'에 나름 전통을 가진 kbs가 이번엔 '사물'을 토크쇼의 주제로 들고 나왔다.

 

 

그리고 그 '사물'의 이야기를 풀어가는 사람들로, 역시나 요즘 트렌드가 되고 있는 인문학계의 인물들을 등장시켰다.

그 첫 번 째 인물은,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책은 도끼다' 등을 통해, 광고에 인문학적 사고를 부여한 것으로 화제가 되고, 그의 책을 통해 젊은이들의 당대 멘토로 등장한 광고기획자 박웅현씨다.

그에 이어, 두번 째 인물은, 요즘 한참 인기를 끌고 있는 '진화론'을 연구하고 있는 서울대 과학 철학 교수 장대익씨다. 10 여년에 걸쳐 침팬지 언어를 터득한 그는, 다짜고짜 mc인 김민정 아나운서에게 침팬지의 언어로 인사하며 딱딱할 것이라는 학자의 선입관을 넘어선다.

다음의 인물은 그의 독특한 이름보다, 그의 일러스트가 더 우리에게 익숙한 일러스트레이터이자 작가인 밥장이다.

마지막 인물은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이, 그의 성적 취향을 넘어서, 종횡무진 <마녀 사냥>을 비롯한 각종 토크쇼의 양념으로 그 입지를 톡톡히 다지고 있는 홍석천이다.

이렇게 광고, 학계, 미술, 그리고 연예계 까지 다양한 분야의 '핫'한 인물들을 모아, 하나의 사물을 주제로 다양한 이야기를 펼쳐가고자 한다.

 

그런데 어쩐다. 네 명의 패널이 다 아저씨들인데, 파일럿으로 방영된 방송의 첫 번째 주제가 립스틱이다.

레드와 핑크 말고는 립스틱 색깔도 구분할 줄 모르는 네 명의 '아저씨'들이 '멘붕' 에 빠졌음은 두 말할 나위없다.

그래서 <다빈치 노트>가 준비한 것은, 이렇게 인문학적 식견은 가졌지만, '남성'적 한계에 갇힌 패널들을 보충하기 위해, 모델 송해나, 방송인 김정민, 메이크업 아티스트 한우리, 뷰티 에디터 피현정이 등장했다.

이들은 때로는 '아저씨'들의 편협한 식견을 위협하고, 때로는 '인문학적'교감을 나누며, <다빈치 노트>를 풍성하게 만들었다.

 

'평균 길이 7cm, 필요에 따라 길어지며'라고 선정적인 소개로 시작한 립스틱에 대한 이야기는, 프랑스 루이 15세의 애첩 퐁피두르 부인에서 부터, 세계 제 2차 대전까지 종횡무진 역사를 다루는가 하면, 카이스트 학생들을 상대로 립스틱을 바르기 전, 후의 여자에 대한 심리 실험을 진행하고, 남미의 연지 벌레 등 성분 분석까지, 립스틱을 매개로 하여 할 수 있는 모든 이야기를 풀어내는 듯했다.

그 과정에서, 프랑스에서 개발된 립스틱이, 미국으로 건너오면서, 대중들의 전유물이 되었으며, 전쟁 통의 립스틱은, 남성들에게는 사기 진작의 효과로, 여성들에게는 남성들을 대신한 노동 인력으로서의 고됨을 달래주는 진정제라는 양면의 효과를 가졌었으며, 여전히 여성들에게는 자부심과, 위로의 효과를 주는 제일의 화장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립스틱이라는 사물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사회를 짚어보게 되는 시간이 된 것이다.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은, 주제가 립스틱이었던 관계로, 때로는 방송인 김정민이 진행했던 '겟잇뷰티'같기도 했고, 홍석천의 진한 농담이 흥건해지면, 졸지에 '마녀사냥'이 되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박웅현씨의 해박한 지식이 등장하면 'sbs지식나눔 콘서트 아이러브 人'이었다가, 장대익 교수의 진화론적 해석이 등장하면 흥미진진한 강의실이 되기도 하였다.

딱히 어느 한 성격을 고집한다기 보다는, '립스틱'이라는 주제로, 때로는 질펀한 농담이 오고가다, 진지하게 학문적인 분석을 해보고, 그런가 하면, 제시된 다큐 속의 진실을 파헤치기도 한다. 퐁피두르 부인의 립스틱을 가져다 달라는 유언을 단지 '미'에 대한 집착이 아니라, 당대 최고의 문화적 상징으로서의 자기 존재 확인이라는 면을 짚어 보듯이, 재미와, 그 재미를 넘어선 촌철살인의 묘미를 놓치지 않는다.

 

 

덕분에, 어설픈 그 어떤 예능보다도 <다빈치 노트>는 재밌었고, 재미를 넘어선 지식을 선사한다. 그 지식이 물론, '수능'시험에 필요한 그 어떤 것은 아니지만, 웃고 떠들고 그만인 것을 넘어, 우리 주변의 사물을 다시 한번 바라볼 수 있는 여유와 혜안을 선사하는 시간이 된 것이다. 이른바 '에듀테인먼트'의 전형적인 사례이자, 최근 다시 각광받고 있는 '스튜디오 토크쇼'와 '인문학'의 바람직한 결합이라 보여진다. 시청률과 상관없이, kbs2의 인문학적 토크쇼의 전통을 잘 이어가는 프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by meditator 2014. 12. 3. 10:01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