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 유전자 변형 식품으로 일반적으로 생산량 증대 또는 유통 가공 상의 편의를 위해 유전 공학 기술을 기존의 육종 방법으로는 나타낼 수 없는 형질이나 유전자를 지니도록 개발한 농산물을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 제초제에 강한 작물을 만들기 위해 제초제에 강한 바이러스를 식물의 유전자에 결합시키는 식이다. 국내에서는 2001년부터 콩, 옥수수, 감자 등에 '유전자 변형 농산물 표시제'를 실시하고 있다. 특정 작물을 인위적으로 변형 GMO에 대한 논의는 좀처럼 결론을 보지 못하고 있다. 


<모든 생명은 GMO다>라는 책을 펴낸 최낙언 박사의 경우 'GMO가 위험하지 않다'고 하며, 맛칼럼니스트 황교익 씨의 경우 '과학적으로 GMO 논쟁이 부질없으며 이에 반대를 하면 할 수록 우리 농민들이 피해를 보고 자금력, 기술력이 준비된 대기업들이 이들을 본다'며 논쟁 자체를 부질없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사람들에게는 GMO는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은 것'이란 인식이 지배적이다. 그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은 '선입견'에 기름을 부을 또 한 편의 다큐가 등장했다. 6월 25일 방영된 <SBS스페셜- 밥상 디톡스- 무엇을 먹을 것인가?>가 그것이다. 


아이들의 발달 장애, 그 원인은?
다큐의 시작은 캘리포니아 오렌지 농장 주변의 한 가정이다. 미국에서 두 번 째로 큰 오렌지와 레몬 농장이 있는 캘리포니아 툴레어 카운티, 이상하게도 이 농장 주변 마을에는 'ADHD', 자폐증 등 발달 장애를 겪고 있는 아이들이 다른 곳에 비해 유독 많다. 그 이유를 UC데이비드 마인드 연구소를 '유기계 살충제'에서 찾는다. 오렌지와 레몬 농장, 대규모로 키워지는 과실수들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살충제'들은 '차량'을 이용하여 거의 '비'처럼 뿌려진다. 그리고 그런 농장의 자녀들에게서 더 많은 발달 장애가 발생하고 있다. 

문제는 이런 아이들의 발병이 특정 지역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농장과 상관없는 도시에서 자란 아이들의 모발 검사를 한 결과, 놀랍게도 아이들의 머리칼에서 살충제 등이 성분이 여러 종 발견되었다. 왜? 근처에 농장도 없는데. 바로 아이들이 먹는 음식물에 '잔존'해 있는 살충제 잔류 농약 등의 성분이 고스란히 아이들 몸에 축적되어 있는 것이다. 
그 살충제  등의 잔류 농약 성분은 알레르기 증상을 비롯하여, 앞서 캘리포니아 농장의 경우처럼 각종 발달 장애, 심지어 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농약만이 문제일까? 



16살인 제이콥은 학교를 가지 않는다. 학교는 물론, 외출도 쉽지 않다. 밖에 나가서 무언가를 먹으며 발진, 구토, 발작, 그리고 기억 장애까지 나타나기 때문이다. 오랜 검사 끝에 의사는 그 원인을 '옥수수'에서 찾았다. 옥수수가 왜? 오늘날 미국에서 키우는 대부분의 옥수수는 이 글의 서두에서 문제 제기된 GMO  옥수수이다. 우리나라는 GMO 방식으로 키우는 옥수수를 허용치 않고 있다. 그러면 다행일까? 그저 옥수수를 먹지 않기만 하면 되는데 왜 제이콥은 학교에 가지 않을까? 문제는 이 GMO옥수수의 사용처가 무궁무진하다는 것이다. 옥수수 자체로 만든 음식은 물론, 옥수수에서 추출한 과당으로 들어간 각종 시럽, 기름 등등, 거기서 그치지 않는다. 옥수수가 가장 많이 쓰이는 곳은 '사료'다. 곡물 사료를 먹고 자란 동물들로 만들어진 각종 고기류, 육가공품, 아니, 여기서 끝이 아니다. 화장품, 의약품까지 어쩌면 우리가 사는 세상은 '옥수수'가 없으면 존재하지 못할 정도로 옥수수의 활약은 무궁무진하다. 이 '무궁무진'한 활약을 위해 대량의 옥수수가 필요하고, 그러니 'GMO'를 통해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을 하는 것이 오늘날 '곡물 자본주의'의 순리가 되는 것이다. 

밥상 디톡스가 기적을 만들다 
설마 옥수수? 하지만 제이콥의 어머니가 아이를 보호하기 위해 각종 인스턴트 식품과, 가공 식품들로 도배된 외부와의 '연'을 끊고, 옥수수와의 접촉 면을 제거하자, 놀랍게도 제이콥의 증세는 호전되기 시작했다. 제이콥만이 아니다. 완화는 될 지언정, 치유는 불가능하다 생각되는 자폐의 경우도 변화가 왔다. 세살 때 자폐 판정을 받고, 8살까지 말을 하지 못하던 스티븐도 농약업는 유기농 식재료로 밥상을 변화시키자 아이가 달라지기 시작했다. 밥상을 바꾸고 2년 뒤 스티븐은 자폐 완치 판정을 받고 이제는 우수한 학생이 되었다. 심한 알레르기로 거리에서 '괴물' 소리를 듣던 남은영 씨 역시 밥상을 바꾸고 나서부터 놀랍게도 알레르기가 완화되기 시작했다. 

SBS의 이런 '밥상 디톡스'는 어쩌면 새로운 것이 아니다. 지난 2월과 3월에 걸쳐 방영된 <바디 버든> 2부작에서 이미 우리, 그중에서도 특히 여성들의 자궁에서 벌어지는 각종 질병들이 음식 등을 통해 우리 몸에 축적된 '독'에 의해 그렇다는 것을 주장한 바 있다. 그리고 그 치료의 방법으로 '유기농 식단'과 각종 발암 물질이 발생하는 그릇, 옷, 생리대 등의 격리였었다. 
이제 6월 25일 방영한 <밥상 디톡스>는 그 일상의 독성에 대한 문제 제기의 일환에서 '밥상'에 보다 촛점을 맞춘다. 그리고 각종 잔류 농약들과 GMO농산물들이 우리 아이들의 몸에 일으키고 있는 변화를 그 증거로 제시한다. 



하지만 '밥상 디톡스'는 쉽지 않다. 앞서도 말했다시피 우리 나라에서 최근 가장 '인기있는', 거의 대표적인 음식 칼럼니스트 조차 GMO에 대한 논의 자체가 무의미하다 '단언'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다시금 독성 물질로서 잔류 농약이나 GMO 제품을 환기 시키는 것은 또 한번의 '소란'일 수도 있는 것이다. 거기에 현실적인 어려움도 있다. 다큐 속 제이콥이 결국 자신의 병을 치유하기 위해 세상으로 부터 자신을 격리했듯이,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의 삶에서 잔류 농약과 GMO 제품으로부터 자유로운 삶이란 어쩌면 환타지일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어머니들은 아이들을 위해 갖은 방법을 다 쓴다. 유기농 제품, 무농약 제품은 물론, 사정이 여의치 않을 경우 마트에서 사온 채소 등을 베이킹 소다, 식초, 혹은 적절한 야채 세제를 이용하여 씻고 먹인다. 하지만, 그 조차도 여의치 않다. 우선 유기농 제품과 무농약 제품의 경우 매장이 많지 않거나, 그런 제품의 경우 우리가 마트에서 쉽게 사먹는 제품에 비해 값이 비싸다. 허리띠를 졸라매야 하거나 바쁜 서민들에게 접근성이 떨어진다. 베이킹 소다, 식초, 야채 전용 세제 역시 수용성 잔류 농약은 제거되지만 지용성 농약의 경우는 불가능하다. 다큐를 통한 '밥상 디톡스'의 문제 제기는 건강하다. 하지만 그 '건강한 문제 제기'가 사회적 공론이 되기에는 우리가 사는 세상의 '소비'는 너무 지천이고, 경각심은 짧다. 
by meditator 2017. 6. 26. 1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