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지난 해 지역 mbc 9개국은 공동으로 '시대의 벽을 뛰어넘은 여성들' 5부작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은 방송통신 심의위원회에 의해 '이 달의 좋은 프로그램'으로 선정되었다. 2015년 3월 9일<mbc다큐 스페셜>은 여성의 날을 맞이하여 이 5부작 중 그간 상대적으로 조명받지 못한 여성 1호들을 모아, '시대의 벽을 넘은 여성'으로 방영하였다.
진짜 최초의 여성 비행사 1호 권기옥
우선 '시대의 벽을 넘은 여성'이 첫 문을 연 것은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비행사이다.
그런데 최초의 여성 비행사라면, 이미 영화<청연>을 통해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박경원이 있기에, 이 '최초'는 논란의 대상이 된다.
하지만 <다큐 스페셜>은 진정한 여성 비행사 1호로 권기옥을 내세운다. 공식적인 비행 자격증으로 따진다면야 1927년 1월 28일 일본 비행학교를 졸업하고 3등 비행 자격증을 딴 박경원이 우세할 것이다. 하지만, 식민지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비록 공인된 자격증은 없지만, 1925년 2월 28일 윈난 비행학교를 졸업하고 1926년 4월 20일 중화민국 본부 '항공사 부비행사' 임명장을 받은 권기옥이 전투기이지만 비행사 자격증에서는 앞섰으며, 또한 권기옥의 성취는 단지 우리나라 최조의 여류 비행사에 머무르지 않고 동양 최초 여류 비행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다큐는 최초 여류 비행사가 된 권기옥의 행보의 근원을 '독립 운동'에서 찾는다. 일찌기 평안남도 평양 출신으로 일찌기 숭의여학교 시절에 3.1운동에 적극 참가하여 구금되었고, 또한 이후 임시정부와 연계해 군자금 모으는 일에 참가하다 다시 6개월의 옥고를 치룬다. 감옥에서 나온 후 경남 도경 폭파 사건에 연루되어 일본의 검거을 피해 상해로 밀항한다.
중국으로 건너 간 권기옥은 '폭탄을 실고 가 천황이 사는 곳을 폭파하겠다'는 의지로 남장을 하며 중국 비행학교에 입학한다. 남성들과 똑같은 혹독한 훈련을 견뎌내며 훈련 비행 9시간만에 단독 비행을 허락 받는 등 놀라운 성적을 보이며 항공학교 1기생으로 졸업을 하게 된다.
졸업 후 우리나라 독립 운동을 위해 헌신하고자 하였으나, 당시 임시정부는 비행기를 살 여력이 없어, 불가피하게 중국 국민 혁명군 공군으로 활동하다, 1943년 중국 공군에서 활약하는 한국인 동지들과 함께 일본에 대항하여 한국 비행대을 편성할 계획을 수립하던 중 1945년 해방이 되는 바람에 직접 비행기를 몰아 일본을 친다는 포부를 이루지 못했다. 이후 귀국, '공군의 아주머니'로 공군 창설에 기여하였으며, 올바른 역사를 남기겠다는 포부로 [한국 연감]을 자비로 발행하고, '극일'(克日)하는 젊은이들을 키우고 싶다는 뜻으로 전재산을 장학 사업에 기탁한 채 소박한 말년을 보냈다.
최초의 기자이자 여성 인권 운동가 김원주
스스로 비행사가 되어 일본을 치겠다는 포부로 여성 비행사 1호가 된 권기옥에 이어 여성 1호로 등장한 것은 우리나라 최초 여성 기자이자, 최초로 여성 잡지를 펴낸 우리에게는 일엽 스님으로 더 잘 알려진 김원주이다.
"(중략) 그러나 정조란 결코 그러한 고정체가 아닙니다. 사랑이 있는 동안에만 정조가 있습니다.만일 애인에게 대한 사랑이 소멸된다면 정조 의무도 소멸될 것입니다."
'과거에 몇 사람의 이성과 연애의 관계가 있었다 하더라도, (...) 과거를 일체 자기 기억에서 씻어 버리고 단순하고 깨끗한 사랑을 새 상대자에게 바칠 수가 있다면, 그 남녀야말로 이지러지지 않은 정조를 가진 남녀라 할 수 있습니다. 정조는 결코 도덕이라고 할 수 없고, 단지 사랑을 백열화白熱化 시키는 연애 의식의 최고 절정이라 하겠습니다.
2015년 현재에도 다시 한번 살펴보게 되는 이 글을 최초의 여기자였던 김윤주는 1927년 [나의 정조론]를 통해 밝히고 있다. 뿐만 아니라 김원주는 이런 생각을 글로써 뿐만 아니라 스스로 실천하는 삶을 살기 위해 노력했다.
1920년대 근대화로 넘어가는 식민지 조선, 하지만 여전히 그곳은 성적인 측면에서는 남성이 지배하는 전근대 사회였다. 그 시대, '자유 연애'란 2015년 오늘날의 남자와 여자가 그저 자유롭게 만날 수 있다는 막연한 '사랑'의 관념이 아니었다. 12,3살이면 누군가의 아내가 되어, 평생을 남의 집안을 위해 자신의 노동을 혹사해야 하는 당시 여성들의 삶에서, '자유 연애'란 여성이기 이전에 인간으로서의 '주체적 삶'을 살겠다는 '인권선언'이었던 것이다.
가난한 집안에서 하지만 어머니와 외할머니의 도움으로 이화학당을 수료한 후 일본 유학까지 다녀온 김원주는 일본의 식민지이자, 남성들의 식민지였던 조선의 여성들을 일깨우기 위해, 여성에 의한, 여성들의, 여성들을 위한 '신여자(新女子)'를 발간하였다. 하지만 당시 전체 여성 중 글을 읽을 줄 아는 여성이 10%에도 미치지 않는 식민지 조선에서 여성들 스스로 만든 여성을 위한 잡지의 길은 고난 그 자체였다. 결국 4호 발간을 끝으로 '신여자'는 폐간되었고, 이후 김원주는 그녀의 '진보적' 사상을 펼치기 위해 시작을 비롯하여 다양한 언론 활동을 펼쳤지만, 당시 사람들에게는 이혼, 유부남과의 불륜 등 스캔들의 주인공이 되어 논란의 대상으로 고통을 받았을 뿐이었다. 이후 김윤주는 불교에 귀의한 후 칩거하다, 1960년 대에 이르러서야 '청춘을 불사르고' 등을 베스트 셀러로 만들며 대중의 사랑을 확인하게 되었다.
최초의 여성 국비 유학생 김필례
마지막으로 다큐가 소개한 사람은 교육 운동에 헌신한 김필례 여사이다.
대한제국 시기 최초의 국비 유학생으로 일본에 건너 갈 기회를 얻은 김필례는 그 기회를 자
신이 이 땅의 교육을 위해 헌신하라는 소명으로 삼아 평생을 여성 교육 사업에 헌신한다.
일본 유학 후 정신 여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치며 민족 정체성을 키우는데 앞장섰다. 하지만
일본이 내선 일체 정책으로 한국의 역사를 가르치지 못하게 하고, 한국어 말살 정책을 펼치
며, 신사 참배를 강요하자, 이에 순응하지 않은 정신 여학교는 문을 닫게 되었다. 해방 후
결혼으로 내려간 광주에서 수피아 여고 교장 등으로 활동했다. 돈이 없어 학교에 다닐 수
없었던 전쟁 고아에게 사비를 털어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아낌이 없었던 김필례 여사
를 기억하여 70이 넘은 늙은 학생들이 여전히 그녀를 추모하기 위해 모인다.
또한 교육 사업 뿐만 아니라, 1919년 YWCA를 여성 선각자들과 함께 창립한 이후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사회적 활동에 앞장서 왔다.
시대의 벽을 넘어선 여성은 식민지 조선을 살아낸 군인으로서, 여성 인권 운동가로서, 그리
고 교육자로서 다방면에서 활약했던 여성 선지자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우리에게 최
초의 여성 비행자로 알려진 박경원을 넘어, 진짜 최초 비행사였던 진실을 밝혀내듯이, 그녀
들이 살았던 일제 시대, 그리고 남성 중심 사회라는 벽을 넘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여성들의
면면을 알리기에 애썼다. 또한 최근 우리 사회에서 일제 시대의 위인들이 알려지지 않는
'친일 행적' 등으로 오점을 남기는 것과 관련, 뒤늦게라도 그 위업의 순결성이 인정받는 여
성 선지자들을 옥석을 골라 알리기에 노력한다. 덕분에, 2003년에야 유공자가 된 권기옥의
생애가, 그저 화려한 스캔들의 주인공이었던 일엽 스님의 전사가, 그리고 김마리아의 측근
이었던 김필례 여사의 꾸준한 행보가 2015년 여성의 날을 맞이하여 시대를 앞서간 여성으
로 소개될 수 있었다.
'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화를 시도한 <투명인간>, <체험 삶의 현장>조차 넘지 못하다 (2) | 2015.03.12 |
---|---|
<풍문으로 들었소> 한정호-최연희 부부의 '갑질' 어떻게 느끼시나요? (0) | 2015.03.11 |
<전설의 마녀> 초긍정 성공 스토리와 복수극의 절묘한 콜라보, 거기에 화룡점정은 김수미 표 코믹! (0) | 2015.03.09 |
<하트 투 하트>부조리한 부모들의 세계를 벗어나 '사랑'으로 비로소 진정한 어른이 되다 (1) | 2015.03.08 |
<스파이> 가까이 하기엔 너무 멀었던 스파이 모자 이야기 (0) | 2015.03.07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