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1000만을 넘어 1300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 <국제 시장>은 여전히 박스 오피스 4위를 유지하면 흥행 가도를 달리고 있다. <명량>, <아바타> 에 이어 역대 박스 오피스 순위 3위를 기록하는 성취를 이루었다. 그런데, 여기서 과연 사람들은 <국제 시장>을 단순히 그 시절을 추억하기 위해 <국제 시장>을 보러가는 것일까? 영화 <국제 시장>이 흥행을 하면 할 수록, 오히려 <국제 시장>세대 혹은 그와 비슷한 삶을 살아온 세대들은, 그 영화를 통해 현실을 살아가는 자신의 결핍감을 위로받으려고 하는 것은 아닐까? 추억은 힘이 세다고 하지만, 사람들은 사람들은 현실의 자존감이 떨어질 때, 과거를 탐닉하게 된다. 어쩌면 우리 시대 <국제 시장>의 흥행은 바로 그 시절을 살아온, 혹은 그런 사고 방식으로 살아온 세대의 자기 회한을 역설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영화 <국제 시장>에 대해, 영화 속 주인공 덕수의 삶은 파란만장했지만 정작 영화 속 덕수란 인물이 제대로 형상화되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경우가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그 시절을 살아온 덕수란 인물을 그저 시대가 그에게 요구하는 것을 수용하고 그 속에서 자기 자신과 자기 가족을 살게 하기 위해 자신을 던진 인물이기에, 그에게 '자아'를 요구하는 것 자체가 어쩌면 어줄성설일 수도 있다. 그렇게 그 시절을 '자신'이란 존재를 버려 둔 채 '생존'을 위해 달려온 세대들은 이제야 뒤늦게 영화를 보며, 자신들의 삶의 정당성을 복기하고자 한다.

 

 

<국제 시장>의 후일담 혹은 말하지 않은 이면의 이야기

이렇게 장황하게 영화 <국제 시장>의 이야기를 늘어놓은 것은 바로 <고맙다 아들아>란 드라마에 대해 이야기를 풀어가기 위해서다. 이른 설 특집극으로 편성된, 사실은, 종영한 <왕의 얼굴>이후의 공백기를 메우고자 땜질식으로 편성된 2부작 특집극 <고맙다 아들아>는 제목과 달리, 골치거리 두 아들의 이야기이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제목은, <고맙다 아들아>이다. 그 이유는 바로 일반적으로 교육 문제를 둘러싼 아이와 부모의 갈등이 갈등 자체의 해소에 촛점을 맞춘 것과 달리, 바로 그런 갈등의 원인이 된 부모들의 삶, 삶의 자세까지 시야를 확산한다. 그리고 바로  그 확산된 시야 안에는, 사실은 <국제 시장>의 덕수와 그리 다를 바 없는 삶을 살아온 또 다른 부모 세대의 삶이 존재한다.

 

극 중 형으로 등장하는 장형산(이대연 분)은 <국제 시장>의 덕수처럼 전형적인 우리 시대의 장남이다. 어려운 가정에서 태어나 의사가 되고 싶었지만 그럴 수 없었던 그는 자신이 일용직 노무자, 외판원, 심지어 새우잡이 배 선원을 하며 돈을 번 대신, 동생을 의사로, 아내를 초등학교 교사로 만들었다.

그런 형의 희생으로, 동생인 장형준(최진호 분)는 원치 않았지만 의사가 되었고, 이제는 아내와 아이들을 위해 서울 시내 그의 이름을 내건 정형외과를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동생과 가족을 위해 자신을 희생한 형의 학력은 고졸 검정 고시에 방통대로, 5급 사무관을 바라던 그의 소망은, 주민센터 좌천이란 좌절을 안긴다. 자존심이 상한 형은 난생처음 동생에게 어려운 부탁을 했지만 그에 대한 동생의 반응은 냉담하다.

 

자존심이 상한 형은 그에 대한 보상으로, 한때 그가 꿈꾸던, 하지만 동생이 대신 이룬  꿈을 아들을 통해 다시 한번 이루고자 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의 아들은 삼수를 하고도 또 의대 입시에 실패하고 만다.

자신처럼 억지로 의대를 보내지 않겠다던 동생이었지만, 그 역시 서울 시내에 번듯한 정형외과를 한다는 자신의 '사회적 위치'에 걸맞는 이른바 '스카이' 행을 요구한다.

 

의대 입시에 3수를 하고도 실패한 장형산의 아들 재우(안재민 분), 재수를 하면서 1년 내내 좋은 성적을 낸 줄 알았더니 그 모든 것이 우등생을 바라는 부모에 대한 '사기'였던 시우(이정신 분), 이렇게 두 사촌 형제는 그들 부모들의 바람대로는 커녕, 그 발끝에도 미치는 못하는 성취를 하고, 심지어 속이기까지 하고 집을 나가 버린다.

 

말도 없이 집을 나선 재우, 그리고 금고의 돈까지 들고 집을 나선 시우, 그렇게 부모들이 원하는 방향에서 엇나가기 시작한 아이들의 일탈은 뜻밖에도 부모들의 해묵은 문제를 끌어 낸다.

 

 

 


 

 

자식의 상처를 만다는 부모들

<고맙다 아들아>는 결국 우리 사회 학력을 향해 치달아 가는 현상들의 근저에 장형산, 장형준과 같은 부모 세대들의 보상 심리가 깔려있다고 짚는다. 즉, 영화 <국제 시장>은 우리 아버지들, 할아버지 세대들의 삶을 그럴 듯하게 그려냈지만, 정작 그 시절을 살아온 부모 세대들은, 그렇게 자신을 던지며 살아온 삶으로 인해 상처받았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상처를 자식들에게 요구하게되고, 그것이 오늘날 우리 사회의 숱한 교육적 갈등을 유발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영화는 스펙타클한 화면에 그 시절을 아름다운 추억으로 그려내지만, 정작 그 시절을 살아온 사람들의 상처는 치유되지 않은 채 곪아 문드러져 자식 세대까지 상처입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한다.

 

일찌기 <신의 저울>을 위시하여, <즐거운 나의집>, 그리고 <골든 크로스>까지 우리 사회의 문제들을 날카롭게 형상화해왔던 유현미 작가답게, 교육 문제를 둘러싼 가족 간의 갈등 조차도, 그 문제 자체를 넘어 시대적 혜안을 드러낸다. 즉, 현실의 교육 문제를 낳은 것이 결국 부모 세대가 잘못 선택한 삶의 방식 때문이라는 것이다. 결국, 일찌기 생존을 위해, 혹은 성장을 위해 선택된 부모 세대들의 삶의 방식이 비록 드라마에서처럼 입지전적 성공을 이루고, 나라를 잘 살게 만들었을 지는 모르겠지만, 그 과정에서 '자신'을 놓친 부모 세대의 삶이, 여전히 자식들에게 조차, '자신'을 상실한 채 남 보기에 그럴 듯한 삶으로 몰아 붙이고 있다는 것을 단 2부작의 드라마로 그려낸다.

 

설 특집극답게, 날카롭게 자식들의 교육 문제를 넘어 부모 세대의 근원적 문제로까지 지평을 넓히던 드라마는 전형적으로 아들의 사고를 매개로 부모 세대의 '급' 반성과 세대간 형제간 화해로 마무리 짓는다. 드라마에서는 그렇게 아버지와 아들, 형과 동생이 서로의 손을 잡고 '미안하다', 다 '내 탓이다'라며 기회를 얻지만, 실제 그런 문제에 봉착한 부모와 자식들에게 과연 그런 기회가 있을까?라는 생각이 오히려 급조된 듯한 해피 엔딩을 보며 들게 만드는 결말이었다. 시우는 옥상에 올라 마지막 한 발을 내딛지 못한 자신을 원망했지만, 많은 아이들이 겨우 몇 점의 수능 성적 때문에 여전히 자신을 버리고 삶을 버리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자신의 삶을 돌아볼 기회를 가진 아버지들은 '고맙다 아들아'라고 말을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존재 자체만으로 든든한 아들들과 둘레 길을 걷지만, 현실의 아버지와 아들들은, 혹은 형과 동생들은 해묵은 오해를 풀지 못한 채 남보다 못한 사이로 남기 십상인 것이다.

 

그럼에도 역설적 제목 <고맙다 아들아>처럼, 자식들의 문제를 통해 부모들의 삶마저도 반추해볼 수 있는 기회를 준 특집극, 장황한 미니시리즈 못지 않게 여운을 남긴다.

by meditator 2015. 2. 13. 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