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2월 30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 시에서 원인모를 질병이 발명했다. 해가 바뀌어 1월 9일 첫 사망자가 발생했다. 코로나 19 발생 200일, 지금까지 코로나 19에 걸린 사람은 1610만 명, 아직도 하루에 20만 명의 환자들이 발생하고 있다. 지금 이 순간도 진행되고 있는 코로나 19, 21세기의 판도를 바꾼 감염병, 그 '팬데믹' 현장의 기록을 kbs가 전한다. 

국가는 어디에 있나? 
'기껏해야 감기 정도'라고 장담했던 자이르 보우소나르 브라질 대통령, '브라질에 바이러스는 존재치 않는다'는 정부는 마스크를 쓰기를 권고하거나 외출을 자제하도록 권유하지 않았다. 심지어 3월 15일에는 그런 정부 입장을 지지하는 관제 시위까지 등장했다. 5월 11일에는 창궐하는 코로나 19에도 불구하고 보건부와 협의도 하지 않은 채 가게들의 영업 재개를 허용했다. 

그런 안이한, 거기에 한 술 더 떠 대기업을 위한 경제 살리기에만 정부의 대처는 결국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누적 확진자 270만 명, 전체 도시 중 98%가 코로나 19에 노출되는 통제 불능 상황을 맞이했다. 특히 그 피해는 빈민촌에 집중됐다. 빈민촌의 사망자는 방치되었다가 27시간이 지나서야 수습되는가 하면, 걷잡을 수 없이 느는 사망자로 인해 숲을 밀고 집단 매장지를 긴급하게 마련해야 하는 상황을 맞이했다. 그런 상황에서도 대통령은 자신이 기적을 행할 수는 없다며 책임을 회피하고, 더 이상 국민을 존중하지 않는 정부를 견딜 수 없는 시민들은 거리로 나섰다. 

 

 

이탈리아의 상황도 여의치 않다. 지난 2월 이탈리아 북부에서 원인을 알수 없는 환자들이 급증한 이래 보건당국은 상황을 낙관하며 봉쇄나 출입국 제한 등 대처에 늑장을 부렸다. 치료 장비 부족으로 회복 가능성이 없거나, 노인 환자들의 호흡을 돕기 위한 헬멧을 벗겨 다른 환자에게 씌워주는 의료 시스템의 붕괴 상황에 봉착했다. 수습되지 못한 시신들은 성당에 누워있고, '죽어도 괜찮은 나이는 몇 살인가'라며 시민들은 거리로 나와 정부에 항의했다. 

세계 제 1의 국가면 뭐하나 
브라질과 이탈리아 상황이 보여준 것은 결국 전염병이라는 비상 상황에 있어 국가의 역할이다. 그리고 그 역할의 민낯을 여실히  보여준 것은 바로 세계 제 1의 국가라 큰 소리치던 '미국'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혀 문제 없어요'라고 말한 것이 무색하게 3월 22일 뉴욕시가 봉쇄되었다. 의료 시스템은 속수무책이었다. 장비도, 병상도, 관리할 사람도 없었다. 시신을 우선 보관할 냉동 트럭까지 등장했다. 가족이 없는 시신들은 뉴욕 인근 작은 섬에 매장당했다. 

이게 세계 제 1의 국가에서 지난 몇 개월 동안 벌어진 일이다. 여행 유투버인 발레리는 안전하니 밖에 나가도 된다는 대통령의 감언이설에 맘 놓고 해외 여행을 하다 코로나 19에 걸렸다. 책임감없는 리더쉽은 그 피해가 바로 국민 개개인에게 전가된다. 급증하는 환자, 대처 능력이 없는 정부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자, 트럼프 대통령은 성급하게 하이드락시 클로로퀸의 치료제로서의 효과를 장담했다. 그러나 입증되지 않은 약품이었다. 반면 발 빠른 대처의 기본이 되어야 할 진단 키트의 승인이 늦어져 기하급수적 감염을 조장했다. 데이터와 과학자들을 존중하지 않는 정부, 결국 15만 명의 사망자, 전세계 코로나 19 환자  5명 중 1명이 미국인이라는 최대 감염국의 오명을 받아들었다. 

반면 중국의 경우 '공산당의 권위주의적 정책'이 중국민의 피해를 막지 못했다. 12월 30일 우한 건강위에 원인모를 질병 발생이 보고된 이래, 1월에 첫 사망자가 발생했지만 춘절과 겹쳐 대처가 늦었다. 1월 23일 봉쇄된 공항, 하루 아침에 1108만 명이 도시에 갇힌 신세가 되었다. 

 

 

코로나 19 확산 과정에서 사망자는 속출했지만 전염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처음 전염병이라는 사실을 알리려던 의사는 외려 거짓 유포 혐의로 곤혹스런 처지에 바졌다. 확진자 발표 21일 후에야 전염병이라는 사실을 인정한 정부, 이에 대해 정부는 지방 정부에서 중앙 정부로 이어지는 보고 체계의 권위주의적 관료 시스템이 발빠른 대처를 막았다며 뒤늦은 변명을 한다. 거기에 검열과 투명성 부재의 공산당의 의사 결정 과정이 피해를 가중시켰다. 전문가들은 안타까워한다. 시진핑은 3월 10일 우한을 방문하여 승리를 선언했지만 3주만 중국 정부가 일찍 행동했어도 확진자의 95%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고.

무엇이 중요한가? 
'생명을 지켜줘', 일본 국회 앞 시위 대열에 참석한 일본 시민들이 든 피켓의 문구이다. 기업 캠페인에 돈을 몰아주고, 올림픽 유치에 목을 거는 정부로 인해 국민의 생명과 삶이 위협받는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늑장 대처와 소극적 검사. 이것이 일본 정부가 코로나 19에 대한 대처이다. 3월 6일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호 승무원 20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지만 18일간 700여 명이 될 때까지 방치했다. 이 사태를 보고 전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경악했다. 어떻게 선진국이라는 일본에서 저런 일이! 

일본에서는 본인이 적극적으로 검사를 받으려 하지 않으면 코로나 19 감염 확진을 받기 어렵다. 37.5도 이상 발열 나흘 이상이거나 폐렴 증상, 동맥혈 산소 포화도 93% 이하 등 까다로운 조건이 따라붙는다. 우리나라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낮은 검사 건수, 당연히 확진자 수가 낮을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그렇게 확진자 수를 의도적으로 낮추려는 일본 정부의 얕은 수에도 불구하고 7월말 도쿄 일일 확진자 수가 1000 명을 넘어섰다. 시민들은 정부가 재해마저 돈으로 사려 한다고 불만의 목소리를 높인다. 심지어 게임의 카드처럼 불성실하게 대처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스웨덴의 경우는 정부가 코로나 19에 대해 다른 국가들과 다른 실험적 입장을 고수해 왔다. 코로나 19 바이러스를 막을 수 없다고 생각한 스웨덴 정부, 봉쇄나 영업 금지 정책을 실행하지 않았다. 당연히 마스크나 손소독제를 구하기 조차 어렵다. 스웨덴에서는 외려 마스크를 쓴 사람을 무서워할 지경이다. 자국의 의료 역량을 고려하여 선제적 방역 대신 선별적 방역을 실시하고, 의료계가 감당할 수준에서 노인과 위험 집단을 보호해 왔던 스웨덴 정부, 다른 유럽 국가들이 코로나 19의 환자가 줄어가고 있는 즈음에도 10만 명당 확진자가 100 명을 넘어 독보적으로 심각한 상태에 빠졌다.

5월에만도 70%의 신뢰를 얻었던 공공 보건 정책은 이제 그 신뢰도가 57%로 떨어진 상황, 조금 더 일찍 검사를 실시하고, 조금 더 일찍 마스크를 섰더라면 조금 더 국민들의 피해를 줄이지 않았을까라는 국민들의 실망이 고스란히 반영된 것이다. 

 

 

전문가들은 팬데믹 상황에서 초기에 감염자 수 등을 정부가 적극적으로 알릴 시 당연히 시민들의 불안감은 고조되는 수순을 밟게 된다고 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과정을 통해서 정부 정책의 투명성과 신뢰를 담보하여 이후 감염병 정책에서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다행히도  그 대표적인 사례가 세계가 입을 모아 부러워하는 우리나라이다. UHD 카메라로 생생하게 전한 팬데믹의 현장, 결국 그곳에서 만난 건, '국가'이다. 전세계의 역사를 바꾼 코로나 19 팬데믹, 그 과정에서 국가가 어떤 선택을 하는가에 따라 이후 상황은 달라진다. 국가의 늑장 대처, 혹은 책임의 회피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전가된다. 감염병이라는 공통의 적, 하지만 국가의 선택이 국민들의 운명을 갈랐다. 

by meditator 2020. 8. 3. 0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