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2020년 방송 통신위원회는 올해의 방송 대상으로 ebs다큐 프라임 <인류세> 3부작을 선정했다. 260편이 넘는 응모작 중 '인류세라는 재난적 상황에 우리가 힘을 합치지 않으면 인간 역시 멸종을 피할 수 없다 사회적 메시지'가 대상 선정의 이유로 꼽았다.
<인류세 > 3부작은 이미 앞서 프랑스 스크리닝 마켓에서 20,000 개 이상 스크리닝 작품 중 가장 많이 본 9번 째 작품으로 뽑혔고, 바르셀로나 플래닛 영화제 사르라다파밀리아 상, 한국 기독 언론 대상 생명사랑 부문 최우수상, 미국 임팩트 다큐 어워즈 장편 다큐멘터리 은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이에 ebs는 수상 기념으로 10월 5일부터 3부작을 다시 방영했다.
그렇다면 용어조차 생소한 '인류세'란 무엇일까? 지구가 형성된 이후 현재까지의 단계인 '지질시대' 중 약 1만년 전 부터 현재까지를 '홀로세'로 구분한다. 2001년 화학자 파울 크루첸은 '인류가 화석 연료를 대규모로 사용하면서 그로 인해 배출된 온실 가스로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가 시작되었음에 주목하여 '인류세'라는 개념을 창안했다. 즉, 공식적인 지질 시대명은 아니지만 너무도 강력해진 나머지 자기 자신을 포함한 지구 전체의 운명을 좌지우지하게된 생물종, 인류가 지배하는 시대라는 개념이다. 3부작 특집 다큐멘터리 <인류세>는 '닭뼈', '플라스틱', '과잉 인구' 세 가지 키워드를 통해 인간이 지구에 미친 영향을 풀어내고자 한다.
인구 폭발, 붕인섬
꾸르니 아완 안드레, 물고기 잡는 걸 좋아하는 14살 소년이다. 아직은 길어야 2분 정도 물 속에서 숨을 참고 작살질을 하는 소년은 한번 물에 들어가면 4~5분 숨을 참을 수 있는 어부인 아버지처럼 물고기를 잘 잡는 게 희망이다.
안드레는 바자우 족이다. 1만 7천 여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세계 최대의 도서국가 인도네시아, 그곳에 사는 바자우 족은 원래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니며 사는 바다의 집시들이다. 그런데, 2002년 섬으로 들어가는 다리가 놓이며 세상에 알려진 붕인 섬, 이곳 바자우 족들은 독특하게도 200여 명의 섬 주민에 정착 생활을 하고 있다. 다큐는 정작 생활을 하는 붕인 섬의 바자우족들을 통해 '인구 과밀'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고자 한다.
다리를 통해 세상과 이어진 붕인 섬, 그 다리를 통해 세상의 문물 역시 붕인 섬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붕인 섬에는 쓰레기 통이 없다. 지금까지는 쓰레기가 생기면 키우는 염소들이 다 먹어 치웠기 때문이다. 쓰레기라 봐야 대부분 먹고 남은 음식 쓰레기였으니 가능했다. 그런데 바깥 세상에서 비닐과 플라스틱이 들어오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쓰레기통이 없는 붕인 섬에서 쓰고 버린 비닐과 쓰레기들이 점점 섬을 채워가기 시작했다. 섬 주변을 채우고도 남은 쓰레기는 바다로 흘러가기 시작했다. 염소는 비닐을 먹고 병이 들기 시작했고, 바다에 둥둥 떠다디는 쓰레기로 인해 물고기가 줄어들기 시작했다.
화산 폭발로 이곳에 모여든 바자우 족은 이곳 붕인섬에서 살아가는 것을 자신들 삶의 숙명이라 여긴다. 그런데 처음 100 여 명에서 시작된 바자우 족은 해마다 늘어나 이제 4000 여 명에 이른다.
왜 이렇게 인구가 늘어나고 있을까? 조절은 안되고 있는 것일까? 1년에 100 여 명의 신생아가 태어난다. 반면에 죽는 사람들은 34명 정도이다. 당연히 인구는 급격하게 늘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정부에서는 2명을 낳으라하지만, 그 정부의 정책이 사람들에게 '수용'되지 않는다. 여전히 많이 낳는 것이 바자우 족의 '관습'이다. 4명, 5명, 6명, 7명까지도 낳는다. 붕인 섬 사람들이 자신들의 관습을 고집하는 한 인구는 더 늘어날 것이다.
늘어나는 인구는 많은 문제를 발생시킨다. 매년 서른 쌍 정도가 결혼하는 바자우 족, 새로 결혼하는 부부에게는 '새 집'이 필요하다. 하지만 새 집을 지을 땅이 부족한 바자우 족은 바다에서 죽은 산호를 캐내 집을 지을 '땅'을 넓힌다. 그리고 넓힌 산호 땅에는 육지에서 들여온 자재로 집을 짓는다. 해마다 새로 필요한 산호 땅을 위해 바다에서 산호를 캐내는 마지노이는 점점 더 깊은 바다로 향한다. 그의 보트 수 백대를 채워야 집 한 채가 만들어지는 붕인 섬의 집들, 바다가 섬을 감당해야 하는 '짐'이 그만큼 커지고 있다.
어디 집을 짓는 산호 뿐인가. 육지의 사람들이 차를 가지듯 붕인 섬의 사람들은 차처럼 배를 가진다. 한 대는 기본, 재력에 따라 두 대, 세 대를 가지기도 한다. 늘어나는 배와 함께 어획량도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상황, 하지만 물고기 개체 수는 그대로이다. 늘어나는 배만큼 경쟁도 심해지고, 배들은 시도 때도 없이 바다로 향한다. 바다는 위협당할 수 밖에 없다.
마을 사람들은 생선은 매일 즐기지만 육지나 도회지의 사람들처럼 인스턴트나 육류를 즐기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친환경적일까? 붕인 섬에서는 채소가 나지 않는다. 키울 땅이 없다. 채소 뿐인가. 전기, 수도, 플라스틱 등의 공산품, 식료품 등 생활의 대부분을 섬 외부로 부터 조달한다. 재생 에너지? 붕인 섬 사람들은 재생 에너지가 무엇인지 조차 모른다. 자동차와 비행기는 이용하지 않지만 붕인 섬 사람들처럼 살려면 2.7개의 지구가 필요하다.
지구의 한 귀퉁이에 불과한 붕인 섬, 하지만 붕인 섬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은 곧 지구의 축약본이다. 지구를 1억 분의 1로 줄이면 붕인 섬이다. 아버지처럼 어부가 되고 싶은 안드레, 하지만 청년 정치가 티손 사하부딘은 붕인 섬의 어부는 조만간 사라질지도 모른다며 안타까워한다. 물고기가 살기 좋은 환경을 위해 지난 10년간 노력했다. 그 결과 절반 가까이 훼손되었던 산호에 새 살이 돋는 중이다. 하지만 안드레가 느끼게 될 바다는 그 이전 세대가 느끼게 될 바다와는 다를 것이다.
1950년대를 기점으로 에너지 사용과 기온 상승 오존 파괴 등 지구 시스템의 가파른 상승세가 시작되었다.
'거대한 가속은 지구 시스템의 변화 비율을 통제 불가능한 상황으로 밀어붙였고, ㄱ결국 지구 시스템은 홀로세의 안정적인 상태를 벗어났다. 그 결과 호주 들불과 같은 기후 위기로 나타나고 있다. 더 이상 우리는 홀로세에 살고 있지 않다. '(책 <인류세> 중)
인류세, 인류가 소행성 충돌, 지각판 충돌처럼 지구의 지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기 시작했다. 붕인섬은 바로 인류세의 현장이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