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는 대로~, 생각한 대로~, 될 수 있다고, 느낄 수 있다고~'

<굿닥터>를 보고 있노라면, 이적과 유재석이 함께 부른 '말하는 대로'라는 노래가 자꾸 떠오른다. 그리고 요즘 한참 유행하는 수많은 자기계발서의 문구들이 떠오르기도 한다. 꿈을 가려자. 당신의 꿈을 향해 달려라. 그리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실력을 키워라. 아니나 다를까, 3일자 방송 말림에 김도한 교수는 말한다. '네가 이 병원에 남고 싶으면, 나를 뛰어넘으라'고

2일 밤 방송된 <굿닥터>에서 수술을 하게 되면 더 이상 노래를 부를 수 없게 된 성악 소년 규현(정윤석 분)의 이야기는 박시온의 진단 의학과 전출과 함께 맞물려 진행되었다. 
드라마는 그토록 노래를 잘 부르던 소년이 알고보니 소리가 싫어서 빈  MP3를 늘 귀에 꼽고 있었으며, 어린 시절 부터 늘 노래 밖에는 할 줄 아는 게 없는 외톨이였음을 밝힌다. 그런 그에게 엄마는 지금까지 해온 거을 생각해서라도 무리를 해서라도 독일 유학을 가야 한다고 고집을 피운다. 그런 난처한 처지의 소년에게 박시온은 다가간다. 그리고 늑대 소녀 은옥을 보여준다. 말도 못하지만, 규현의 노래를 듣고 행복해 하는. 그러면서 규현의 진짜 꿈이 독일로 가 합창단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을 위해 노래를 부르는 것이었다는 것을 밝히고, 규현은 진짜 웃기 위해 수술을 하겠다는 결단을 내린다. 
그리고 박시온 선생은 언제나 그렇듯, 수술 과정에서 기가 막힌 타이밍에서 규현의 목소리를 잃지 않게 할 방법을 알아내고, 그 방법으로 규현의 수술은 성공리에 끝난다. 
아름다운 감동 휴먼 스토리이다. 


김도한 교수는 혼자 길을 건너다 사고로 죽은 동생을 생각하며 박시온의 가능성을 접어버리고 박시온이 원하는 의사를 하면서 안정되게 살 수 있는 방법으로 '진단 의학과'를 택한다. 
하지만 드라마는 그건 틀린 방법이라 말한다. 현실에 안주하지 말라고 말한다. 상식적 의학의 수준에서는 목소리를 잃을 게 뻔한 규현이가 박시온이라는 기적을 통해 목소리를 잃지 않듯, 자폐에 서번트 증후군을 앓는 박시온이 자신의 꿈인 소아 외과 의사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을 다룬다. 

서번트 증후군은 자폐증 등의 지적장애를 가진 사람 중  특정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실제 지적 장애 환자 2000 명 중 1명에 나타날까 말까한 희귀 증상이다. 여기서 자폐증 등의 지적 장애는 '완치'가 되는 질환이 아니라, 훈련과 치료를 통해 그저 완화가 될 뿐인 뇌의 이상이다.

그렇다면 사회성에 문제가 있는 기본적으로 모든 것을 자기 중심적으로 해석해서 이해할 수 밖에 없는 박시온의 꿈에는 문제가 없을까?
그런데 드라마를 보면, 박시온은 사회성에 문제가 있는 사람이 아니라, 몹시도 '사회적인' 캐릭터로 등장한다. 병원 복도를 지나치다 울고 있는 임부에게 다가가듯, 주변의 모든 환자들을 마치 어린 시절 잃은 토끼처럼 여기며 다가가는 순수한 사람일 뿐이다.  
게다가 소아 외과 다른 의사들이 그를 접어주게 된 동기처럼, 뛰어난 능력으로 김도한 선생마저 뛰어넘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서번트 증후군의 사람들이 이 사회에서 그들의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부족한 사회성을 채워줄 사회의 배려와 보살핌이 필요한데, 드라마 속 박시온은, 그 스스로 그 역할 까지 해내는 수퍼맨이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그의 지극히 주관적인 자기 중심성이, 오히려 <굿닥터>에서는 모든 것을 치료하는 만병통치약처럼 쓰이고 있다. 


박시온의 병적 징후가 순수함과 능력이 되면서, 그 반대 방향에 있는 김도한의 현실주의는 무기력해 진다. 
오히려 김도한 선생에 의한 박시온의 진단 의학과 전과를 아이의 꿈을 짓밟은 것으로 여기지 말고 진지하게 고민해 보았으면 어땠을까? 애초에 불가능한 서번트 증후군의 의사니까, 그에게 휴먼 닥터로써의 날개를 달아 마음껏 날아보게 하지 말고, 정말 현실이라면 가능할 지도 모를 진단 의학과를 진지하게 고민해 보았으면 어땠을까.
그저 기적처럼 성악 소년에게 목소리를 돌려주는 것이 아니라, 설사 목소리를 잃어도 그 소년이 웃음을 되찾을 수 있는 방법이 사실은 현실인 것처럼. 

물론 <굿닥터>의 매력은 박시온에게서 시작된다. 그의 순수함과 오로지 환자만을 생각하는 자기 중심성이, 그리고 천재와도 같은 서번트 증후군의 증상이 늘 기적을 만들어 낸다. 
그런데 보다보면 눈물겨운 휴먼 드라마 사이로 슬그머니 다가오는 건, 판타지의 공허함이다. 지적장애라 하더라도 능력만 있으면, 연차랑 상관없이 펠로우의 편애(?)를 받고, 선배보다 앞서 수술실에 들어가는 또 다른 능력주의가 읽혀져 때론 씁쓸하기 까지 하다. 3차원 입체 영상으로 인간의 몸을 투시가 가능한, 교수인 김도한도 미처 생각해 내지 못한 방법을 떠얼리는 능력이 없는 박시온이라면 꿈은 언감생심일 것이다. 

그래서 <굿닥터>의 박시온이 휴먼 닥터의 구름 속으로 붕붕 날아갈 수록, 자꾸 씁쓸함과 공허함이 커져간다. 그건 수많은 자기계발서가 낳은 건, 꿈을 향해 달려가는 용기 있는 청춘이 아니라, 오히려 그럴 수록 꿈조차 꿀 수 없는 열패감에 시달리는 청춘이요, 몇몇 저자들의 두둑한 호주머니인 것과 비슷하다. 


by meditator 2013. 9. 4. 1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