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리환(이동욱 분)과 김행아(정려원 분)의 사랑 이야기로 시작된 드라마<풍선껌> 하지만, 12회를 마친 이 드라마의 굵직한 줄기를 이끌어 가는 것은 박리환의 엄마 박선영(배종옥 분)의 이야기이다. 그러기에 어쩌면 늦가을 감성을 촉촉히 적겨줄 사랑 이야기를 기대하고 <풍선껌>을 봤던 혹자는 현실에서처럼 쉽게 헤어나올 수 없는 혈육에의 끈끈하고 지긋지긋한 관계에 지레 질려버리고 이 드라마를 포기했을 수도 있다. 아니, 그 어떤 드라마이든 '쾌(快)'이거나 락(樂)이 아닌, 보는 것자체가 인(忍)이 필요한 드라마들은 드라마조차도 편집본이나 팟캐스트를 이용해 소비하는 세상에서 마치 멸종 위기의 동물과도 같은 존재일 지도 모르겠다. <풍선껌>의 1.705%(닐슨 코리아 기준 케이블 기준)의 쉽지 않은 시청률은 많은 것을 내포한다. 하지만, 드라마<풍선껌>은 그 수치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많은 것들을 한 해를 보내며 생각케 한다. 




알츠하이머, 천형의 징벌 혹은, 회자정리
알츠하이머에 걸린 이후 친정 아버지의 죽음을 맞이하고 아들마저 기억에서 잠시 지우는 등 급격한 악화 증세를 보이던 선영은 이후 아들 리환과 주변 친지들의 따스한 도움으로 회복세를 보인다. 이제 아들 리환을 기억하고, 종종 이전의 선영이 가졌던 똑부러지던 판단력의 기세를 보인다. 하지만, 그 이외의 시간 선영은 여전히 자신이 몸담았던 병원을 좋은 냄새로 기억하고, 좋았던 책을 읽고 또 읽으며, 차츰 자신의 과거에 대한 기억을 놓쳐간다. 그런 자신의 증세에 대해 선영은 자신이 행아의 아버지와 함께 했던 가장 행복했던 그 순간마저 잃으면 어떡하냐로 불안해 했지만, 그런 엄마에 대해 리환은 '아이로', 돌아가는 삶의 단순성으로의 회귀로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자 한다. 

물론 선영의 질병으로 인해 리환은 고통받는다. 엄마가 잠시 보였던 행아에 대한 집착으로 인해, 그리고 그로 인해 추측되는 도발될지도 모를 자신의 유전적 결과물에 대한 두려움으로 리환은 행아와 이별을 선택하고 하루하루를 견디어 간다. 하지만 그런 리환과 다르게, 11회를 통해 장황하게 설명했던 선영의 지난 날처럼, 이제 풍성했던 잎을 거두고 겨울을 준비하는 나무처럼, 삶의 집착을 조금씩 거두어 가는 선영은 그녀의 나레이션처럼 '현명'해지고 '편안'해진다. 

선영에게 행아는 애증이었다. 자신이 사랑했던 사람의 딸, 하지만 동시에 자신의 아들이 사랑하는 아이, 거기에 자신이 그토록 가지고 싶었던 사랑을 이루어 주지도 않고 행아만 남기고 떠난 행아 아버지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한 선영은 내내 행아를 불편해 했다. 그리고 자신의 자존심이었던 아들의 마음마저 가져간 행아는 더더욱 용납할 수 없는 존재였다. 하지만, 이제 그녀가 그토록 집착했던 지난 날의 모든 것을 거두기 시작한 선영은, 그 과거 속에서, 이루지 못한 사랑에의 집착도 거두고, 그래서 행아 아버지와의 이루지 못한 사랑 대신 찰라와도 같았지만 행복했던 순간만을 기억 저 편에 남긴 선영은 그녀를 버텨오던 자존심을 내려 놓을 수 있었다. 

그리고 아들에게 말한다. 용서하라고. 엄마의 이기심으로 너를 불행하게 해서 미안하다고. 아들 리환은 친정쪽 식구들에게 보란 듯이 의대에 보내고 친정에 금의환양하겠다는 욕심으로 아들을 외롭게 자라게 했다고, 거기에 친정 식구들마저 쉽게 하지 못할 집안에 리환을 보내서 자신의 선택이 틀리지 않았다는 걸 증명하고 싶었었다는 걸 사과한다. 

선영의 사과는 아마도 그녀가 알츠하이머라는 병에 걸리지 않았다면 이루어 지지 않았을 일이다. 그리고 선영의 사과는 그저 선영의 사과가 아니라,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모든 부모 자식의 질곡의 속내를 토로한 것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말한다. 어디 내가 내 욕심때문에 그러느냐고, 그저 너 잘 돼기만을 바라는 것이라고. 하지만, 아픈 뒤의 선영의 고백처럼, 기실은 그 부모들의 자식 잘 되라고의 기원은 그 시초가 부모들의 '자존심'으로 부터 시작되었음을 선영의 고백을 통해 드러내고야 만다. 



회개, 반성 혹은 머뭇거림의 치유 
그래서 1.705%의 시청자들은 현실에서 부모의 전횡으로 인해 상처받았던 시간을 알츠하이머에 걸린 선영을 통해 치유받게 된다. 동시에, 우리가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저질렀던 이기적인 지난 날을 되돌아 보게 한다. 

자신의 삶처럼 아들을 붙잡고 안간힘을 쓰던 선영이 그녀의 앙칼지고 상처투성이였던 사랑도 놓아두고, 그 사랑의 떨거지 아들도 받아들이며 인생을 정리하는 한편에서,  <풍선껌> 속 등장인물들은 모두 사랑 앞에서 머뭇거린다. 리환은 혹시나 자신을 찾아올 유전병 알츠하이머로 인해 사랑하는 이 행아가 불행해 질까봐 두 눈을 질끈 감고, 그런 리환의 이별 선언에 행아는 지금 자신이 리환의 어깨에 얹혀진 또 다른 짐이 될까봐 쉽게 다가서지 못한다. 리환과 행아만이 아니다. 여전히 행아를 사랑하는 강석준(이종혁 분)도 리환 앞에서는 패기를 부리지만 막상 행아 앞에선 기다리겠다는 말 밖에는 할 줄 모르고, 여느 드라마라면 돈과 권력으로 사랑을 밀어 붙였을 재벌 집 딸래미 홍이슬(박희본 분)도 리환의 불행 앞에 눈물을 보일 뿐이다. 연적인 권지훈(이승준 분)도, 조동일(박원상 분)도 서로 멱살잡이를 하는 대신 조심스레 상대방의 장점을 짚어본다. 

덕분에 <풍선껌>의 가장 악역은 두 어머니였다. 이슬을 재벌 집 딸내미 답게 결혼을 성사시키려는 이슬모의 무지막지한 모성과, 사실은 그 모성과 별반 다를 거 없던 선영의 속물적인 자존심이었다. 그리고 그건, 처지만 다를 뿐, 현실에서 우리가 마주치는 혈육이라는 이름의 딜레마들이다. 그리고 그걸 치유해 가는 건, 그 혈육의 주변 사람들의 따스한 기억의 순간들. 견뎌낼 수 없었던 행아 아버지의 죽음은 그와의 찰라와도 같았던 행복했던 시간, 그리고 상처받은 채 스스로 자신을 지우려 했던 선영을 보듬었던 공주 이모 등의 친지들. 그리고 아들 리환. 

그리고 종종 자신을 놓아버리려 하는 엄마를 지키기 위해 노심초사 살아왔던 리환을 견디게 해주었던 것은 혈육과도 같은 행아, 지훈, 그리고 시크릿 가든의 식구들. 그물망처럼 그들은 서로서로 조심하고 머뭇거리며 서로의 주변에서 서성이며 서로를 든든하게 지켜준다. 그래서, 이제 리환과 행아의 이별도, 권지훈과 조동일의 어긋난 사랑도, 막장 대신 '사랑'에 대한 반추로 이어진다. 

엄마 선영은 병을 통해 자신을 버티어 왔던 속물적인 자존심을 내려놓고, 한 사람의 인간으로 아들에게 사과할 기회를 얻고, 서로는 사랑의 이기심대신, 사랑으로 인한 배려로 마음 졸인다. 덕분에 드라마는 화끈한 사건은 없어도 매회, 마음을 덥힌다. 가족의 이름으로, 모성의 이름으로 아들을 몰아부쳤던 엄마가 맨정신으로 아들에게 전한 마지막 이야기는, 너의 행복을 찾으라이다. 


똑같이 알츠아히머를 앓아도 도시의 알츠하이머 환자와 농촌의 알츠하이머 환자가 예후가 다른 경우가 많다고 한다. 도시의 알츠하이머 환자가 고립된 공간 인간 관계를 통해 급격하게 악화되는 징후를 보이는 반면, 삶의 근거지를 놓치지 않는 농촌의 환자들은 그저 조금 기억력이 떨어지는 정도의 수준을 유지하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고 하니, 선영의 알츠하이머는 그저 예후로서가 아니라, 결국은 인간에게 닥치고야 말 질병에 대한 개인과 그 주변 사람들의 또 다른 화법이라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by meditator 2015. 12. 2. 1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