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풍선껌> 9회 리환 모 박선영(배종옥 분)은 리환이를 가져 집을 나온 이후 선뜻 찾아가지 못하고 미루어 두었던 아버지와의 묵은 해원을 알츠하이머로 더 이상 정신을 놓기 전에 풀고자 마음 먹는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시간은 그녀를 기다려 주지 않았다. 그녀에게 걸려온 전화, 오랜 투병 생활을 하던 아버지는 그녀의 사과 한 마디를 기다려주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나시고 만 것이다. 오빠의 원망을 채 듣지도 못한 채 전화기를 떨어뜨린 선영, 힘들게 장례를 치르고 돌아온 그녀는 깊은 잠에 빠져든다. 그리고 며칠 만에 깨어난 선영은 그녀의 아들 리환을 그녀의 기억에서 지워버리고 만다.
가족이란 이름이 지워주는 무게에 대하여
아들을 부정하는 엄마라니! 남자 주인공 리환(이동욱 분)의 엄마 선영의 아들에 대한 기억 상실은 한국 드라마에서는 보기 드문 설정이다. 우리 나라 드라마에선 그 어떤 힘든 역경이 있어도 부모와 자식의 인연은 절대적인 것으로 그려 왔으니까. 하지만, <풍선껌>의 선영은 알츠하이머라는 병에 걸려서 기억을 잃어가는 과정에서, 자신의 가장 힘들었던 기억으로 아들을 지운다.
이런 선영의 아들에 대한 기억 상실은 두 가지를 보여준다. 우선 대학 병원의 호흡기 내과 의사라는 번듯한 직위에도 불구하고, 지난 세월 미혼모로 아들 하나를 키워내기 위해 그녀가 견뎌냈던 세월의 무게를 역설적으로 고스란히 느끼게 해준다. 아버지가 돌아가실 때까지도 쉽게 다시 자신의 육친을 찾지 못할 정도로 그녀가 가졌던 부와 명예를 상실케했던 미혼모로서의 삶, 제 아무리 번듯한 직업을 가졌다 한들 여전히 이 사회에서 미혼모로 살아냈던 삶의 무게를 전해주는 것이다.
또한 뿐만 아니라, 이 사회에서 그토록 '당연시' 여기는 가족을 유지하기 위해 한 개인에게 하중되는 부담의 무게를 느끼게 해준다. 선영은 아들 리환을 지키기 위해 자신을 낳아준 부모를 버렸으며, 그 부모가 선사해줄 가족의 부를 외면해야 했다. 즉, 자신의 아들을 지키기 위한 삶은 그녀에게 추운 방과 떨어진 천장으로 기억되는 삶을 기억에 새긴다. 가족은 그저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의 희생을 통해 유지되고 계승되는 것이라고 <풍선껌>은 말한다,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닐 수도.
<풍선껌> 속의 가족은 질곡이다. 선영은 자신의 아들 리환을 알츠하이머가 걸린 자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리환을 보호해줄 강력한 유사 가족을 원한다. 그녀가 선택한 것은 부가 충만한 이슬과 그녀의 가족이다. 하지만 선영이 선택한 이슬의 가족이란 또 다른 질곡이다. 이슬 자신이 대놓고 엄마가 아프면 엄마 곁에 머물겠지만, 그렇지 않은 한에서 가능하면 엄마와 마주치고 싶지 않다고 말할 만큼, 이슬의 가족과 가계는 '부'의 카르텔이며, 그 카르텔의 확대 재생산을 위해 '인간적'인 고려는 사치가 되는 관계들이다. 하지만 아픈 선영에게 그런 이슬의 가계가 동앗줄처럼 여겨진다. 그래서 자신의 아들이 마음을 두고 있는 사고무친 행아(정려원 분)를 멀리한다. 선영의 선택을 통해 이 사회 속 '가족'의 존재 이유와 존재 기반을 생각케 보게 된다. 그런 엄마에게 반기를 들면서도 행아를 선택하려 했던 리환은 하지만 10회 마지막 결국 행아에게 이별을 고한다. 알츠하이머 엄마라는 무게를 같이 짊어지며 '가족'이 되려 했지만, 리환은 깨닫는다.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라는 것을.
이렇게 가족이 질곡으로 작동하는 반면, <풍선껌>에서 위로가 되는 것은 가족 아닌 사람들이다. 진짜 이모가 아니지만, 이모라고 부르며 자신을 혹사하며 선영을 돌보기 위해 자신을 내던지는 행아는 선영이 사랑했던 선배의 딸일 뿐이다. 알츠하이머에 걸린 선영이 의지하는 것은 자신이 외면했던 피붙이가 아니라, 행아의 아버지 김준혁(박철민 분)이 운영하던 '시크릿 가든'에 모여든 사연있는 공주 이모(서정연 분)다. 거기에 이모를 돌보느라 자신을 돌볼 겨를이 없는 행아를 걱정해 주는 것은 그녀의 방송국 식구들이요, 리환의 곁에서 그를 형처럼 지켜주는 것은 그와 한의원을 함께 하는 권지훈(이승준 분)이다. 가족은 아니지만, 가족보다 더 가족같은 이 '유사 가족' 패밀리가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혈연 관계로 인해 고통받은 행아와 리환이 의지하고 그들을 지켜주는 사람들이다. 즉, 가족으로 고통받는 이들이 정작 위로를 받는 것은 '가족'이 아닌 사람들이다.
뻔한 남녀의 사랑 이야기 같았던 <풍선껌>은 하지만 회를 거듭하며 그 속에서 펼쳐지는 인간 관계들을 통하여, 현재 우리가 믿고 살아가는 이 사회의 편견과 속념들에 대해 물음표를 던진다. 가족의 절대성에 대하여, 가족의 무게에 대하여, 그리고 과연 '가족'만이 대안이 되는가에 대해서. 그리고 우리가 생각하는 '사랑'에 대해서.
'tv > 드라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을-아치아라의 비밀>괴물과 쓰레기라 부르며 쓰러져 간 성폭행 피해 모녀 -피해자만 상처입고 가해자는 멀쩡한 사회 (2) | 2015.12.04 |
---|---|
<풍선껌> 알츠하이머, 혹은 삶을 정리하는 어른에 대한 다른 화법 (0) | 2015.12.02 |
<애인있어요> 최진언과 도해강의 순애보, 이 죽일 놈의 모순덩어리 사랑이라니! (2) | 2015.11.23 |
<응답하라 1988> 88년 쌍문동 골목길 엄마같은 엄마만 있었던 것이 아니다 (2) | 2015.11.21 |
외모가 경쟁력인 세상, 경쟁력'이 없는 그녀들의 사랑 - <그녀는 예뻤다>, <오 나의 비너스> (0) | 2015.11.18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