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롯에 소크라테스라니, 가수 나훈아가 '테스 형'을 부를 때 어리둥절했다. 그런데 사람들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열광했다. '너 자신을 알라'라는 테스 형의 그 말 한 마디가 그토록 통쾌했던가. 그런데 '너 자신을 알라'는 건 테스 형만이 아니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MBTI가 붐을 이루고 있다. 인터넷의 무료 검사지에서 확인한 자신의 성향에서 부터 꽃, 별, 각종 매개를 활용한 '나' 알아가기 방식에 사람들은 자신의 경계를 허문다. 2020년 왜 사람들은 새삼스레 나를 찾는 것일까?

 

 

 

 


16가지로 구분된 인간 유형 
1) 나는 다른 사람과 자주 어울리는가? 아니면 혼자 시간을 보내는가?
2) 나는 현실적이고 실용적인가? 아니면 상상을 즐기는 창의적인 사람인가?
3) 논리적이고 분석적인가? 아니면 감정적이고 정서적인가? 
4) 일을 함에 있어 계획적인가? 아니면 주어진 상황에 맞춰 임기응변을 잘 하는가?
 
외향적(E)인지, 내향적인지(I), 감각적인지(S), 직관적인지(N), 사고형인지(T) 아니면 감정에 따라 행동하는지(F), 판단형인지(J), 인식형(P), 사람의 성향을 판단하는 8가지 서로 다른 지표를 조합하여 16가지 성격 유형이 드러난다. 

 



이러한 MBTI의 시초는 칼 융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칼 융은 사람은 저 마다 타고난 심리 유형이 있다고 있고, 이러한 칼 융의 사상을 캐서린 브릭스와 그의 딸 이사벨 브릭스가 16가지 인간 유형으로 만들었다. 우리나라에는 30년전 김정택 신부가 도입했다. 

자기 안의 어떤 특성이나 장점을 먼저 이해하고 수용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검사도구라는 김신부의 취지, 그런데 히틀러와 간디가 같은 심리 유형이라는데 과연 맞을까?

다큐에 등장한 젊은 층들은 신기하다. 소름끼친다는 말로 MBTI에 대한 반응을 보인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명확하게 짚어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나뿐만이 아니라, '요즘 시대의 명함'이라는 표현처럼 사회 생활을 하는데 있어 남을 이해하는 유효한 도구가 된다고 장담한다. 특히 '연애'에 있어서는 '만능'이라는 것이다. 

 

 

세상을 보는 렌즈가 다른 사람들 
똑같은 상황이라도 전혀 다르게 반응하는 사람들, MBTI에 열광하는 사람들은 유형을 알면 그 사람이 보인다고 입을 모은다. 즉 각자가 가진 렌즈가 다르다는 걸 이해할 수 있는 '도구'가 되어준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젊은 층이 '사람'을 이해하는 도구가 된다는 MBTI에 대해 정작 이를 만든 이사벨 마이어스는 '장벽처럼 사람과 사람을 갈라놓는다'는 유려를 표명한다. 즉 나를 발견하는 기쁨, 그리고 나와 같은 사람들에게서 동질감과 위안을 얻기도 하지만, 너무도 다른 유형들에게 대한 '편견'의 색안경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즉 MBTI가 사람을 알아가는 조금 쉬운 도구지만, 정작 MBTI를 알게 되고 나니 아무나 못만나겠다는 고백도 등장한다. 

다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MBTI에 열광하는 현상을 세대론을 통해 분석한다. 이른바 MZ세대, 1980년대에서 2000년대에 태어난 밀레니엄 세대와 1990년대에서 2000년대에 태어난 Z세대를 합친 이 세대는 살아오며 성적과 실적으로 자신을 증명하는 게 익숙한 세대이다. 즉 끊임없이 '나'에 대한 자극과 질문을 받은 세대로 그만큼 자신을 납득시키는데 많은 노력을 경주해왔던 세대였다. 그래서 나를 찾는 MBTI'를 놀이 문화이자 트렌드로 받아들이게 되었다는 것이다. '자소서' 앞에서 내가 누구인가 스스로 질문을 던져야 했던 이 세대에게 MBTI는 스스로를 찾아가는 유효한 도구가 되었다. 

 

  ​​​​​​​

왜 MBTI일까? 
또한 올 한 해 코로나로 인해 취업의 어려움과 함께 '고립감'과 싸워야 하는 시절, 학교에 가서 동아리 활동을 하고 ,친구들과 밥이라도 먹으며 자신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조차 놓친, '관계'를 통해 자신을 확인할 수 없었던 사람들에게 MBTI는 자신을 확인해주는 거울이 된다. 

물론 '나'를 확인해주는 도구가 MBTI만 있는 건 아니다. 이전 세대의 사람들이 신뢰했던 사주, 그리고 동양 사상에서 유래된 '사상체질', 그리고 MBTI에 앞서 젊은이들에게 사랑받은 '타로' 역시 다르지만 같은 류의 자신을 확인해 주는 매개체이다. 

온라인 MBTI 무료 검사지를 통해 '나'를 알아가는 방식,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그 검사 방식이 사실은 MBTI가 아니라면 어떨까? 다큐 제작팀이 문의해본 바에 의하면 사람들이 쉽게 접하는 그 MBTI 검사는 MBTI를 만든 마이어스-브릭스 제단과는 상관이 없는 곳이다. 그래서 일각에서는 이 검사의 효용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물리학자 정재승 교수는 자신의 인스타를 통해 MBTI의 효용성 자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그 이유는 똑같은 사람이 검사를 할 때마다 다른 결과가 나오는 등 결과의 유효성 자체가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다. 

심리학자 최스원 교수 역시 회의적이다. 몇 개의 질문에 본인이 답을 다는 방식 자체를 심리학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인구를 유형별로 나누면 한 유형당 부산 인구만큼의 사람들이 있는데 과연 그들을 동일한 정체성으로 재단할 수 있겠냐고 반문한다. 

또 다른 심리 전문가는 MBTI 검사는 결과보다 해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전문적인 해석이 따라야 한다는 것으로 결과가 나의 모든 것이 아니라 나를 이해하는 시작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즉 평가하고 재단하는 기준이 아니며, 그 유형 안에 나를 가두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다큐를 이끈 '쭈니 형', 박준형 씨는 MBTI를 비롯하여, 사주, 사상체질, 타로를 체험하고 모두 어느 정도 자신에 대해 맞는 이야기를 해준다고 말한다. 다큐 상에서 등장한 MBTI, 사주, 타로, 사상 체질은 박준형 씨에 대해 모두 다른 정의를 내린다. 그런데 본인은 맞다고 한다. 이게 무슨 상황일까? 즉, 박준형이라는 한 사람이 가지는 다양한 면이다. 박준형이라는 사람은 MBTI로 보면 분위기를 잘 띄우는 사람이지만, 사주로 보면 또 자신의 신념에 투철한 사람이고, 타로로 보면 한번 하기로 마음 먹으면 끝까지 해내고자 하는 사람이다. 이게 서로 다른 걸까? 박준형이라는 사람이 가진 서로 다른 측면인 것이다. 그렇듯 MBTI는 우리가 가진 성격의 한 면을 반영해 주는 것이다. 

이 글을 쓰는 기자 역시 심리를 공부하며 오랜만에 MBTI 검사를 해봤다. 올초에 한번 해봤고, 올 중반에 다시 한번 해봤다. 올 초에 내향이던 성격이 중반에 이르러서는 외향으로 나타났다. 가장 기본이 되는 성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 것이다. 그러면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상황이 변했던 것이다. 외향으로 결과가 나오던 시기 기자는 많은 사람들과 만나 관계를 맺던 시기였다. 당연히 사람들과 어울리며 내 자신의 생각들도 변화를 겪게 되는 상황, 그런 변화를 MBTI가 반영한 것이다. 물론 똑같이 나온 부분도 있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10여 년전 검사했던 것과는 나머지 부분도 달라졌다.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하지만 상황에 따라, 경험에 따라 변하게 되는 부분도 있다. MBTI를 알고나면 편하다. 내가 누구인지 알게 되니 '결정'을 해야 되는 과정에서 한결 자신을 덜 혼돈하게 된다. 하지만, 그 '나'는 변한다. 아니면 내가 생각하는 '나'가 변했을 수도. 내 스스로 나에 대해 답을 정하는 MBTI, 답에 대한 내 기준이 변하면 나도 변한다.  



by meditator 2020. 12. 7. 17:37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