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불 수교 130주년을 기념하여 전국 7개 도시, 8개의 cgv아트하우스에서 열린 '프렌치 시네마 투어 S.T.DUPONT2016', 엄선된 10편의 영화 중 마지막 작품은 2015년 부산 국제 영화제에 초정되었고, 2016년 상반기 개봉했던 <마지막 레슨>이다. 이 프렌치 시네마 주간 동안 있을 '시네마 톡'을 위해 내한한 파스칼 포자두 감독과 여주인공 마를렌으로 열연한 마르뜨 빌라론가 배우를 만났다. 특히 여주인공 마를렌 역의 마르뜨 빌라론가 배우는 84세의 고령이시고, 이 60년차의 노배우이지만 이 작품을 위해 한국까지 오시는 등 노익장을 보여주셨다. 




1. '존엄사' 문제를 다루고 있는 <마지막 레슨>을 만드신 계기는?
-이 영화는 2003년 출간된 노엘 사틀레의 동명의 작품을 영화화 한 것이다. 가까운 분이 돌아가시면 남은 사람들은 생전에 조금 더 많은 것을 나눌 것을 하고 후회를 한다. 어머니가 돌아가시기 까지 끊임없이 대화하고 소통하는 이 작품을 통해 사람들이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으면 하는 취지에서 '마지막 레슨'이란 제목으로 영화를 만들게 되었다. 

2. 2011년 <크루즈>에 이어 계속 작품의 주인공이 노인인데, 특별한 이유라도 있는지?
- 의도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계속 유럽은 물론 계속 '젊은이'가 중심이 되는 세상에서, 그들 자체만으로도 무궁한 이야기를 가진 노인, 한 권의 책과 같은 '노인'에 주목하고 싶었다. 

3. 여주인공 마들렌의 존엄사를 어떤 시각에서 다루고 싶으셨는지?
-실존 인물인 마들렌은 일찌기 젊어서부터 임신 중절, 피임할 권리 등 강력한 투쟁의 대열에 앞장섰던 사람이다. 일반적인 어머니가 아니라 결단력있는 삶을 살아온 어머니였다. 그 어머니가 최후로 선택할 수 있는 자유는 바로 자신의 몸에 대한 '선택권', 죽음의 순간까지 의지를 가진 여성을 그려내고 싶었다. 



4. 영화 속에서 그런 어머니의 결정에 대해 아들과 딸은 서로 다른 결정을 한다. 심지어 죽는 수간까지 아들은 어머니를 용서하지 못한다. 
-원작에는 존재하지 않는 내용이다. 존엄사의 결정에 대한 반응에 여러가지가 있음을 보여주고 싶었다. 옳고 나쁘고가 아니라 각각의 캐릭터가 보이는 반응에 대해 공감해 주기를 원했다. 

5. 굳이 아들이 반대를 하고, 딸이 어머니와 유대를 가진 인물로 설정한 이유가 있는지?
-남자니까(웃음), 몇몇 아들들은 이해할 지 모르겠지만,' 목욕씬'에서 보여지듯 딸과 어머니가 함께 욕조에 들어가 목욕을 하는 것이 하나도 이상하지 않듯, 그런 유대는 어머니와 딸이기에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아마 아들이 그렇게 아픈 어머니와 함께 목욕을 하려 해도 어머니가 불편했을 것이다. 딸에게 벗은 어머니의 몸은 다르게 다가오지 않는다. 내가 저 몸에서 나왔고, 나도 그렇게 늙어갈 테니. 바로 그런 동질성이 유대의 기본이 된다.

6. 그래도 자식인데 어머니의 죽음은 '딜레마'일 듯하다. 
-민감한 문제입니다. 프랑스에서 존엄사는 불법입니다. 만약 합법이 될 예정이라면 영화 속 마들렌도 결정을 미루었겠지요. 얼마전 프랑스에서 두 명의 노인이 호텔에서 자살을 했습니다. 이들은 자식들에게 유언을 남기는 대신 검사에게 존엄사 법적 허용에 대한 편지를 남겼습니다. 하지만 이들의 자식들은 영화 속 마들렌의 자식들만큼 힘들어 하지는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마들렌처럼 몇일 날 죽을거야 라고 해서 자식 또한 그 선택의 회오리에 휘말리도록 하지 않았기 때문이죠. 

7. 영화에서는 거울 속에 비춰진 노추의 모습, 그리고 스스로 운전을 하고 나오다 차량들에 휩싸여 오도가도 못하는 장면을 스스로 컨트롤 할 수 없는 노년의 모습으로 상징적으로 그립니다. 
-원작에서 이 내용은 딸과 어머니의 대화로 그려집니다. 그저 어머니가 이젠 늙어서 운전을 못하겠다. 차를 팔자라는 식이지요, 하지만 영화적 장면으로 필요하다 생각했븐디ㅏ. 차를 운전한다는 것은 자유로이 어디든 갈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러기에 차를 판다는 건, 경제적 행위 이상, 자유가 사라지는 장면을 상징합니다. 

8.또한 침대에서 실수하는 모습, 병원에 찾아온 딸에게 기저귀를 찬 자신의 몸을 보여주는 모습도 존엄사를 설득하는 결정적 장면이었습니다. 
-결정적 장면이죠. 엄마가 기저귀를 찬 모습을 보고 딸은 우리 엄만 저런 사람이 아닌데 라며 생각을 바꾸었습니다. 관객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처음엔 아들의 입장이었다가, 그 장면에서 딸과 같은 생각으로 바뀌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일종의 '시각적 쇼크'를 노린 연출이었습니다. 



9. 영화 끝부분 딸이 엄마를 업어주는 유대의 상징적 장면 또한 인상적이다.
-영화 속 플래시 백 장면에서 소변을 보는 딸을 엄마가 안아서 잡아줍니다. 그런데 이제 딸이 엄마를 업죠. 이를 통해 이것이 인생이라는 걸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마치 사이클처럼요. 그리고 딸과 엄마는 빛이 드는 언덕으로 가지요, 조산사로서 삶을 다루는 일을 했던 엄마가 원하는 삶의 모습을 상징하는 장면입니다. 

<다가오는 것들>은 프랑스에서도 관객과 언론의 호평을 받았다고 한다. 영화를 본 후 관객의 대다수가 영화 속 어머니 마들렌의 결정을 '이해한다'고 했으며, '너무 좋은 영화'라 극찬했다고 한다, 파스칼 포자두 감독은 이전에 주로 코미디 영화를 만들어 프랑스 영화 관객들이 선입관을 가진 반면, 부산 국제 영화제를 비롯 해외 유수 영화제의 초청 등 해외 관객들은 그런 선입관없이 이 작품을 감상해줘서 3년동안 작업했던 결과물인 이 영화에 대해 자긍심도 느끼고 힘도 얻었다고 한다. 이후에는 청소년기 가족을 다룬 작품을 할 예정인데, 설사 다시 코미디 영화를 하게 된다 하더라도 <마지막 레슨>과 같은 심오한 주제를 다룬 바 있어 좀 더 감동적인 내용을 그려낼 것같다고 말했다. 

by meditator 2016. 11. 13. 02:26

해마다 여러 영화제가 개최된다. 그렇게 많은 영화제 중에서 늘 봄과 함께 찾아드는 영화제가 있다. 바로 잡지[마리 끌레르]가 개최하는 [마리 끌레르 영화제]가 그것이다. 올해도 어김없이 다섯 번째의 '마리 끌레르 영화제'가 세계 여러 나라의 영화 31편과 함께 찾아왔다. 지난 3월 10일부터 cgv 청담 씨네 씨티에서 16일까지 상영 중이다. 이 영화제에서는 개봉을 앞둔 코엔 형제의 <헤일, 시저>를 시작으로, 부산 영화제 폐막작이었던 중국 영화 <산이 울다>, 말론 브란드의 일생을 담은 <리슨 투 미 말론>, 재상영되는 명작 <양철북>까지 여러 국가의 다양한 주제 의식을 가진 영화들이 상영된다. 멀티 플레스에서 획일적으로 상영되는 영화에 갈증을 느낀 관객에겐 저렴한 비용(5000원)으로 고품질의 영화를 만나 볼 좋은 기회가 될 듯하다. 



그 중에서 오늘 소개할 영화는 팀 브레이크 넬슨 감독의 <월터 교수의 마지막 강의>와 파스칼 포자두 감독의 <마지막 레슨>이다. 두 영화는 스릴러와 드라마라는 서로 다른 형식을 띠고, 영화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주제도 다르지만, 공교롭게도 두 노인의 죽음을 다루고 있다는 점, 그리고 그 죽음을 통해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역설적으로 삶의 문제를 질문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죽음을 회피하거나 외면하며 도망치듯 살아가는 현대 사회에서, 결국 유한한 삶의 완결로써 죽음을 통해 삶을 다시 바라보는 이 영화들은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바람처럼 맞이하게 되는 죽음 -<월터 교수의 마지막 강의>
스릴러라는 영화 장르가 무색하게 <월터 교수의 마지막 강의>를 채우는 것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갑남을녀의 지루하리만치 평범한 일상이다. 30여년간 철학 강의를 하는 월터 교수는 여전히 젊은 학생들을 상대로 강의를 하고, 그의 아들은 아버지를 만나, 암일지도 모를 아내에 대한 고민을 털어놓는다. 그렇게 월터 교수 아들 아담 중년 부부의 일상을 '건강'이 침범하는 것과 달리, 청춘의 시절을 보내는 그의 아들과 딸은 부모의 간섭을 피해 대마를 피우며 청춘 사업과 버거운 학업에 고뇌한다. 그렇다고 월터 교수네 가족 이야기가 중심도 아니다. 뉴저지 교외에 사는 중산층 사라와 샘 가정의 공허함도, 마약 상습범인 시더와 잘 나가는 변호사인 그의 친구의 갈등도 등장한다. 물론 이 영화의 출연으로 홍보한 크리스틴 스튜어트도 고데기 자해로 삶의 의미를 찾는 월터 교수의 제자로 등장한다. 



월터 교수의 강의로 시작한 영화는, 역시나 과학 기술은 발달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목적 의식적 삶에 대한 갈구를 멈출 수 없는 인간의 현존재에 대한 월커 교수의 마지막 강의로 정점을 이룬다. 제자들의 존경어린 박수 소리 뒤로 자신의 다리를 고데기로 지지는 젊은 여학생과, 친구나 의료진의 도움도 소용없이 마약에의 욕구를 참지 못하는 중독자의 모습이 겹쳐지며, 현대 사회 속 소외된 인간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30년의 강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세상은 달라지지 않았지만, 자신의 신념을 잃지 않는 교수는 마지막 강의를 마친 저녁 아내를 위해 꽃을 사들고 가는 길에, 그를 오해한 노상 강도로 인해 죽음의 위기를 맞고, 그 과정에서 그를 구하려 애썼던 마약 중독자는 노교수를 구하려다 죽음을 맞이하고, 외도 중이었던 샘이 그들을 발견한다. 편린과도 같은 일상의 삶이 죽음으로 귀결된다. 

영화는 마치 언뜻 '인생무상'을 다루는 듯하다. 오랫동안 강단에서 인간의 선의와 신념을 주장했던 노교수는 선의를 곡해한 '개죽음'을 당하고, 마약을 끊지 못했던 중독자는, 허무하게 죽어간다. 그런 죽음을 목격한 중년 가장은 그곳에서 가족의 소중함을 깨닫고 가정으로 돌아가려 하지만, 그의 가정은 이제 그를 기다려 주지 않는다. 하지만, 피를 흘리면서도 아내에게 꽃다발을 전해주려 했던, 그리고 양배추 밭에서 바람처럼 죽음을 맞이하고 싶다는 유언과도 같은 노교수의 말을 통해, 이 우연한 비극과도 같은 일련의 전개는, 결국 삶과 죽음에 대한 처연한 성찰로 다가온다. 영화의 마지막 순식간에 두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버린 사건은, 두 시간 여 영화를 지루하게 이끌어 왔던 일상의 삶과 대비되며, 삶의 무게와 의미를 전파한다. 굳이 고데기로 지지지 않아도 묵직하게 다가오는 생생한 삶이다. 

신념으로의 존엄사 - <마지막 레슨> 
<월터 교수의 마지막 강의>가 조각조각 이어 붙여가는 삶과 죽음의 모자이크라면, <마지막 레슨>은 굵직한 글씨로 써내려 간 휘호와도 같다. 영화가 시작되고 한 눈에 늙음이 드러난 노인, 거기에 거리에서 갇혀버린 그녀의 차를 통해, 그 늙음은 더더욱 절실히 다가온다. 그리고, 어렵사리 도착한 딸네 집에서 벌어진 그녀의 아흔 두 살 생일 파티. 거기서 마들렌 여사는 두 달 후 10월 17일 자신이 스스로의 삶을 마무리할 것임을 선언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조금씩 등장하고 있는 '존엄사', <마지막 레슨>은 이제 더는 스스로 삶을 이끌어 갈 힘이 부치는 아흔 두 살의 마들렌의 결정과, 그에 대한 가족들과의 갈등을 통해 막연한 존엄사 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더 이상 일상의 삶을 영위할 수 없는 자신의 삶을 스스로 마무리하겠다는 어머니의 결정이, 그녀의 전 생애를 이끌어 온 신념의 문제와 연결되며, 해묵은 감정에서 비롯된 갈등마저 끄집어 내는 미묘하고 민감한 문제라는 것을 영화는 직시한다. 그리고 거기서 사회라는 체계 속의 한 인간의 죽음이 그저 한 개인의 선택으로 마무리되기엔 너무 버거워져 버린 사회적 존재 인간의 그림자를 촘촘히 살펴나간다. 또한 단호한 마들렌 여사의 결정을 통해, 죽음은 그저 어떤 의료적 행위가 아니라, 삶의 체계를 가진 존재로서, 신념을 가진 의식적 존재로서 인간적 서사의 마무리임라고 영화는 주장한다. 

평생 자신의 신념을 향해 살아온 어머니를 끝내 용납할 수 없는 아들, 받아들이기는 힘들지만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의료 체계 속에서 고사당하는 삶을 거부하는 어머니를 이해하려고 애쓰는 딸, 그리고 그런 자식들과의 갈등 속에서 고뇌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으로서의 자존을 지키려고 애쓰는 마들렌 여사, 막연했던 존엄사는 이들의 고민과 갈등을 통해 구체적인 문제로 다가온다. 


애써 자신의 존엄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 자신의 인생이 마무리되는 날을 자식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결정한 마들렌 여사, 평생을 세상에 대한 밝은 눈을 가지고, 선의로 지켜왔던 월터 교수의 뜻하지 않는 죽음, 두 노인의 죽음은 극과 극이다. 하지만, 두 사람의 죽음이 '사건'이건, 주도적인 결정이건, 결국 두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죽음' 그 자체가 아니다. 어머니의 죽음을 존중하고 받아들인 딸이 어머니가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마지막 레슨'이라고 말하며, 어머니의 죽음을 통해 더 이상 죽음 자체를 두려워 하지 않게 되었다고 말하듯이, 죽음은 그저 삶의 완성일 뿐, 결국, 그 마침표를 찍기까지의 삶이 중요하다는 것을 두 영화는 역설적으로 말한다. 

by meditator 2016. 3. 15. 17:01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