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8월 4일 방영된 mbc의 <pd수첩>에 대한 반응은 그 어느 때보다도 뜨거웠다.
그도 그럴 것이 세간에 '김치녀'로 통칭되는 여성들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하여, 그에 대한 남성 들의 반응, 거기서 부터 시작된 최근 두드러진 여성 혐오 현상에 대해 다루었기 때문이다.
'김치녀' 현상으로 시작된 남성들의 '양성평등론'
시작은 '수 백만원을 호가하는 명품가방을 받고 수 천만원짜리 가방이 아니라는 이유로 남자 친구에게 짜증을 내는' 속칭 김치녀 동영상이었다. 그리고 이런 '김치녀'에 대한 사이트를 운영하며, '이들이 사회적으로 분란을 일으키며 문제가 되는 여성'이라고 지탄하는 '양성 평등' 주장을 하는 남성들이 등장했다.
남성들이 주장하는 바 '양성 평등'은 이어진 '군 복무'에 대한 남성들의 억울함으로 이어진다. 2030 의식 조사에 따르면 남성 들 80.6%가 군복무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 지지 않고 응답했다는 것이다. 또한 2015년을 대한민국의 남성들은 '군복무'에서부터 시작하여 학교, 연애, 사회 생활에서 오히려 역차별을 받고 있다고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아니 최근 남녀 공학을 기피하는 남학생들의 조류에서, 이미 어린 시절부터 여학생들의 '실력'에 밀리고 있다는 남성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가 그들 남성들에게만, '군복무'를 비롯하여, 데이트 비용, 결혼 비용 등 각종 사회적 부담을 지게 만듦으로써, '남성'으로 살아가는 것을 '곤란'하게 만들고 있다고 피력한다. 이에 일부에서는 '양성 평등'을 주장하며, 과격하게는 여성의 동등한 군입대, 혹은 그 보다는 완화하여 몇 주간이 군사 훈련, 혹은 군대에 비견되는 각종 봉사 활동에 여성도 '동등'하게 일정 기간을 '의무적'으로 희생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남성으로 살아가야 하는 고달픔
<pd수첩>이 짚고자 하는 것은 조선 시대 이래 대한민국을 지배하고 있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여전한 가운데, 여전히 사회적으로는 '남성'들을 우월적 존재로 인정하여, '군대'등의 사회적 의무를 비롯하여, 데이트 비용, 결혼 비용 등 각종 의무를 부담할 수 있는 존재라는 인식이 전혀 나아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현실적으로는 사회, 경제적으로 더 이상 '지배 계급'으로서의 '남성'의 우월적 지위를 보장 받을 수 없는 2030 세대 남자들이 느끼는 정서적, 현실적 괴리감이 '김치녀'를 비롯한 '양성 평등' 등의 극단적 주장으로 터져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심리학자와 함께 '데이트'를 통해 짚어본 현실을 '웃프다'. 남성들은 '관계'에 의한 주도성을 강요받으며 의식적으로 많은 이야기를 이끌어 가고자 하며, 그 결과는 그들이 슬그머니 자기 편으로 땡겨 온 '영수증'으로 귀결된다. 문제는 이런 '시뮬레이션'이라도 된 것처럼 동일하게 드러난 남녀의 데이트 과정에서의 역할 관습이, 이후 결혼까지 이어지는 남녀간의 역학 관계를 규정짓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취직'보다는 '실업'과 '비정규직'이 익숙한 2030 세대에게 아버지 세대로부터 이어진 이러한 여전한 성역할은 이제 그들의 '딜레마'로 작동한다. 그들은 여전히 '아버지'처럼 '가부장'이 되어야 하는 정서적 각인에 시달리지만, 현실 속 그들은 그것을 버텨낼 만큼 '특권'도, '능력'도 없기 때문이다.
결국 허지웅의 쾌도난마처럼, '남녀 갈등'이라는 인터넷 세상의 지옥도는 결국 계급 갈등 등 현실 갈등의 또 다른 현상이라는 것으로 귀결된다. 사회, 경제적으로 불안한 사회에서, 그 사회의 약한 고리인 외국인 노동자, 동성애자 들에 대한 반발이 드러나는 것처럼, '실업'이 일상화되어가는 2030 세대는 그 불만을 '남녀 평등'의 문제로 분출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pd수첩>은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이런 결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송 후의 논란을 촉발 한 것은?
하지만 <pd수첩> 측의 이런 선의의 의도와 달리, 8월 4일 방영분이 방송 된후 동 방송 게시판은 물론 각종 인터넷 사이트들은 방송 내용과 관련된 논란으로 활활 타올랐다.
무엇보다 논란이 된 것은, '여성 혐오' 현상의 예로 등장한 '김치녀'와, 그에 대한 사이트를 운영하는 '양성 평등' 주장 운영자의 적절성때문이었다. '혐오' 현상의 두드러진 예로 부터 시작하겠다는 제작진의 선의의 의도는, 그와 달리, 오히려 '김치녀'에 대한 편견을 드러냈을 뿐이라는 반발을 불러 일으켰다. 그리고 그에 대한 남성 사이트 운영자 역시 보편적인 '양성 평등'의 예로는 부적절했다는 중론이다.
또한 그 뿐만 아니라, 전개 과정에서, 남녀에게 가중되는 다른 부담을 설명하기 위해, 문제가 되었던 '김치녀'와 비슷한 실험 예를 등장시킨 것도 문제가 되었다. '김치녀'에서처럼 남성은 무릎을 끓고 여성에게 명품 백을 선물하고, 그것을 보며 반색을 하는 여성들과 난감해 하는 남성들의 반응을 일반화한 것 역시 논란을 촉발시켰다.
이런 논란을 통해 역설적으로 짚어볼 수 있는 것은 평소같으면 무심히 지나쳤을 다큐 프로그램조차, 그것이 '남녀갈등'의 문제가 되었을 때는 그 어느 때보다도 민감하게 반응을 보인다는 점에서, 그만큼 우리 사회 '남녀 갈등'의 수위가 높아졌다는 것이다.
비록 제작진이 적절치 못한 예를 들어 설명을 했다손 치더라도, 그래서 오히려 '남녀 갈등'을 조장시키는 측면이 있다손 치더라도, 그를 통해, 궁극적으로 우리 사회 남녀 갈등은, 오히려 '남성의 성 역할'의 과도기적 혼란과, 사회 경제적 부조응의 문제라는 것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었는데, 논란은 그런 결론의 적절성을 차치하고, 드러난 현상의 적절성 여부만을 놓고 들끓고 있다는 점에서 아쉽다. 오히려, 그를 통해 한번쯤은 생각 해 볼만한 문제였던 사회적, 계급적 갈등을 내포한 '남녀 갈등'이, 쑤셔놓은 벌집처럼 되어버렸을 뿐이다. 이는 제작진의 어설픈 접근의 문제, 그리고 결론에 도달하는 과정에 대한 미약한 전개가 무엇보다 큰 이유이겠지만, 아직은 무르익지 않은, 아니 무르익으려고 조차 하지 않은 '남녀 갈등'에 대한 대중적 인식 역시 한 몫을 하고 있음은 간과할 수 없다. 불쾌함을 억누르고 한번쯤 생각해 볼 사회적 성숙이 아쉽다.
'tv > 다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복 70주년 특집 최후의 심판 - 1부 엄마여서 미안해> 일본의 사죄를 요구하기에 앞서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은? (0) | 2015.08.16 |
---|---|
<남북 청년 통일 실험 어서오시라요> 현실에서 만난 남북 청년들의 좌충우돌; 통일은 멀다 (0) | 2015.08.10 |
<sbs스페셜-메르스의 고백> '현장'의 목소리로 '메르스'를 복기하다 (0) | 2015.07.27 |
<추적 60분-흔들리는 한인타운 신오쿠보>한류가 쓸고 간 자리, 신오쿠 상인들은 운다 (0) | 2015.07.23 |
<mbc다큐 스페셜-잠을 지배하라>능력 사회에서 성공하고 싶은가? 그렇다면 잠을 자라 (0) | 2015.07.07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