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덧 5.18 민주화 운동이 40주년을 맞이했다. 강산이 네 번이나 바뀐 시간, 금남로를 물들였던 광주 시민들의 고귀한 피는 역사 속에 그 이름값을 제대로 얻고 있을까? mbc는 5월 18일 5.18 민주화 운동 40주년을 맞이하여 젊은 감독 강상우가 추적한 '김군'이라는 시민군의 행방을 다룬 다큐 <김군>을 방영했다. 

2019년 만들어 진 <김군>은 그 해 부산 영화 평론가 협회상 신인 감독상을 비롯, 2020년 들꽃 영화제 다큐 부문 감독상을 수상하고 파리 한국 영화제에 초청을 받은 바 있는 작품이다. 유수의 영화제에서 호평을 받은 <김군>, 왜 평단은 시민군 김군의 행방에 촛점을 맞춘 젊은 감독의 영화에 박수를 보냈을까? 그 이유는 아직도 여전히 끝나지 않은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우리 사회, 우리 역사의 자리 매김 때문이다. 

 

 

김군이 '광수'라고?
김군이 광수라니? 얼굴이 전면에 드러난 몇 안되는 시민군의 사진 가운데 김군이라고 쓴 띠를 두른 한 사람, 그 사람의 이름이 광수란 말인가? 아니다. 여기서 '광수'는 광주에 온 북한 사람을 가르키는 통칭이다. 광주에 북한 사람이라니?

전 육군대령 출신의 극우 인사 지만원 씨는 태극기와 성조기를 앞세운 일군의 노령층 지지자들 앞에서 광주에 시민군은 없었으며 광주 민주화 운동은 북한에서 내려온 군인들이 일으킨 폭동이라 주장한다. 그리고 북한군의 폭동에 광주 시민들이 부역을 했다는 것이다. 

지만원 씨는 이른바 범죄 증명 과정에서 지문 분석 등에 쓰는 기하학적 분석 방법에 따라 5.18 광주 시민들 가운데서 이른바 '광수' 561명을 찾아냈다고 주장하고 있다. 자신들이 북한에서 온 사람이라는 것을 드러내지 않기 위해 복면을 주로 사용했으며, 특히 2010년 북한 노동자 회관에서 벌어진 기념식 앞줄에 앉은 세 사람 중 한 사람, 김창식이 5.18 민주화 운동 당시 김군이라는 것이다.

 

 

진짜 김군을 찾아서 
2014년 지씨는 자신의 책을 통해 이런 주장을 체계적으로 세상에 드러냈다. 이에 5.18유족 모임은 지씨를 명예 훼손 혐의로 고소하는 한편, 지씨가 '광수'의 대표적 근거로 내세운 김군이라는 실제 인물을 찾기에 나섰다. 

25차 광주 민주화 운동 진상 조사 특별 위원회에 출석한 김영택 씨는 20여사단 등이 광주를 철통같이 포위하고 있는 가운데 대규모의 부대가 어떻게 들어올 수 있었겠는가 라며 반문한다. 

여전히 광주 트라우마 센터에서 아픈 상처를 치료받는 양동남 씨, 당시 19살이었떤 양동남씨는 지만원씨에 의해 36 광주라 명명된 장본인이다. 양동남 씨는 북한군이 600 명 씩이나 광주에 왔다면 그건 그 사람들이 올 수 있는 상황을 만든 국방부가 책임을 져야 하는게 아니냐고 되묻는다. 

그리고 겨우 19살이었던 시절, 어떤 민주화 의식이 아니라 사진 속에 보여진 리어카에 실린 2구의 시신, 그렇게 일반 시민들이 죽어 나가는 것을 보며 민주화 운동에 나서게 된 것이라 밝힌다. 

 

 

5월 15일 신군부에 반대하는 학생 시위가 전국적으로 펼쳐지고, 5월 17일 자정을 기해 비상 계엄이 펼쳐진 상황에서 5.18일 광주 금남로에 시민들이 모였다. 그리고 피로 물들여진 금남로, 그 현장으로 보고서 광주 시민들은 떨쳐 일어났다. 'M16'으로 시민을 쏘는데 돌팔매질이나 하고 있을 수는 없었던 시민들, 그 중에서도 군대를 다녀와 총기를 다룰 줄 알았던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화순, 나주, 함평을 돌며 칼빈, M1 소총을 털어와 무기를 들었다. 총기까지 든 상황 얼굴이 알려지면 훗날 처벌이 두려워 복면과 마스크를 쓰기 시작했다고 당시 19살이던 32 광수 정희문씨는 당시를 떠올린다. 그런데 북한군 특수군이라니 !

그렇다면 그렇게 스스로 복면과 마스크를 쓴 시민군들 사이에서 얼굴이 드러난 김군 사진들은 어떻게 찍혔을까? 그 사진을 찍은 당사자는 당시 중앙일보 사진 기자였떤 이창성 씨다. 계엄군과 시민군이 맞닦뜨리는 상황을 담을 수 없었던 이 기자는 외곽에 나가 시민군에게 사정을 해서 얼굴이 드러난 사진을 몇 장 얻었다고 한다. 

그렇게 전면에 얼굴이 드러난 김군은 누구일까? 당시 만삭으로 시민군들에게 주먹밥을 제공했던 주옥 씨는 김군이 자신의 아버지가 하던 막걸리 왕대포 시음장에 자주 들르던 사람인 듯 하다고 증언한다. 

당시 원지교 다리 밑에 모여 살던 7, 8명의 젊은이 무리 중 하나, 그들은 고아들로 천막을 치고 살며 넝마를 주어 팔며 살아가고 있었다. 안그래도 이렇게 넝마주의를 하던 젊은이들이 시민군에 적극 활동했지만, 넝마를 주워 산다는 '직업' 자체가 드러내는 게 쉽지 않아 신분이 드러내는 게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고 한다. 그러기에그들에 대한 '포상'조차도 쉽지 않아 배제되거나 소외되기가 십상이라 김군에 대한 추적은 더욱 쉽지 않다. 

당시 23살이었던 이제 머리가 희끗희끗해진 당시의 청년은 울분과 열정의 마음에서 떨쳐있어나 총을 든 상황에서 한가롭게 '어디 살아요?'를 물을 수 있었겠냐고, '이름이 뭐예요?'라고 할 수 있었겠냐고 씁쓸하게 말한다. 나가면 시체로 돌아오는 상황, 사람죽는 시체 냄새가 진동해서 밥조차 먹을 수 없는 상황에서 매일 매일을 보냈던 그 시절의 동지였지만 그들은 서로 누군지 모른다. 

 

 

김군이 탑승했던 트럭은 도청에 무기를 반납하러 가는 상황이었다. 김군이 반납한 걸로 추정된 캐러번 50, 총기를 반납한 5월 23일 이후 김군은 더 이상 당시의 사진 속에서 드러나지 않는다. 

진상 조사 특별 위원회에 나와 증언을 한 최진수 씨는 자신이 연행되었던 장소에서 김군이 사실되었다고 증언한다. 5월 24일 계엄군간 오인 사격으로 군인이 사망하자 그 보복으로 무차별 총살이 벌어졌다. 최진수 씨는 김군이 그 희생자라 밝힌다. 툇마루에서 자신에 앞서 발을 먼저 내딛었다는 이유만으로 관자놀이에 총을 쏜 군인들, '그 눈을 봤습니다'라고 최진수 씨는 38년 동안 묻혀진 한을 비로소 꺼내 놓는다. 

끝나지 않는 상흔
40년은 매우 긴 시간처럼 여겨진다. 하지만 억대의 벌금과 실형을 살고 나온 지만원 씨는 2020년에도 여전히 광주는 폭동이라 주장 중이다. 

강상우 감독이 만난 그 시절의 시민군들, 이제 와 사진 속 사람을 찾는 거, 그래서 김군이 진짜 김군이라는 걸 스스로 증명해야 한다는 거 이거야 말로 역사에 대한 '역행' 아니냐고 묻는다. 이제는 그 시체 썩던 냄새를 기억하고 싶지 않은데 이렇게 다시 그 기억을 소환하면 잠을 잘 수 없다고 말하는 역사의 주역은 가슴이 아프다. 안받아들여도 좋으니 왜곡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자조적으로 덧붙인다. 

당시 시민군에 참여했던 많은 젊은이들이 어렵게 살다 힘들게 내린 결단이었다고 말하는 이장갑 씨, 하지만 훗날 체포되어 김일성이 무슨 지령을 내렸냐, 김대중에게 얼마를 받았냐며 고문당했던 기억만 선명하고, 나머지는 이제 기억조차도 흐릿하다고 안타깝게 말한다. 

 

 

당시 20살이었던 최영철 씨는 이제 택시 운전을 한다. 다른 곳은 다 괜찮지만 체포된 곳을 지날 때면 여전히 새삼스럽고 눈물이 글썽거려지는 걸 어쩔 수 없다고 말한다. 2년 선고를 받은 김용균 씨는 당시 도청에 들어간 건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 후에, 자신이 하고자 하는 걸 모두 못하게 되니 그 이후의 삶이 후회로 남는다고 고개를 떨군다. 당시 21살인던 박인수 씨는 여전히 다 빼내지 못한 총알을 원래 아픈가 보다 하며 살아가고 있다. 

여전히 돌아오지 않는 아들을 기다리는 어머니, 오월 얘기는 그만하자는 시민군들, 인생을 송두리채 바친 사람들은 여전히 약을 안먹으면 잠을 잘 수 없다. 이발소에서 이발사에게 자신의 머리를 맡길 수 없다. 그러면서도 살아남았다는 죄책감에 시달린다. 혼자 살아남아서 미안하고 죄스럽다고 한다. 

그런데 그들에게 북한에서 내려온 특수군이라니, 이 얼토당토 않은 주장으로 다시 한번 그들을, 그들이 살아남아서 미안하다고 삼키는 죽은 동료들을 여전히 오늘의 일부 인사와 세력들이 음해하고 있다. 그건 '보수'가 아니다. 역사에 대한 모욕이다. 떨쳐일어난 그들에 대해 존중과 존경은 못할 망정, 존재한 역사를 거스르려는 그 '망언'과 '망발'은 이미 저만치 굴러간 역사의 수레바퀴를 향한 돌팔매에 불과하다. 하지만 그 돌팔매에 자신의 생을 바친 사람들은 다시 한번 상처를 입는다. 부디 역사에 용기를 낸 사람들에 대한 경의를 표할 줄 아는 시대가, 세대가 될 수 있기를. 오죽 답답했으면 젊은 감독이 김군 찾기에 나섰을까. 여전히 두 손으로 하늘 가리는 이 '노망'든 세대에 가슴이 답답해지는 오월이다. 

by meditator 2020. 5. 19. 1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