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mbc스페셜은 지난 주에 이어 '이 남자'를 다루었다. 7월 29일 <이 남자 분노하다>에서는 '페미니즘'의 시대, 자신들을 잠재적 가해자로 보는 여성들과 여전히 자신들에게 남성다움을 강요하는 기성 세대 사이에 햄버거 패티처럼 낀 처지가 된 이십대 남자들의 '억울함'을 담아내고자 한다. 그에 이어 8월 5일 방영된 < 이 남자의 피, 땀, 눈물>은 무한 경쟁 시대를 살아가는 이십대들의 고달픈 삶을 담아내고자 한다.
오늘을 산다.
한 소주 회사, 3개월 수습 끝에 정직원 딱지를 달았던 이제 입사 2년차 최재원 씨, 정직원이지만 판촉 행사를 하기 위해 알바 생들과 같이 우주인 복장을 하고 여러 술집을 돌며 자기 회사의 상품을 홍보한다. 판촉 행사가 끝난 후에야 땀에 절어 잘 벗겨지지도 않는 우주인 복장을 벗는 재원씨, 먹고 사는 게 쉽지 않다.
그의 나이는 벌써 이십대 끝 무렵인 29살이다. 세 번 째 도전 끝에 이 회사에 입사하게 된 최재원씨, 굳이 이 회사를 고집한 이유는 '연봉'이다. 구직 기간 동안 늘 친구들에게 신세만 졌다던 재원씨 조금이라도 그 빚을 갚기 위해서라도 조금 더 높은 월급은 필수이다.
조금 더 나은 연봉을 받기 위한 도전,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뭘까? 15세에서 29세 첫 일자리 임금 수준 표에 따르면 청년 층의 34.1%가 150에서 200만원 미만의 돈을 첫 월급으로 받는다. 100에서 150만원 미만을 받는 층도 27.7%에 달한다. 우리 사회 직장의 로망이라는 대기업 직원들이 받는 300만원 이상을 받는 층은 2.4%에 불과하다. 50만원 미만을 받는 층도 5.1%나 된다.
그러다 보니 다니던 직장을 그만 두는 경우도 생긴다. 국가 대표 결승 경기가 열리던 날 배달 대행업체 라이더를 하는 김민근 씨에게 경기 관람은 언감생심이다. 밤 10시부터 시작된 콜이 20건에서 25건에 이르는 베테랑이다.
자동차 학과를 졸업한 민근씨 역시 남들처럼 직장에 취업을 한 적이 있었다. 6개월 정도 다녔지만 알바로 했던 배달 대행업보다 터무니 없이 작은 월급에 시간도 길다보니 다시 돌아와 본격적인 '라이더 인생'을 시작했다. 이제 그 때보다 서너배는 더 번다는 민근씨, 남들의 치맥 한 잔이 그에겐 나날이 쌓이는 통장의 꿈이다. 매일 오만원씩 저금한다는 그, 돈을 모아 언젠가 프랜차이즈점을 차리는게 꿈이라는 민근씨를 하지만 같은 업종의 형님들은 뭐 벌써부터 저렇게 애를 쓰고 사냐며 안쓰럽게 본다.
하지만 민근씨만 그렇게 사는 게 아니다. 26살의 김영준씨는 한 달 째 기침이 멈추지 않는다. 유아 체육 교사로 직업상 말을 많이 해야 하는 직업이다 보니 기침은 쉽게 낫지 않는다. 군복무를 마치고 시작한 일이 어언 4년차에 접어든 이즈음, 처음 시작은 60만원에서 부터였다. 그래서 그때는 생활비를 보충하기 위해 노가다도 해야만 했었다.
하지만 영준씨는 지금의 유아 체육 교사에서 머무르지 않는다. 젊어서야 할 만 하지만 나이가 들어서 여기저기 유치원을 다니는 게 좋아 보일 것같지 않다는 그는 생활 체육 지도사를 따기 위해 시간을 쪼갠다. 왜 이렇게 열심히 살아요? 라는 제작진의 질문에 그저 하는 일에 최선을 다할 뿐이라는 담담한 대답. 아마도 이 시대를 사는 많은 이십대 남자들의 답도 그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왜 이십대 남자들은 내일이 없는 듯이 오늘에 최선을 다하는 것일까? 그걸 답해주는 건 바로 실업률이다. 2019년 4월 기준, 청년 실업률 11.5%, 졸업 후 첫 취업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10.8개월, 그리고 앞의 통계에서도 보여지듯이 취업을 해도 10명 중 8명은 평균 200만원도 안되는 월급을 받는다. 그러다 보니 청년들에겐 오늘이 발등의 불이다. 취업을 했던 청년 들 중에 조금 더 나은 생활을 위해 민근씨처럼 버는대로 돈이 되는 라이더 일도 불사하게 되고, 다시 더 나은 조건의 직장을 찾아 '취준'의 길로 돌아가기도 한다.
바로 그 취준생의 1/3이 선택한다는 '공시', 26살 배민구 씨 역시 바로 그 공시생이다. 하지만 모두가 공시생이 될 수는 없는 것. 배민구 씨 역시 30대를 공시의 마지노선으로 잡고 있다. 그 길고도 아득한 레이스, 하지만 레이스의 종착역에 도착하여 직업을 얻는해 해도 어른들이 원하는 그 가정을 가지는 미래는 불투명하다.
꿈이 없다고? 비판적 의식이 없다고?
기성 세대는 이런 청년 세대에게 불만이 많다. 왜 꿈이 없느냐고. 취직에만 매몰되어 있냐고. 하지만 그런 기성 세대의 불만에 청년들은 어서 빨리 저 분들이 퇴직하고 그 자리에서 사라져야 우리 몫이 생길 텐데라고 생각할 뿐이다.
88올림픽으로 상승세를 탔던 경기, 80년대 말, 90년대 학번들은 대학 졸업장만 있으면 취직을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취직을 해서 직장을 다니면 언젠가는 번듯한 내 집 마련에 안락한 가정을 꾸리며 살아갈 수 있었던 세대였다. 당연히 '낭만'을 즐길 여유가 있었고, '사회 비판적 의식'을 가질만한 여지도 있었다.
하지만 이제 무한 경쟁 취업의 시대에 내몰린 청년들은 자신들에게 '꿈'이나 '비판 의식'을 운운하는 기성 세대에게 분노한다. 그들이 오늘날 청년들을 무한 경쟁으로 몰아넣은 세대인데, 이제 와서 해주는 것은 없으면서 청년들에게 무리한 요구만을 한다는 것이다.
거기에 엎친데 덮친 격으로 '페미니즘'의 시대, 청년들은 여성들은 그저 혜택받는 경쟁자이며, 자신들은 역차별을 당하는 약자라 생각한다. '남성적 특권'을 누린 건 기성 세대의 남자들인데 애먼 20대 남자가 눈덩이를 맞고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군복무로 사회집입조차 늦은 그들에게 사회적 이점이 없다고 항변한다.
국민연금이라도 넣으라고?
그렇다면 이렇게 고달픈 경쟁에 시달리며 오늘을 살아가기도 벅찬 이십대 청년들을 위한 해법은 없을까? 이 남자의 피, 땀, 눈물의 고증에 충실하던 다큐는 중반부에 들어서서 갑자기 국민연금 관리 공단 홍보 다큐가 된다.
국민 연금을 꾸준히 넣어서 노후가 되어서 걱정이 없다는 어르신들, 그 중에서도 부산 물류 회사의 대표 김기식씨는 1979년 제대 이후 꾸준히 직장 생활을 하며 연금을 넣은 덕택에 매달 130만원의 연금을 받을 수 있다며 연금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하지만 든든한 노년의 보장이라는 어르신들의 생각과 달리 청년들은 노년층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우리 나라의 국민연금에 대한 신뢰가 떨어진다. 하지만 대학생 홍보대사까지 동원한 다큐는 안정적인 노후를 위해 국민 연금이 울타리가 되어줄 수 있다며 세게 3위 660조원의 기금으로 향후 30년간은 끄덕없다며 젊은이들의 가입을 독려한다.
물류 회사 김기식 대표님의 따님 지영씨마저 가정을 꾸리고 보니 한달 9만원의 연금이 부담스럽다는 현실, 실업률에 직장 구하기가 힘들고, 월급을 받아도 쥐꼬리만해서 다시 라이더를 하는 게 낫다면서 국민연금을 내라니, 국가에서 내주겠다는 것도 아니고.
다큐는 연기 지망생 김민수 씨와 박인영씨를 들어 넘어지고 또 넘어져도 꿈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청춘의 연가로 마무리된다. 현실로 시작해서 그래도 여전히 꿈꾸기를 포기하지 않는 청춘도 있다는 이상으로 마무리된다. 현실의 진단은 명확하지만 결국 이 시대에 다큐가 짚을 수 있는 답은 불투명한 것이다. 그건 다큐가 도달한 불투명이 아니다. 자신들이 가진 걸 나눠줄 의향이 없는 기성 세대, 자신들의 잣대로 청년들을 바라보는 기성 세대의 프레임에서, 이남자들에게 말해줄 답은 그래도 국민연금은 넣어라 말고는 없다는 것일 것이다. 그런 식이라면 당연히 젊은 세대들은 당신들의 노후를 책임지기 위해 우리가 국민연금까지 넣어야 하느냐고 반문하지 않을까? 과연 그런 어설프고 안이한 '답정너'식의 동어반복으로 '이남자'들의 상흔을 어루만져줄 수 있을까?
'tv > 다큐' 카테고리의 다른 글
<sbs스페셜- 속터지는 엄마, 억울한 아들> 화성에서 온 아들을 금성으로 끌고가려는 엄마, 우선 화성인에 대한 이해가 먼저? (0) | 2019.08.19 |
---|---|
<다큐 시선- 1℃의 불평등, 폭염이라는 이름의 재난> 내가 쓴 온실 가스 , 우리 곁의 누군가에겐 더 가혹하고 뜨거운 폭염으로 (0) | 2019.08.09 |
<sbs스페셜- 난독시대> 독서하면 뒤쳐져요? 디지털 시대여도,디지털 시대여서 '책읽기'가 필요하다 (0) | 2019.07.22 |
<시사 기획 창 - 중학생 뇌가 달라졌다> 몇달만 스마트 폰을 안해도? -학습 능력이 좋아진다 (0) | 2019.07.17 |
<sbs스페셜 -간헐적 가족> 개인주의 시대에 웬 부족? - 더 나은 삶을 향한 여행, 가족 공동체 은혜 (0) | 2019.07.15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