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가족'은 해체 중에 있다. 개인의 안전판이 되어주지 못하는 한국 사회에서 '가족'은 개인이 믿고 의지할 수 밖에 없는 최후의 보루였다. 하지만, 그 '최후의 보루'가 흔들리고 있다. 사회면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직계 존비속으로 인한 각종 사건 사고는 우리 사회 기본 안전망이었던 '가족'이 더 이상은 보호막이 되고 있지 못함을 증명하고 있다.  거기에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족만들기의 과정인 결혼을 선택하지 않겠다는 '비혼'을 젊은이들은 당당하게 선택하고 있다. 

번거러워진 가족, 하지만 홀로 사는 삶도 녹록치 않다. 해결책이 있을까? 이러한 현대 사회의 고민에 대해 '대안적'인 모색을 하는 이들이 있다. 7월 14일 <sbs스페셜>이 찾아간 도봉구 안골 마을의 간헐적 가족 공동체 '은혜'가 그 주인공이다. 

 

 

엄마를 찾지 않는 아이들 
다큐를 여는 건 여느 가정에서 볼 수 있는 아침 기상, 엄마가 아이들을 깨운다. 그런데, 아이들이 너무 많다. 한 층을 올라가 또 다른 가정인가 했는데, 거기서도 아이들이 우르르 쏟아져 나온다. 그런데 이들이 '가족'이 아니란다. '가족' 대신 이들이 쓰는 명칭은 '부족', 이 부족에만 아이들이 9명이 있단다. 

가족도 사라지는 현대 사회에서, 석기 시대에나 있을 법한 부족이 있다. 이 '부족'의 아이들은 일어나서 아침을 먹고 스스로 오늘 있을 '무수골 탐방' 준비를 하는 동안 '엄마'를 찾지 않는다. 심지어 어른도 지치기 십상인 산길을 오르는 내내 투정 한번 부리지 않고 어른들 사이를 누빈다. 그런데 그런 아이들을 돌보는 사람이 이번에도 엄마가 아니다. '이모'란다. 

젖은 옷을 갈아입히고, 땀에 젖은 머리를 묶어주는 유치반 아이들 4명을 오늘 보살피는 사람은 '이모', 한 달에 한번 아이들의 이모가 되어주는 정영경씨다. 이렇게 이모가 아이들을 돌보아 주는 사이 엄마는 공동체의 또래들과 여유롭게 산행을 즐긴다. 

14가구 50명의 사람들이 모여사는 안골 마을의 소행주, 거기에는 평소에는 각자 개인의 삶을 살지만 가끔씩 서로에게 가족 역할을 하는 간헐적 가족 공동체 '은혜'가 있다. 

그들이 처음부터 함께 모여살았던 건 아니다. 일주일에 한번 뜻이 맞는 사람들끼리 함께 모여 공부도 하고 밥도 먹고 하던 모임, 그렇게 시간이 흘러 그들은 이렇게 뜻이 맞는 사람들끼지 함께 모여살면 어떨까 라고 생각하게 되었단다. 

혼자 오래 살다 보니 깊이 쌓이게 된 외로움, 공부하고 경쟁하며 살아가느라 친구 관계조차 깊게 맺지 못하던 현실에서 그들은 그 어려움을 세상이 요구하는 '결혼'이라는 과정 대신에 '공동체'라는 대안을 통해 풀어내고자 하였다. 

 

 

뜻을 모아 '소행주'
소규모 연합 공동체들이 모여 함께 살아보자는 결의를 하고 함께 집을 짓기 시작했다. 물론 쉽지 않았다. 작게 모여살았던 사람들 중 막상 땅을 사고 집을 짓는 '자본주의적' 과정을 함께 할 수 있는 경제적 합의를 함께 할만한 여유가 없는 사람들도 있었기 때문. 그런 경제적 난관에 대해 공동체 '은혜'는 융통성 있는 방침을 마련했다. 집을 지을 수 있는 돈을 마련할 수 있는 사람들은 돈을 내고,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대신 매달 '월세'를 내는 것으로 뜻이 있는 곳에 길을 마련했다.

2016년 5월 지상3층, 지하 1층의 공동체 주택 소행주가 완공되었다. 싱글들의 삶, 그 특성을 존중하는 공간, 하루 종일 일하는 엄마가 돌아와 '독박 육아'에 시달리지 않아도 되는 '공동 육아'의 시스템, 거기에 공동체의 모든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지하의 강당까지 소행주는 그렇게 '공동체'의 삶을 열었다. 

집을 짓는 것말고 난관은 또 있었다. 싱글들의 모임에서 시작된 공동체 만들기, 하지만 '소행주'를 만들며 '아이'들과 함께 사는 삶이 그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아이들'이라는 새로운 세상에 대한 두려움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그래서 그들은 '이모'가 되었다. 한 달에 한번 싱글의 이모들이 아이들을 돌본다. 방과 후에 아이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운동을 하고, 들놀이를 보살핀다. 이젠 아이들도 유치원, 학교에서 돌아오면 엄마를 찾는 대신, 오늘은 누가 날 돌보는지 묻는다. 

그런데 아이를 돌보는 일이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다. 지하 1층, 지상3층 나무로 된 계단을 맘껏 뛰어 다닐 수 있는 아이들에게 '소행주' 자체가 무한한 놀이 공간, 아파트에서처럼 '뛰지 마라', 잔소리 할 일도 없다. 놀 꺼리가 없어 일일이 놀아줘야 하는 고달픔도 없이 아이들은 자기들끼리 어울리다보면 어느 틈에 잘 시간이 되어버린다. 꼭 '이모'가 아니라도 아이들끼리 놀다보면 지나가는 '어른'들이 끼어들어 함께 어울린다. '이모'의 역할은 그저 아이들끼리 '분쟁'의 가이드라인을 정하고 지켜봐 주는 정도, 그러다 보면 어느덧 잘 시간이다. 그러면 돌아와 그제서야 엄마와 인사를 하고, 엄마의 몫인 시간은 한 달로 치면 4시간, 엄마에게는 '천국'인 공동체다. 

엄마로서의 시간을 빼앗기는 대신, 공동체의 뜻이 맞는 사람들끼지 모여 좋아하는 일을 한다. 여자들끼지 요가를 한다. 싱글들끼리 오붓한 옥상의 족욕 타임도 빠질 수 없다. 거기에 어른에서 부터 아이까지 함께 모여 오케스트라를 만들고, 영화 제작도 하는 등 다양한 취미 활동이 빠질 수 없다. 공동체가 함께 모이는 날은 웬만한 파티에, 행사 못지 않게 시끌벅적 '난장'이 벌어진다. 

 

  ​​​​​​​

부모가 이혼해도 '가족'은 남아있는 
대학을 졸업하고 내내 홀로 지내던 크리에이터 최미정 씨가 찾은 공동체 '은혜',  홀로 지낸 시간이 길어 과연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을까 라는 그녀의 의문과 달리, 공동체의 사람들은 스스럼없이 그녀를 맞이한다. 아이들에게는 그저 또 한 명의 이모다. 일주일을 공동체에서 보낸 공동체의 사람들이 바리바리 싸준 먹거리를 들고 떠나던 최미정씨는 '제가 생각했던 사람들과 많이 달랐어요, 여기 사람들은', 하며 결국 눈시울을 붉힌다. 

물론 처음 부터 다른 관계 맺기가 쉬운 건 아니었다. 습관의 차이는 원칙을 만들어 쉽게 고쳐졌지만, 각자 성격의 차이는 시간이 필요했다. 하지만, 일주일에 한번 보던 사이가 함께 집을 짓고 사는 관계가 되었고, 이제 그런 공동체의 실험도 어느덧 3년이 되어간다. 

없던 아이가 생겨나고, 공동체의 일원으로 들어온 부부가 이혼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부부의 이혼으로 혼란을 겪던 아이가, 다른 이모 삼촌들의 위로로 자신이 버림받은 게 아니라는 결론에 이를 수 있는 곳, '이모'의 노릇은 쉽지 않지만, 대신 '가족'이 생겨나는 곳, '가족'조차 없어져 가는 시대에, '부족'을 만들어 사는 마을, 공동체 '은혜', 그 실험은 아직 진행중이지만 '고독 사회'가 가진 고민의 한 대안임에는 분명하다. 

by meditator 2019. 7. 15. 1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