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은 드라마의 내용이 소개되는 순간부터, 1993년작, 데미 무어와 로버트 레드포드의 <은밀한 유혹>이 언급될 만큼, 새로울 것이 없는 내용이다. 세월이 흘러, 데미 무어를 유혹하던 중후한 신사 로버트 레드포드는, 고혹적인 재벌녀 최지우가 되었고, 젊은 데미 무어는, 몸짱 권상우가 되었을 뿐이다. 아니 십여 년 된 옛 영화를 들먹일 것도 없다. 피고지는 각 방송사의 아침 드라마 중, 재벌남과 젊은 주부, 혹은 부유한 여자와 젊은 남편, 그리고 그의 아내 식의 고리타분한 애증의 관계들이 새록새록 재 부팅되는 경우는 빈번하다. 

하지만, 그런 소재의 뻔함에도 불구하고, <유혹>은 그런 뻔함을 다시 들여다 보게 만드는 호기심을 자아낸다. 어쩌면, '멜로'라는 자본주의 시대의 1부 1처제의 부조리함을 논하는 드라마적 장치 본연의 호기심에 기인하는 것일지도 모르지만, 가장 견고하리라 믿었던 사랑이 파열음을 내는 그 지점은 언제나 '유혹적'이다. 

시청자들이, 그리고 드라마의 주인공 차석훈(권상우 분)이 예상했던 것과 달리, 3일의 시간에 10억의 대가를 제시했던 유세영(최지우 분)의 유혹은 시시했다. 그녀는 아내를 버리고 온 차석훈에게 그저 자신이 홍콩에서 하고자 했던 컨설팅 관련 업무의 보조적 역할만을 맡겼을 뿐이다. 

유세영은 차석훈에게 4일간의 시간을 사는 대신 10억을 주겠다고 제안했다. ⓒSBS 방송화면


하지만, 유세영이 차석훈에게 손끝하나 건드리지 않았지만, 그녀가, 차석훈과 나홍주(박하선 분)을 바라보았던 그 질시의 눈빛은 승리를 거두었다. 
자신을 넘보지 않는 유세영에게 안심하며 아내에게 전화를 건 차석훈에게 나홍주는 '자신을 버리고 갔다'고 절규하며 분노했기 때문이다. 

바로 여기서 <유혹>은 그저 삿된 남녀간의 유혹을 넘어서, 부부간의 사랑, 혹은 신뢰에 대한 문제 제기로 드라마의 시야를 넓힌다. 
차석훈은 유세영과의 사이에서 아무 일도 없었지만(?), 이미 차석훈은, 돈 10억에 자신을 위해 3일을 쓰라는 유세영의 요구에, 아내를 공항에 홀로 남겨 둔채 가버린 그 순간, 아내를 배신한 셈이 되는 것이다. 
이 지점에서, <유혹>에서 차석훈의 선택은, 얼마전 화제를 끌었던 <따뜻한 말 한 마디>의 그 문제 의식으로 이어진다. 
자신의 남편  유재학(지진희 분)가 나은진(한혜진 분)을 만난다는 사실을 알게 된 송미경(김지수 분)은 복수를 하고자 한다. 하지만, 정작, 호텔까지 갔던 두 사람 사이에, 전혀 육체 관계가 없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송미경은 분노한다. 그 분노의 핵심은 '사랑'이다. 그저 스쳐지나갈 욕망의 '바람'도 견딜 수 없지만, 심지어, 둘이 진짜 사랑을 했다니! 라는 좌절감이다.
그리고 바로 그 송미경의 좌절감은, 공항에서 차석훈을 기다리던 나홍주의 좌절감이다. 

차석훈의 상황은 절박하다. 아내의 아버지, 즉 장인의 집은 자신으로 인해 담보로 잡혀 있으며, 돈을 구하지 못한 자신은 이대로 귀국하면 고스란히 장인의 집도 날리고, 감옥 행이다. 1회의 <유혹>은 바로 그런 차석훈의 절박함을 적나라하게 그려낸다. 그리고 2회, 그런 차석훈에게 유세영은 단 3일에 10억이라는 유혹을 한다. 

그 누구보다 남편 차석훈의 절박함을 이해하는 건 아내 나홍주이다. 심지어, 그녀는 아버지의 집을 구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내던지려고 까지 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자신의 남편이, 10억을 얻기 위해 유세영에게 달려가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 차석훈은 유세영과 사이에 아무 일도 없다고 했지만, 이미 유세영에게 달려가던 차석훈은, 그가, 그리고 시청자들이 예상했듯이, 보조적 업무 이상의 일을 기대했었고, 아내 나홍주는 누구보다 그 '딜'의 실체를 안다. 즉, 자신들의 결혼을 담보로 한 '딜'에서 그것을 알면서도 달려간 남편 차석훈, 그의 절박함을 알면서도, 아내 나홍주는 그를 용납할 수 없다. 결국 그가 던지고 달려간 것은, 자신들의 결혼 서약이기 때문에.

개인 파산자가 넘쳐나는 시대에, 몸을 바쳐서라도 돈을 주겠다는 '딜'과, 그런 딜의 목적이 결국은, 한 개인의 소박한 행복이라는 결론은, 뻔한 설정에도 불구하고, <유혹>이라는 드라마에 현실성과, 그에 바탕을 둔 가능성을 염두에 두게끔 만드는 매력적인 요소다. 애틋하게 포옹하는 차석훈 부부를 바라보던 유세영의 미묘한 눈빛처럼, <유혹>이 뻔한 드라마를 넘어, 심리극으로서의 가능성을 열어두게 만드는 지점이다. 

물론, 일관되게 결혼의 도덕성이라는 중심에서 벗어나지 않았던 <따뜻한 말 한 마디>와 달리, 1, 2회만에, 유혹과 파멸의 징조를 보이는 <유혹>은 포진된 네 명의 남녀 주인공의 면면에서 보여지듯이, 결혼이라는 제도가 가지는 믿음에 천착하기 보다는, 그것을 뛰어넘어, '멜로' 본연의, 어쩔 수 없는 사랑의 이야기로 변주될 가능성이 높다. 3일 째 아침, 이제는 돌아가도 좋다는 유세영의 결정에, 뜬금없이, 첨밀밀의 한 장면을 연출하는 차석훈의 행보가 그걸 증명한다. 이미 깨져버린 그릇을 다시 붙일 수 있는가의 문제가 아니라, 깨져버린 그릇을 붙일 의지가 있는가의 문제로 <유혹>은 판을 달리할 듯하다.  부디 아침 드라마식의 스테레오 타입의 결론이 아닌, 시청자들이 '나라면?'하면서 멜로적 유희를 즐길 수 있는 고품격 드라마가 되길 바란다. 


by meditator 2014. 7. 16. 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