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의 '멸종'은 자연현상이다. 그런데 문제는 지금 진행되고 있는 여섯 번째 멸종이 '인위적'이라는데 있다. 매일 150종, 매년 55,000 종의 생물이 멸종 중이다. 정상보다 1000 배 이상 빠른 속도다. 인간도 그 멸종의 대열에서 예외는 아니다. 

'모든 게 사라질 겁니다!'
2020년 4월 미국 항공우주국 NASA 등의 과학자들이 시위에 나섰다. '이성'과 '논리'로 무장한 과학자들이 '눈물'로 호소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죽어가는 종을 '상징'하는 붉은 물감을 뿌려대다 결국 경찰에 연행됐다. <시사 직격>의 다큐 제작진이 NASA 소속의 기후학자 피터 칼 머스를 찾았다. 그는 초조하게 말한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어요. 확실한 경고가 필요한 때입니다.'

 

 

과학자들은 말한다. 지금 진행되고 있는 여섯 번째 대멸종이 정상적인 속도보다 수백 배나 빠르다고. 이걸 회복하는데에는 수백반 년의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여섯 번째 대멸종을 수백 배나 빠르게 만드는 건 두말 할 나위없이 '화석 연료'에 의존한 인간의 문명이다. 하지만 여전히 인간 사회의 결정은 느긋하다. 26차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 197개국의 정상들이 모였다. 석탄화력 산업의 단계적 퇴출을 논의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세계 각국의 정상들은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다만 단계적 감축을 하겠다는 의견 조정만을 이루었을 뿐이다. 

이렇게 급속도로 진행되는 '여섯 번째 멸종'의 시대, 그에 반해 여전히 경각심을 느끼지 못하고 각국의 이해 관계만을 앞세우고 있는 현실에 기후 위기 활동가들이 거리로 나섰다. 

방관자가 될 수 없다!
지난 5월 30일 영국의 리치몬드 역에는 6구의 시신들이 놓여졌다. 브라질에서 벌목꾼 총에 맞아 숨진 사람, 미국 산불에 미처 피하지 못하고 죽음에 이른 사람 등  '기후 위기'로 죽어간 사람들이다. 잠시 뒤에 하얀 천을 씌운 시신이 움직인다. 기후 활동가들이다. 이들은 이렇게 '시신 퍼포먼스'를 통해 사람들의 경각심을 일깨우고자 한다. 

 

 

프랑스 브장송 거리의 기후 활동가들은 보다 적극적이다. 기습적으로 등장한 이들이 상점의 불을 끈다. 전자 광고판을 뜯어 게재된 광고를 버리고 대신 온난화 지구를 상징하는 붉은 원의 포스터를 붙인다. 이들은 지난 2018년 결성된 '멸종 반란' 그룹이다. 소멸을 상징하는 모래 시계를 내건 이들은 더는 어설픈 방법으로는 빠른 멸종의 시대에 대처할 수 없다며 요란하게 불편을 끼치는 행동을 통해 사람들의 경각심을 일깨우겠다고 선언했다. 멸종 동물의 죽음을 상징하는 가짜 피를 뿌리거나, 의사당을 점거하는 등 직접적인 행동에 나선 '멸종 반란', 남아공에서 부터 호주, 그리고 아시아 등 84개국 1200 개 지부가 결성되었다. 

지난 3월 우리나라에서도 '사라져가는 것들을 위한' 장례식 퍼포먼스가 거행되었다.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이 통과되자 민주당을 점거하여 경찰과 충돌했다. 위법 행위도 불사하겠다는 기후 활동가들. 자신들에게 '절차'를 밟으라지만, 그 '절차'를 밟을 기회조차 쉽게 얻을 수 없다는 활동가들은 시끄럽게 해서라도, 위법 행위를 불사하더라도 자신들의 '메시지'를 전하겠다고 한다. 

'이 시기를 지나면 되돌릴 수 없다'
벌처럼 인간에게 필수적인 곤충이 사라진다면 과연 인간은 '생존'할 수 있겠냐고 묻는다. 기후 위기는 북극곰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2018년 폭염으로 초과 사망자가 8천 명에 이르렀는데, 이게 '인간 멸종'의 신호가 아니냐는 것이다. 더욱이 그 '멸종'은 늘 가난하고 힘없는 이들에게 더 빨리 다가간다니. 

경남 통영 20여년 동안 어업에 종사한 어부의 통발이 비었다. '잡을 게 없어요.' 개체수가 눈에 띄게 줄었다고 한다. 연안 양식장도 다르지 않다. 6월 말까지 수확하던 멍게 어장이 5월 말에 막을 내렸다. 2년 이상 키워야 하는 멍게 양식, 지난 여름 고온으로 수확량이 70%나 줄었다. 전세계의 해수면 온도가 0.52도 상승하는 동한 한반도 주변 해수면 온도는 1.35도 상승했다. 매우 빠른 속도다. 

그런가 하면 육지에서는 가뭄으로 21세기에 기우제를 지낼 정도다. 평년 절반에 못미치는 강수량, 강원도 고냉지 배추가 노랗게 타들어 간다. 건조한 기후는 '산불'을 초래한다. 3월 경남 밀양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건조주의보 상태에 강한 바람으로 축구장 1000 개 면적을 72시간 동안 태우고 나서야 겨우 불길이 잡혔다. 동해안에서도 10일 이상 산불이 이어져 1700여 억의 손해가 났다. 평생을 살아온 집들이 '소실'되었다. 6월초 이미 30도를 육박하는 기온, 그러면 건설 현장은 50도 가까이 올라간다. 지난 해 갑자기 올라간 더위로 건장했던 40대 노동자가 열사병으로 목숨을 잃었다. 5월에 발생한 사고였다. 

 

 

현재 세대의 탄소 배출, 미래 세대가 고스란히 
문제는 이런 기후 변화로 인한 피해가 불평등하다는 점이다. 지난 6월 13일 5살 이하 아기 40명을 포함한 62명의 어린이들이 헌법 소원을 냈다. 세계 최연소 당사자들이다. 현재 세대의 탄소 배출이 앞으로 성장하고 살아나갈 미래 세대의 권리를 침해한다는 이유에서이다. 

청년들이 주축이 된 기후 행동 페스티벌에서는 '기후 정의'를 외친다. 앞선 세대들이 전기를 쓰고, 고기를 먹으며 탄소를 배출해서 지구를 이렇게 만들어 놓고, 가뭄, 산불, 멸종 등 그 피해를 고스란히 자신들에게 물려주고 있다고 주장한다. 더구나 자신들이 살아갈 세상에 대한 정책에 정작 자신들은 배제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년들 중 64.5%가 현재의 기후 위기를 '나의 문제'라 인식하고 있다. 2020년 출생한 세대는 평생 30여 차례의 기후로 인한 위기를 겪을 거라고 예상한다. 이는 1960년 생보다 7배나 많은 예측 결과이다. 40세 이하의 세대는 전례없는 기후 위기로 인한 고통을 받을 거라는 것이다. 

내년에 꽃이 안피면 어떡하지? 
이런 현실에 깨었는 이들 중에는 '우울감'을 호소하기도다. 18세의 도영이는 기후 재난 뉴스 등을 보면 가슴이 답답해져 온다고 말한다. 막막하고 화가 나기도 하고 잠이 안오기도 한단다. 이렇게 도영이와 같은 증상이 바로 '기후 우울증'이다. 

2011년 토마스 J 도허티 교수가 처음으로 '기후 우울증'을 정의했다. 젊은이들이 기후 변화로 인해 느끼는 만성적 스트레스가 우울증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태어나보니 기후 위기인 시대, 앞선 세대가 만들어 놓은 자신이 제어할 수 없는 세상에 던져진 자신,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가 '문명' 속에 사는 자신이 또한 기후 오염의 원인이며, 그래서 스스로 행복해져서는 안된다고까지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18살의 도영이는 자신의 우울감을 또래 청년들과 함께 기후 행동에 참여하며 해소해 나가고 있다고 말한다. 베트남 석탄 발전소 건설에 참여한 두산 중공업에서 시위를 벌인 기후 활동가들은 천 만원이 넘는 민사 소송까지 당하는 처지이지만 '늘 하던대로 하면 결코 바뀌지 않는다'며 더 과감한 행동이 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고, 이것이 무기력과 허탈감을 벗어날 수 있는 에너지가 된다고 말한다. 젊은 청년을 주축으로 한 기후 활동가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상황, 하지만 아직도 환경 에너지에 기반한 전기료 2배 인상에 주춤거리는 현실은 실천과 우선 순위의 간극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by meditator 2022. 6. 18. 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