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한 편의 존 카니 감독의 영화 <싱스트리트>가 개봉되었다. 다음 작품이 또 다시 음악 영화가 될 지는 모르겠지만, <원스(once)>, <비긴 어게인(begin again)>, 이어 <싱 스트리트(sing street)>로 이른바 3부작이 되었다. 이들 세 작품이 3부작의 울타리로 함께 어우러 질 수 있는 것은 세 작품이 모두 '음악'을 다루는 음악 영화라는 점때문이기도 하지만, 서로 다른 이야기임에도 모두 공통적인 주제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기도 하다. 




신드롬이 된 <원스>와 대중적인 <비긴 어게인>, 그리고 자전적 <싱스트리트>
2006년 몇몇 예술 영화를 상영하는 극장에서 상영을 시작했던 <원스>. 영화 중 거리에서 노래를 부르는 뮤지션처럼 실제 영국 인디밴드 리더인 글렌 한사드가 연기하는 그(the guys)와 역시나 영화처럼 동유럽 출신인 마르게타 이글로바가 연기하는 그녀(the girl)가 보여주는 진정성, 그리고 그들의 다큐같은 설정에 빛을 발하게 해주는 <falling slowly> 등은 동심원처럼 우리 사회에 <원스> 신드롬을 일으켰다. 백수 취급을 받는 뮤지션과, 이민을 와서 음악 대신 가정부로 생계를 이끄는 그녀가, 피아노 판매점에서 양해를 구해, 함께 목소리를 맞추던 <falling slowly>는 그 어떤 세레나데보다 아름다웠다. 뿐만 아니라, 그녀의 마음을 고스란히 드러냈던 <if you want me> 등을 비롯하여 영화 속 상황에 맞추어 등장하는 음악들이, 다큐같은 두 사람의 이야기에 살을 붙여 감동을 전했다. 

그렇게 노래 좀 분위기 있단 한다하면 <falling slowly>가 등장하게 만들었던 <원스>가 남긴 파문을 이어 우리에게도 익숙한 배우 키이라 나이틀리, 마크 러팔로와 그룹 '마룬 5'로 잘 알려진 애덤 리바인이 합류한 <비긴 어게인>이 2013년 찾아왔다. 비록 스타가 된 애인 뒤에 남겨진 불운의 싱어 송 라이터 그레타(키이라 나이틀리 분), 한때는 스타 프로듀서였지만 이젠 알콜 중독자 수준인 댄(마크 러파로 분이)라지만, 이미 <어벤져스>나 <캐리비안의 해적> 등으로 익숙한 배우들, 그 보다 더 우리 나라 사람들에게 익숙한 '뉴욕'이란 미국 문화와 그만큼이나 대중적인 마룬 5 애덤 리바인의 노래 등은, 꿈을 찾아 실패를 딛고 일어서는 '성장담'이란 역시나 익숙한 성공담으로 <원스>보다 편하고 대중적인 호응을 성취했다. 




이젠 익숙한 감독이 된 존 카니가 2016년 들고 온 영화는 <싱 스트리트>. 1980년대의 아일랜드 더불린을 배경으로  카톨릭 학교의 소년 밴드를 배경으로 한 이 이야기는 아일랜드 태생인 존 카니 감독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고 한다. 실제 존 카니 감독은 <원스>의 주인공이었던 글랜 한사드가 이끄는 그룹 더 프레임즈(the frames)에서 91년부터 약 2년간 베이시스트로 활동한 뮤지션 출신이다. <싱스트리트>는 실제 인디 밴드 출신 뮤지션과 동유럽 뮤지션을 기용하여 다큐적 성격을 강화시킨 <원스>, 그에 반해 이미 익숙한 기성 배우들과 스타급 뮤지션을 기용한 <비긴 어게인>는 중간쯤의 성격을 띤다. 존 카니 감독의 자전적 이야기인 만큼 아일랜드 더블린의 1980년대라는 배경에 기대어, 음악판 <빌리 엘리어트>와 같은 익숙한 성장담을 그려낸다. 

다른 배경, 하지만 같은 주제 의식의 3부작 
비록 그 배경은 미국의 뉴욕, 그리고 아일랜드의 더불린으로 달라졌지만, <원스>, <비긴 어게인>, <싱 스트리트>는 모두 사회적으로 도태된 아웃사이더들의 이야기이다. <원스>, 백수와 다름없는 거리의 음악가 그, <비긴 어게인>의 그레타도, 댄, <싱스트리트>의 코너(페리다 윌시-펠로 분)도 그들은 음악에 기대어, 혹은 음악을 배경으로 살아가지만, 도시, 혹은 오늘날의 사회가 요구하는 성공적 삶에서 배제된 그들은 '음악'에서 즐거움을 얻는 대신, '성공'하지 못한 혹은 배려받지 못한 자신의 삶에 대한 상처로 쭈끄러져 있다. 

영화 속 그들의 사회적 '배제'는 구체적이다. 2000년대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거리에서 음악을 하는 사람, 공산주의가 무너진 유럽의 가난한 나라에서 가족을 지키기 위해 이민을 와 생계 노동을 하는 사람, 그리고 여성이라는 제약으로 인해 자신의 재능이 배제된 사람, 스타 시스템에서 튕겨져 나온 프로듀서, 그리고 불황기의 아일랜드 가정의 소년, 소녀 까지. 이들 중 <비긴 어게인>이 보다 영화적이라면, 그에 반해 <원스>와 <싱 스트리트>는 아일랜드 출신 존 카니 감독의 배경에 얹혀져 그 리얼리티가 배가된다. 

그런 그들이 그녀(마르게리타 이글로바)와 그레타(키이라 나이틀리 분), 그리고 모델 지망생 라피나(루시 보닝턴 분)이라는 뮤즈를 만나 '음악'을 통한 구원을 찾아간다. 사실, <비긴 어게인>이 키이라 나이틀리와 라크 러팔로라는 배우들의 연기의 맛이 곁들여져서 그렇지, <원스>나, <비긴 어게인>, <싱 스트리트>까지 이야기의 전개 방식은 단순하다. 

하지만 존 카니 감독의 영화를 스토리의 단순성만으로 폄하할 수 없다. 오히려, 그 단순한 스토리를 풍부하게 만드는 것은 그 스토리의 빈 공간을 채우는 구체적 사연이 깃든 음악들이다. <원스>의 <falling slowly>가 그랬고, <비긴 어게인>의 <lost star> 그랬듯이, tv에서 등장하는 듀란 듀란 등의 음악에 따라, 마치 커버 밴드처럼 밴드의 풍조차 변해가며 자신들의 이야기를 전하는 <the riddle of model> 등이다. 특히 카톨릭 학교의 강압적인 교육에 대적하는 영화 클라이막스 <brawn shoes>는 통쾌하고, <go now>를 통해 거친 바닷 속을 헤쳐가는 작은 보트에 실린 소년, 소녀의 의지를 상승시킨다. 



존 카니 영화 속 주인공들에게 재능은 다른 성장 영화와 달리 이미 전제로 한다. <싱 스트리트>의 코너는 <빌리 엘리어트>의 빌리처럼 자신의 재능을 발견하는데 시간을 투여하는 대신, 모델 지망생 라피나의 환심을 얻기 위해 시작한 밴드가 커버 밴드같은 모습을 통해 자신만의 색을 찾아가는 모습에 집중한다. 그리고 그 과정을 세세한 영화적 장치 대신 그들의 음악으로 설명을 대신한다. 

<원스>가 두 남녀의 음악적 사랑이 아일랜드의 고즈적한 정취를 풍미있게 만들고, 도시의 아웃사이더 두 주인공의 배회가 뉴욕이라는 도시를 화려한 불빛 이상의 정서를 배가하게 만든 반면, <싱 스트리트>는 80년대 불안한 아일랜드를 통해 21세기의 현재를 복기하게 만든다. 세 영화는 모두 아웃사이더들의 음악을 통한 구원을 이야기하지만, 시대 탓일까? 2006년의 가난한 뮤지션 그와 그녀, 그리고 2013년의 뉴욕의 아웃사이더들이 '꿈'을 포기하지 않거나 되찾는 것으로 그들의 행복을 기원하는 듯 보였다면, 거친 바닷 속의 일엽편주로 아일랜드를 떠나는 코너와 라피나의 미래는 'go now'만으론 위로가 되지 않는다. 아마도 그들에게는 노동조합의 욕을 들어 먹으면서까지 아들의 발레 학교 입학을 후원하는 아버지 대신, 이혼하고 집을 팔아버린 부모들만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그 불투명한 소년과 소녀의 미래에의 'go now'가 역설적으로 이전 작품보다, 음악을 통한 '구원'이라는 면을 진지하게 천착하게 만든다. 아이러니하게도 <싱 스트리트>의 불온한 소년의 미래를 위로하는 건, 정작 영화가  끝나고 관객들이 서둘러 나간 후 어른이 된 코너로 짐작되는 성인 밴드들의 여유로운 <the riddle of model>이다. 


by meditator 2016. 5. 26. 16:24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