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가 시작되자 등장한 것은 한 마리의 병아리, 아니 달걀, 이제 막 그 속에서 검은 병아리 한 마리가 알을 깨고 나오려고 애를 쓴다. 정지된 화면 안에서 달걀 한 알이 갓 태어난 병아리로 변하는 장면은 그 자체로 고투다. 이렇게 <sbs스페셜- 알을 깨다>는 정말로 알을 깨고 나오는 병아리로 시작된다. 그리고 그 병아리를 통해 마흔까지의 직장인의 삶을 거하고, 이제 철부지 50대에 도달한 미즈노 마사유키의 삶을 상징한다. 


새는 알을 깨기 위해 발버둥 친다. 알은 하나의 세계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려야만 한다.
- 헤르만 헤세, <데미안> 中



미즈노 마사유키, 그 인생의 황금기
흔히 오십 줄에 든 사람들에게 당신 인생의 황금기가 언제였냐고 질문하면 꽃다운 20대 청춘 시절이라고 대답하는 사람들이 상당수일 것이다. 아직 세상 그 어느 곳에도 구속되지 않았던 그 시절, 꿈을 향해 달려갈 수 있었던 가능성을 품었던 그 시절이었기 때문이리라. 그런데 여기 그런 일반적인 대답에 반론을 제기하는 이가 있다. 바로 미즈노 마사유키, 그는 말한다. 50, 이제부터가 황금기의 시작이라고. 그런데 전북 김제에 자리잡은 그의 집, 그 집에서 살아가는 그의 삶을 살펴보노라면, 그런 그의 장담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그도 남들처럼 살던 시절이 있었다. 일본에서 컴퓨터로 설계일을 하며 살던 그, 좋은 아파트, 좋은 차, 그리고 가족들의 풍족한 생활, 그런 것들이 그의 삶을 지배하던 시절이 있었다. 일주일 정도 걸릴 일을 삼, 사일에 해치우기 위해 야근을 밥 먹듯이 하던 시절, 어느 날 문득 창 밖을 보니 보도의 틈 위에 민들레가 자라고 있었다. 봄이 오는 줄도 모르고 살던 시절, 그 봄의 전령을 보고 미즈노는 고민하기 시작했다. 과연 나는 행복한가? 나는 무엇을 위해 지금 이렇게 자신을 소모하고 있는가? 라고. 

어린 시절 미즈노는 풀과 벌레를 좋아하던 소년이었다. 하지만 어느덧 어른이 된 미즈노는, 그 어린 시절의 꿈을 잊었다. 대개의 어른들이라면, 나이가 든다는 게 그런 거지하고 넘어갔으련만, 미즈노는 달랐다. 지금까지 해오던 모든 것을 접어두고, 아내의 고향 전북 김제로 다섯 아이를 끌고 갔다. 그리고 이제 아내가 일을 나간 집에서 그는 기르고 싶던 머리도 기르고, 커피를 내려 마시며, 온 동네 버려진 물건을 집어다 뚝딱뚝딱 무언가를 만들고, 아홉살 딸내미의 가장 친근한 벗이 되어 지낸다. 그가 가장 좋아하는 시간은 하루의 일과가 끝난 후 그가 만든 네온이 은은하게 빛나는 바에서 재즈를 들으며 막걸리 한 잔에 치즈을 입에 넣을 때. 



알을 깨고 나온다는 것
집 앞 30년된 나무와, 100년된 나무 사이에 층층이 건들건들 매어달린 나무집, 4년 동안 지은 이 나무집이 그가 보낸 '철부지 세월'의 결과물이다. 하지만 단지 이 나무집만일까? 다큐는 직장인 미즈노가 철부지 50살 소년이 된 그 과정을 설명하는 대신, 그와 그의 자녀들의 관계를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다큐가 시작하자 마자 미즈노의 상징으로 등장했던 '오늘 탄생한 검은 병아리 한 마리'는 BJ가 꿈인 막내 딸의 첫 방송 초대 손님이 되었다. 그런데 이게 웬걸, 야무지게 무엇이든지 뚝딱 만들어제치는 아빠의 손을 빌어 집까지 만들어 줬는데, '러브 하우스' 하모니가 끝나기도 전에, 막내딸이 가장 애지중지하는 어미 고양이가 단박에 나꿔채버렸다. 허겁지겁 고양이의 입을 벌려 구출 작전을 시도해 보지만 오늘 태어난 생명에게 새끼를 난 어미 고양이의 허기진 입은 가혹했다. 

죽은 병아리를 손 위에 놓고 망연자실해 하는 아홉 살 난 딸에게 아빠 미즈노는 담담하게 말한다. 새끼를 네 마리나 낳은 어미 고양이는 배가 고팠을 것이라고. 우리가 방심했다고. 하지만 네가 어떤 결론을 내릴 지는 너의 몫이라고. 흔히 이런 상황에서 부모들이 하는 귀여운 병아리를 죽인 고양이가 나쁘다던가 하는 선입견에서 아빠 미즈노는 한발 물러선다. 

미즈노네 집은 매사가 이런 식이다. 학생들이 있는 미즈노네 아침, 하지만 아무도 학교 가라, 아침 먹어라 독촉하는 사람이 없다. 아이들은 저마다 알아서 때가 되면 일어나고, 자신만의 시간을 보내다 학교로 간다. 엄마 역시 자신의 출근 준비에 바쁘다. 사진과에 다니다 잠시 휴학을 하고 자신의 길을 모색하는 딸에게도 마찬가지다. 미즈노는 말한다. 부모로써 그 짐을 조금 덜어주곤 싶지만, 그러나 딸의 인생은 딸의 것, 그런 아빠, 엄마가 지킨 경계선에서 미즈노네 아이들은 저마다 자신의 길을 물어 스스로 답을 얻는다. 

아홉살 난 딸은 병아리의 죽음은 슬프지만, 그렇다고 고양이를 미워하지 않는다. 이미 아홉 살이지만 병아리의 죽음을 통해 인생의 한 단면을 이해한다. 스무 살이 넘은 딸은 스스로 새로운 자신을 향한 길을 찾아 아버지의 도움없이 라오스로 떠났다. 마흔 살 창 밖의 민들레를 보고 전북 김제로 향하기 까지 2년 아마도 미즈노도 그랬을 것이라는 것을 그와 딸들의 관계를 통해 짚어보게 된다. 풍족한 삶 대신, 때로는 득도한 스님처럼, 때로는 소년처럼 꿈꾸는 것을 미루지 않고 지금 당장 찾아서 즐기는 그의 삶은 마치 잠시 도원에 든 나무꾼의 일장춘몽과도 같다. 

하지만 미즈노는 말한다. '마흔까지 가족의 행복을 자신의 행복이라 여기며 일벌레로 살아왔다. 하지만 어느 날 보니, 가족은 행복할 지 모르지만, 나는 행복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 선후를 바꿨다. 그러고 나니 나도 행복하고, 가족도 또한 행복해 졌다' 이건 미즈노가 도달한 결론이고, 다큐는 보는 우리에게 던진 질문이다. 병아리가 깨고 나온 알 껍질을 들고, 미즈노는 말한다. 알은 병아리를 보호해주지만, 그러나 병아리가 되기 위해서 알은 장애라고. 그렇게 어렵사리 알을 깨고 나온 병아리는 하지만 태어난 첫날 고양이에게 물려죽었다. 다큐는 그럴 듯한 미즈노의 트리집과 그 자녀들의 이상적인 관계를 보여주지만, 그 안에 각자의 삶을 버거워 하며 이겨내는 알을 깨는 과정은 복선처럼 깔려있다. 병아리의 죽음이 아홉살 소녀에게 화두가 되듯, 저마다 삶의 화두를 붙잡고 가야한다는 것을 철부지 50세 소년은 초연하게 웃으며 받아들인다. 




<나는 자연인이다>의 <SBS스페셜> 버전같았던 <알을 깨다>는 하지만, 가족, 사회와 괴리된 채 자연을 벗삼던 자연인들과 다르다. 50살 철부지라며 스스로 하염없이 선한 웃음을 날리는 아버지에게, 스무 살이 넘는 딸은 영원토록 철들지 않기를 소원한다. 아홉 살 딸에게는 가장 충실한 조력자이자, 경계를 넘지않는 든든한 멘토이다. 이제 남편 대신 돈을 벌러가는 아내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기 삶의 행보에 신중한 남편이 믿음직스럽다. 나무 위에 지은 꿈의 공장같은 트리 하우스는 그저 미즈노의 자기 만족을 넘어, 새로운 일이 될 가능성이 엿보인다.

<퇴사하겠습니다>, <성신제의 달콤한 인생>, <회사를 바꾼 괴짜 사장>에 이은 <알을 깨다>는 욜로 라이프(YOLO, you only live once)라는 주제로 꿰어질 수 있다. 이제 성장의 한계에 도달한 사회, 인간성을 극한까지 밀어부치는 경쟁 사회에서, 이 시대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창되고 있는 욜로 라이프, 그 범주 안에서 다큐는 새로운 이야기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평범한 회사원이라는 알을 깨고 나온 미즈노의 즐거운 인생 역시 이 시대의 또 한 편의 새로운 선택지로 제시된다. 정답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죽은 병아리를 들고 황망해 하는 딸에게 네가 고민하고 선택한다고 말하듯, sbs 스페셜 역시 마찬가지다. 이 시대, 당신이 살아갈 한번 뿐인 삶을 누리는 이런 방식도 있다고, 하지만 앞으로 어떻게 살지는 당신의 선택이라고. 


by meditator 2017. 7. 31. 1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