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sbs스페셜은 지난 2006년 <환경 호르몬의 습격>을 통해 생리통이 심한 여학생들에게 '자궁 내막증'의 위험이 있으며 이것이 환경 호르몬과 관계가 있을 수 있다는 문제 제기를 한 바 있다. 그로부터 10여 년 과연 세상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환경 호르몬'이 습격한 세상의 10년 후를 2월 26일, 3월 5일 2부작으로 방영된 <바디 버든>이 살펴본다.
호르몬은 생체의 체내에서 만들어 지는 화학물질로 생리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환경 호르몬(environmental hormone)은 말이 호르몬이지 우리 몸에서 정상적으로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다. 산업 활동으로 인해 만들어진 물질이 우리 몸에 들어와 호르몬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문제는 이 '호르몬과 같은 역할'을 하는 물질이 우리 몸의 정상적인 호르몬 작용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인간을 비롯한 동물군의 생태계는 물론, 지구의 존립까지 위협하는 지경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우리에게는 '안방의 세월호'로 기억되는 '가습기 살균제' 사건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2001년 만들어진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PHMG)등이 포함된 가습기 살균제는 당시 신종 플루의 유행을 등에 업고 날개돋힌듯 연간 60여만 개가 팔려나갔다. '인체에 안전한 성분을 사용해 안심하고 쓸 수 있다'던 문구를 믿고 사용했던 소비자들은 폐가 굳은 채 죽어간 1124명의 사망자를 비롯한 5410명의 피해자가 되었다. 그러나 대표적인 사례일뿐이다. 폴리클로로바이페닐(pcb), 다이온신 화합물 등 현재 밝혀진 것만으로 70 여가지가 넘는 물질이 있다. 그리고 '이 외인성 내분비 교란 물질'은 또 언제 어떻게 우리를, 우리 지구를 죽음으로 몰고갈 지 모른다는 사실이 더 위협적이다.
자궁 경고하다
2006년 방송 당시 다큐는 환경 호르몬이 자궁 내막증, 성조숙증, 요도 하열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주범이라는 문제 제기를 했다. 왜 자궁이었을까? 환경 호르몬은 우리 몸에 다각도로 영향을 미치지만 그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곳이 자궁이다. 그 이유는 바로 환경 호르몬이 우리 몸에 들어와 '여성 호르몬'처럼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제 다큐는 5개 기관 30여 명의 연구진과 함께 생리통을 비롯한 5가지 자궁 질환을 가진 여성 4주간 '바디 버든 프로젝트'를 통해 환경 호르몬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는 한편 대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그까짓 생리통? 정 아프면 진통제 한 두알이면 되는? 하지만 생리를 하면 일상 생활이 무너져 버리는 생리통이라면? 2006년 조사 당시와 10년이 지난 현재, 놀라운 사실은 '생리통'이 여성들에게 더 심해졌다는 것이다. 심해졌을 뿐만 아니라, 병적이라 할 정도로 극심한 통증에 시달리는 여성들도 늘어났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여성들 중 상당수가 자국 내막증을 비롯한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이다. 몇 십년전만 해도 희귀 질환이었더 자궁 내막증이 이젠 흔한 여성들의 질환이 되었다. 극심한 생리통을 비롯하여, 자궁 내막증, 불임 등의 다양한 자궁 질환을 가진 여성들이 모였다.
우선 이들 몸속의 '바디 버든'을 측정해 보았다. '바디 버든(BODY BURDEN)은 인체 내 유해 인자, 화학 물질의 총량을 뜻하는 용어로, 바디 버든이 높다는 것은 인체 내 유해 물질의 축적 수준이 '높'거나 '위험 수준'에 이르렀다는 것을 뜻한다. 우리가 눈을 뜨고 잠자리에 들 때까지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것들은 바디 버든의 원인이 되는 것들이다. 화학 제품 범벅으로 살아가는 현대인, 개별 화학물의 유해도 문제지만, 이로부터 비롯된 화학적 유해의 총량, 그것이 진짜 문제라며 다큐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아침에 일어나 플라스틱 통에 든 샴푸로 머리를 감고, 화학 제품 용기에든 역시나 화학 제품 범벅인 화장품으로 빠짐없이 온 몸을 도배한다. 그리고 바쁜 시간을 쪼개 끼니를 챙기느라 화학 제품 용기에 든 식사를 전자렌지에 돌려 먹거나, 그도 아니면 역시나 화학 제품 용기에 든 간편 조리 식품으로 배을 채운다. 그리고 화학 제품으로 코팅된 컵에 커피를 마시고, 화학 제품인 생리대를 쓰고.....이렇게 동어반복처럼 '화학 제품'으로 된 매일매일의 삶을 살아간다. 인간, 그 중에서도 특히나 여성들이 더 많은 환경 호르몬의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은 여성들의 라이프 스타일만 봐도 당장에 알 수 있다, 그런데 여성들이 무방비하게 노출된 이 환경 호르몬 들 중 상당수가 몸 속에 들어와 '여성 호르몬'인체 하며 여성의 자궁을 '공격'한다. 당연히도 조사에 참가한 여성들의 바디 버든 수치는 심각하게 높았다.
나 하나의 문제가 아니다- 독성 유전
1부가 환경 호르몬에 무방비하게 노출된 여성들의 문제를 통해 심각해진 바디 버든 문제에 접근을 했다면 2부는 우리 대에서 끝나지 않는 환경호르몬의 영향을 살핀다. 딸과 함께 '바디 버든 프로젝트'에 참여한 캐나다의 감독 베리 코헨, 코헨 감독은 검사 결과를 보고 경악한다. 캐나다에서는 20여 년 전에 사용이 금지된 환경호르몬, 당연히 감독 역시 어린 시절 이래로 사용한 적이 없는 환경호르몬이 그녀의 딸 몸에서 측정됐다!
1부가 우리의 후손을 책임질 여성 자궁의 건강성 문제를 통해 환경호르몬 문제를 접근했다면, 2부는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우리가 낳는 우리의 후손들이 그들이 사용한 적조차 없는 환경호르몬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는 사실을 '폭로'한다. 어머니는 아이를 위해 모유 수유를 하지만, 그 모유 수유를 통해 어머니의 바디 버든은 줄어드는 반면, 축적된 환경호르몬은 고스란히 아이에게 전해진다는 것이다. 서울대 최경호 교수는 '어린 아이일 수록 언제 노출되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많이 노출되느냐'가 문제라고 강조한다.
그래서 2013 <아이 몸에 독이 쌓이고 있다>라는 책을 펴낸 임종한 교수는 현대인들의 대다수 질병들이 '환경호르몬'과 연관이 있다 주장한다. 특히 아이들의 면역력이 떨어지고, 천식, 아토피, 당뇨등의 질병이 느는 것은 물론 다큐는 ADHD 등의 정신적 질환조차 환경호르몬과의 연관성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주장한다. 일반적으로 한 사람은 하루 200여종 이상의 화학 물질에 노출되어 있는데, 이를 임종한 교수는 '담배만큼' 나쁘다고 경고한다.
그렇다면 이렇게 우리 생활 주변을 포위하고 있는 환경호르몬에 우리는 무방비하게 당하고만 있어야 할까? 다큐는 미흡하나마 그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8주간의 '바디 버든 프로젝트'에서 여성들은 가급적, 최선을 다해 주변의 환경호르몬과 '절교'를 고한다. 화장을 지우고, 친환경 제품을 쓰고, 채소 위주의 유기농 식사를 하고자 노력한다. 겨우 8주에? 하지만 겨우 8주만에 참가한 실험자들에게 변화가 나타났다. 생리를 하면 그 며칠간은 일상 생활을 전폐해야 했던 실험자는 '생리통'을 잊은 자신이 놀랍다. 불규칙한 생리로 고통받던 여학생은 피부도 좋아지고, 살도 빠지며 생리도 원활해졌다. 불임 부부에게는 희망조차 보인다.
겨우 8주라도 가능성이 보이는 것이다. 모유 수유조차 두려운 '독성 유전'도 마찬가지다. 환경호르몬'이 덜한 숲에서 하루 종일 뛰어놀은 아이들의 몸은 달라졌다. 비록 엄마로부터 '독성 유전의 영향'을 받은 아이들도 '유기농' 위주의 식단 등 노력을 한다면 발병 정도의 차이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다큐는 분명히 밝힌다. 가습기 살균제 사건처럼 이런 일련의 환경 호르몬에 대한 대처가 '개인적'인 소신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제 아무리 '환경호르몬'에서 안전하다는 면 생리대를 쓰고, 유기농 제품을 먹고 사용하고, 자연에서 뛰논다 해도 , 인간 생활지 근처에서 변형되어 태어난 무당개구리와 까치에서 보여지듯 무차별적인 환경호르몬의 공격에 우리의 삶이 무방비하다는 것이다.
2006년 처음 환경호르몬의 문제를 제기했던 다큐, 하지만 우리나라는 그로부터 10년 후 '안방의 세월호'를 겪었다. 하지만 역시나 같은 시기 문제 의식을 갖게 된 미국, 캐나다, 유럽 등은 우리와 다른 결과를 가진다. 유럽 연합은 2007년부터 화학물질 규제 제도(REACH) 제도를 도입해 연간 1t이상 제조 또는 수입되는 화학물질에 대해 제조량, 수입량, 위해성 등에 따라 제조와 유통 등에 제한을 두고 있다. 물론 우리도 '화학 물질 등록 및 평가에 대한 법률'이 있다. 하지만 가습기 살균제 사건에서 보듯이 적정량조차 실험없이 무방비하게 제공하여 소비자를 죽음에 이르는 현실이다. 또한 더욱 아이러니한 것은 유럽에서는 통용되던 원칙이 대한민국에 오면 대한민국 식으로 바뀐다는 것이다. 지난 해 12월 28일 '생활 화학 제품 및 살생물제 안전 관리법(살생물제법)' 제정안을 입법 예고했지만 '비용 부담' 등을 우려한 산업계의 반발로 '자중지난'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tv > 다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것이 알고 싶다- 아무도 찾을 수 없다?> 최순실의 은닉 재산 미스터리- '다시 시작'의 의미를 제대로 짚다. (2) | 2017.03.12 |
---|---|
<2017 시대 탐구 청년- 평범하고 싶다> '노멀크라시(normalcracy)'가 이상이 된 세대, 2017 청년의 현주소 (2) | 2017.03.08 |
<AD2100 기후의 반격> 다큐, 기후 협약에 발빠르게 대처하다 (1) | 2017.02.21 |
<sbs스페셜-시크릿 공화국> 국민적 감시의 부재, 권력의 부패를 낳다 (2) | 2017.02.20 |
<sbs스페셜-대통령의 탄생> 되풀이될 수도 있는 기만 '선거'를 막기 위한 '끝장 토론'의 판을 깔다 (1) | 2017.02.06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