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요즘 인기리에 방송되는 <응답하라 1988>, 그 드라마 속 성동일의 장녀 성보라는 운동권 여학생으로 등장한다. 그 당시 성보라같은 운동권 학생들이 대학에 입학해서 제일 먼저 읽는 책 중에 하나는 바로 장 폴 사르트르의 <지식인을 위한 변명>이었다. 대학 입학 초기 교양 강의에서도 종종 권장되었던 이 책에서는 중간자로서의 지식인의 정체성에 대해 논하고 있다.
장 폴 사르트르는 어떤 분야의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을 가진 사람이 곧 지식인은 아니라고 말한다. 한 사회의 지배 체제를 이끌어 가는데 필수불가결한 존재인 전문가들이 지배 계급과 비 지배계급의 중간자로서의 위치에서 지배 계급 유지의 '집 지키는 개'가 되는 대신, '자신의 권한 밖에', '자신과 무관한 일에 참여하는 귀찮은 존재'로 지배 계급의 이데올로기와 싸우는 존재로서의 특수성을 강조한다.
그래서 7,80년대의 대학생들은 '선택받은 자'로서의 지식인의 사명과 고뇌를 대학 입학의'세례'로 받아들이는 것을 시대적 숙명으로 여겼었다. 그래서 88년의 시대상을 그려내는 대중적 드라마에서 대학생 성보라는 고뇌하는 지식인의 표상으로 운동권 학생으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지배 계급과 피지배 계급 사이에서 자신의 사상적 계급의 선택 기로에 놓인, 그래서 고뇌해야 했던 지식인은 자본주의 발전, 그리고 신자본주의의 발현과 더불어, 지배 계급 체제 속으로 '흡입'된다. 한때 운동을 했던 선배들이 대기업을 다니며 자연스레 소시민이 되어갔고, 그 다음에는 imf와 무한 경쟁의 사회 속에서 각자도생의 삶에 침몰되었다. 그 과정에서 '재벌과 관료, 법조의 커넥션'이 대한민국을 통치하기 시작했다. '입시 전쟁'을 마치고 대학에 들어간 학생들은 지식인으로서의 고민 이전에 불경기 안에서 그 커넥션 속에서 어떻게든 한 자리를 쟁취하기 위해 다시 '취업 전쟁' 속으로 뛰어들어야만 했다. 청년 실업률이 장년의 실업률을 앞서는 나라에서 '지식인을 위한 변명'은 사치가 되어가는 것이다.
2015년의 지식인은? 내부자 혹은 송곳이 되어
그렇게 모두가 저 마다의 밥그릇조차 찾아먹기 버겁다고 외치는 세상에서, 2015년에 등장한 영화와 드라마들은 저 오래된 지식인의 이야기를 끄집어 낸다. 물론, 2015년의 그들을 '지식인'이라고 하지 않는다. 그들은 바로 '재벌과 관료, 법조' 커넥션 속의 '내부자들'로, 혹은 참을 수 없는 '송곳'같은 존재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11월 29일 12부작으로 종영한 jtbc의 <송곳>, 이 드라마의 주인공 이수인은 프랑스계 유통 대기업 푸르미의 과장이다. 과장이라는 간부직인만큼, 그는 재벌 카르텔의 내부자이지만, 드라마 속 그는 '재벌'의 밥그릇을 지켜주는 대신, 정리해고를 당할 푸르미 직원들의 편에 선다. 드라마는 하지만, 그런 그를 '지배 계급과 피지배 계급의 중간자적 위치의 지식인'이라 말하지 않는다. 대신, '세상에 걸림돌같은 인간들, 삐죽 튀어나오는 송곳같은 인간들'이라며 '인간의 존재론'에서 접근해 들어간다. 하지만 드라마 속 지현우가 분한 이수인의 송곳론은 샤르트르의 '지식인론'과 크게 다르지 않다. 자신의 존재를 고민하고, '앞잡이가 되는 대신' 자신과 무관한 일에 참견하려 드는 귀찮은 존재를 드라마는 '송곳'인간형으로 표현했을 뿐이다. 그런 자신의 송곳같은 심성을 어쩌지 못해 결국 노조를 만드는데 앞장서는 이수인이 그 이전 세대의 운동권으로 고문 휴유증에 시달리는 노동상담소장 구고신과 연대하는 것은, 세대와 세대를 이은 지식인의 만남으로 상징적이다.
그렇게 내부자들로 피지배계급 속으로 들어간 이수인이 드라마 <송곳>에 있었다면 영화 내부자들은 대놓고 '내부자들'의 각성을 이야기한다. 대한민국을 확고하게 쥐고 흔드는 재벌-언론-법조의 커넥션 속에서, 결국 그 커넥션을 궤멸할 수 있는 가능성은 그 내부자들에서 찾을 수 있다고 드라마는 말한다. 그래서 영화 속 손을 잃은 이병헌이 분한 안상구는 조국일보 주필 이강희(백윤식 분)의 똘마니였고, 조폭 이병헌 대신 내부 고발의 총대를 멘 우장훈(조승우 분)은 검찰 카르텔의 또 다른 똘마니였다. 내부자로 입신양명 해보려 했던 그들이, '토사구팽' 당한 후 자신들이 들었던 칼의 향방을 바꾸어 카르텔의 궤멸에 나선 '한바탕 신명난 환타지 영웅극이가 바로 영화 <내부자들>인 것이다.
드라마 <송곳>이 '송곳같은 인간형'으로서 지배 계급의 카르텔에 동조할 수 없는 이데올로기적 객관자로서의 지식인의 고뇌에 집중했다면, 영화 <내부자들>은 그 카르텔의 '개로서 내부자들의 숙명에 대한 서사에 집중한다.
<애인있어요>가 진짜 하고 싶은 이야기; 최진언의 각성과 도해강의 회개
그런가 하면 이혼한 남녀의 다시 만난 사랑 이야기로 화제가 되고 있는 <애인있어요>에는 또 다른 지식인에 대한 고민이 담겨있다. 이 드라마에서 드러난 이야기의 주된 줄기는 4년전 불륜으로 아내를 저버렸던 남자 최진언(지진희 분)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내를 잊지 못하고 기억을 잃은 아내 도해강(김현주 분)을 찾아 다시 사랑을 이루고자 하는 순애보이다. 하지만 그런 두 사람의 사랑 이야기를 타고 저변에 흐르는 이야기의 본질은 드러난 사랑 이야기와 다르다.
제약 회사의 아들이었지만 아버지의 부도덕한 사업 방식에 불편해 하며 연구실에만 틀어박혀 있던 최진언, 아내를 치워달라며 아버지에게 매달린 대신 그는 회사로 돌아올 것을 약속했다. 그리고 그 약속에 맞추어 불륜녀와 유학을 마친 그는 아버지 회사의 중역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기억을 잃은 아내 도해강을 만나면서, 그는 아버지 회사의 변호사로 온갖 궂은 일 처리를 마다하지 않았던 아내의 기억을 찾는 과정에서, 부도덕한 제약 회사의 '헬게이트'로 들어선다. 신약 개발 과정에서 벌어진 부작용을 덮기 위해 살해 등 온갖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부도덕한 경영을 알게 된 그는 진실을 찾기 위해 거기에 뛰어든다. '알고 있으면서도 나는 결백하다 외면했던 그 진실'에 뛰어든 최진언의 각성과, 백석이란 인물을 만나 정의로운 변호사로 거듭난 도해강이 '천년 제약'의 개로 살았던 지난 날을 회개 과정이 이제 후반부에 들어선 <애인있어요>의 실질적 이야기이다.
이렇듯 우리 사회의 정의를 논하는 드라마나 영화들은 이제는 굳건하게 자리잡은 대한민국의 재벌-언론-법조-관료의 카르텔의 내부자들로부터 시작된다. <복면 검사>의 의로운 주인공은 검사였고, 남은 생의 마지막을 정의롭게 펼친 <펀치>의 박정환 역시 검사였다. 이것은 곧, 7,80년대의 지식인이 변화된 사회 체제 속에서 편입된 자신의 존재로부터의 각성을 그렇게 표현하는 것이다. 강고한 체제 속 지식인의 존재론의 새로운 모색이기도 하다. 또 한편에서는 지배 체제가 강고해 지는 반명 그에 저항하는 대체 세력의 무기력이 '내부자'나 '내부 고발'의 소극적 표현으로 등장하는 안타까운 현실이기도 하다. 그러기에 '내부자'나 '송곳'으로 돌출한 영화나 드라마의 지식인의 선택은 '환타지'적인 영웅서사로 마무리되어 가는 것이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