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같이 사는 사람이 주말 농장을 경영한 적이 있다. 농장을 만들고 제일 먼저 심은 몇몇 식물들이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미나리'였다. 구덩이에 물을 가두어 미나리꽝(미나리를 심은 논)을 만들었다. 그렇게 심은 미나리는 날이 쓸쓸해질 때까지 끊이지 않고 공급된 우리집 먹거리였다.
왜 하필 물만 주면 지천으로 피어나는 '미나리'였을까? 윤여정 배우가 분한 순자는 하고많은 '식물' 중에 미나리를 가져갔을까? 115분의 런닝 타임이 끝날 무렵,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많은 토종 식물들이 있지만 '물'과의 전쟁을 벌이는 아칸소 농장에서 그저 물가에 던져놓기만 해도 쑥쑥 자라 '일가'를 이루는 미나리만큼 '제이콥(스티븐 연 분)'네 가족의 '이상향'이 될 식물이 있을까 싶었다.
영화는 정이삭 감독의 어린 분신같은 데이빗(앨런 김 분)의 시선에서 진행이 된다. '제이콥'네 이야기라지만 정작 여리여리하지만 강인하게 아칸소에 뿌리를 내리는 미나리처럼 여겨지는 건 모니카, 순자, 앤의 여성 3대이다. 아칸소 개울에 던져진 미나리 씨앗처럼 본의 아니게 아칸소까지 삶의 터전을 옮기게 된, 하지만 굳건하게 버티는 그녀들의 모습에서 강인하지만 고달픈 여성사를 목도하게 된다.
모니카, 엄마의 자리
꼬까옷같은 한복을 입고 '사랑해 당신을'을 얼굴 붉히며 부르던 시절의 모니카는 순자의 말대로 '사랑'만으로 죽고 못살 것같은 여성이었다. 그런데 이제 아칸소까지 남편을 따라 온 모니카에게는 그 시절이 꿈결같다.
캘리포니아에서 병아리 감별사로 일했던 남편이 다시 '새로운 꿈'을 찾아 터전을 옮긴 '아칸소 농장', 거기에 모니카가 꿈꾸는 삶은 없었다. 아니 이제 모니카에게는 삶을 꿈꾸는 게 '사치'일지도 모르겠다.
병아리 똥구멍만 보며 평생을 살 수 없다며 남편은 황무지같은 아칸소 농장을 사들였다. 그가 캘리포니아에서 벌어들인 돈의 상당부분은 예측건대 '제이콥의 가족'을 위한 지원으로 씌여진 듯하다. 아직 엄마 손이 필요한 두 아이들, 심지어 작은 아이는 심장에 이상이 있어 늘 모니카의 마음을 불안하게 한다. 아이들을 번듯하게 교육시킬 수 있는 환경, 건강이 불안한 작은 아이에게 무슨 일이 생기면 언제든 병원으로 달려갈 수 있는 환경이었으면 좋겠다는 '기본적'인 모니카의 소망은 아이들에게 뭐라도 해내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는 남편의 '꿈' 앞에 무색해진다.
<미나리>는 종종 모니카의 얼굴을, 모니카의 시선을 클로즈업한다. 아칸소의 농장을 바라보며 '황망'해하던 그녀의 눈빛은 바퀴가 달린 트레일러 집으로, 무리수로 농장 일을 벌이는 남편으로 이어진다. 마치 모니카 자신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아칸소에 던져진 '미나리 씨앗'과도 같다.
남편의 말처럼 처음 미국 땅을 밟았을 때만 해도 미지의 땅에서 새로운 삶을 일구어 보자는 서로의 '의기투합'이 있었다. 그로부터 10년, 남편은 아이들 앞에 번듯한 아버지가 되겠다며 꿈을 찾아왔는데 정작 모니카는 그 남편이 들여다보기 싫다는 병아리 똥구멍을 보는 일을 배우기 시작한다.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가 밑빠진 독에 물붙기같은 일을 벌이는 남편을 믿을 수 없어 자신이 '가족'을 책임지겠다고 한다. 그걸 위해서 이제 기꺼이 아칸소를 떠날 결심까지 한다. 병아리 똥구멍 아니라 그 무엇이라도 내 아이들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못할 일이 없어 보인다.
물론 영화는 극적으로 '해체' 직전의 가족을 더 극적인 화재 사건을 통해 '봉합'한다. 위기의 순간 가족은 다시 하나가 되지만, 아마도 그 이후로도 모니카가 살아가는 '삶의 방식'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
순자, 할머니의 자리
정작 제이콥이 10년을 벌어 자신의 친가 가족들을 도왔지만 사고무친 아칸소에 와서 제이콥의 가족들이 손을 내민 건 모니카의 어머니 '순자'였다. 모니카가 외동딸이라지만 순자는 머리가 허연 할머니가 될 때까지 한국에서 살아왔었다. 그 여성이 자신을 도와달라는 딸의 한 마디에 이역만리 아칸소로 온다.
자신의 궁색한 모습을 보인다는 딸의 계면쩍은 한 마디에 순자는 쿨하게 바퀴 달린 집이 신기하다며 대꾸한다. 한국 냄새가 난다면서 자신을 밀어내는 손주 침대 옆 자리에서 궁색하게 잠을 청하며, 어떻게든 살아보려는 딸이 직장을 나간 사이 '집'을 버텨낸다.
<미나리>는 철없는 손자 데이빗과 할머니 순자의 해프닝으로 채워간다. 그 속에 다 늙어서도 엄마의 노릇을 마다하지 않는 '순자'의 속내는 쉽게 읽혀지지 않는다. 그저 할머니를 골탕먹이려 오줌을 먹이는 손주의 지독한 장난도 괜찮다는 쿨한 할머니가 있을 뿐이다.
정작 '순자'의 마음이 드러나는 장면은 그 무엇도 괜찮다던 그녀가 본의아닌 방화범이 되어버린 후이다. 집으로 달려가는 가족들과 반대의 방향으로 비척비척 걸음을 옮기는 순자의 표정이야말로 그녀가 아칸소까지 왔던 '이유'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준다. 고스톱이나 가르쳐주고 레슬링이나 탐닉하는 실없는 할머니의 속내가 가장 솔직하게 드러나는 순간이다. 그 무엇이었건 순자는 그 먼곳까지 와서라도 딸을 보살펴주고 싶었던 '엄마'였던 것이다. 자신의 몸 하나도 건사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어떻게든 딸네 집에 보탬이 되고 싶었던 '엄마' 덕분에 또 다른 엄마 모니카는 버텨낼 수 있었다.
그리고 엄마 모니카를 버티게 해준 또 한 사람으로 빠뜨릴 수 없는 사람이 딸인 앤이다. 할머니가 오기 전, 미국에서의 삶에서 할머니가 허투루인 영역에서, 그리고 그 마저도 노환으로 감당할 수 없을 때 모니카의 빈 자리를 이제 겨우 10살이나 됐을까 싶은 딸 앤이 채운다. 한참 또래 아이들과 뛰어놀 시절의 아이는 든든한 누이가 되어 병약한 동생을 지켜낸다.
영화는 제이콥 가족의 아칸소 정착기이지만, 눈에 들어오는 건 불모지에 터전을 잡으려는 무모한 제이콥과 병약한 데이빗이라는 두 남자의 불안한 삶의 빈틈을 메꿔주는 세 여성의 희생적이며 헌신적인 모습이다. 그들은 순자가 가져온 미나리 씨앗처럼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아칸소'에 던져진다. 그들의 삶은 주체적인 대신, 주어진다. 아니 그들은 '가족'을 선택했다는 의미에서는 '주체적'이다. 그러나 그들의 '주체적'인 선택은 과정에 대한 그들의 선택적 여지를 '상실'케 한다. 하지만 그녀들은 강인하게 버텨내고자 한다. 그런 의미에서 그들은 제이콥과 데이빗의 '생존'을 위한 '물'과도 같은 존재이다. 그들의 자기 희생적 기반 위에서 '가족'은 자란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산어보> 흑산에 살 것인가, 자산에 살 것인가 - 삶으로 실천하다 (0) | 2021.04.05 |
---|---|
<당신의 사월> 다시 돌아온 4월, 당신의 노란 리본은 어디쯤 있나요? (0) | 2021.04.05 |
<더 디그> '발굴'을 통한 '교감'과 '공명' - 우리가 남기는 것은? (0) | 2021.02.15 |
<승리호> '또 하나의 가족' 승리호 -불완전하고 불온한 아버지의 세계 (2) (0) | 2021.02.10 |
<랜선 명절, 가족에게 권하고픈 영화 - 세상의 모든 디저트; 러브 사라> 볼 수 없어도, 갈 수 없어도, 사랑은 언제나 그 자리에 (0) | 2021.02.07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