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4년 6.4 지방 선거 중 함께 치뤄진 교육감 선거에서 뜨거운 화두는 바로 학생들의 '수면권'에 대한 것이었다. 그에 대한 각 자치권역 교육감들의 선거 공약은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의 '9시 등교', 그리고 충북 김병우 교육감의 '0교시 폐지'였다. 그리고 이런 공약을 앞세워 당선된  진보적 입장의 이들 교육감들은 '성적' 이전에 학생들의 '행복 추구권'을 앞세우며 각각 학생들의 충분한 아침 잠을 위해 '0교시'를 폐지하고, 9시 등교를 실행에 옮겼다. 


그리고 2014년 11월 충북 고교생을 상대로 한 설문 조사에서 도내 766명의 학생들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70.2%의 학생들이 만족을 표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다. 올해 초 충북의 한 시의원은 '김 교육감의 0교시 폐지 정책으로 '9년은 행복할 지 몰라도 90년 불행할 수도 있다'며 0교시 폐지로 인한 교육량 감소, 학력 저하를 문제 제기하고 나서기도 하였다. 과연, '잠'을 줄여서 수업을 해서 교육량을 늘려야만 학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인가? '성취'와 '능력'을 위해 개인의 희생과 고통 감수를 당연시하는 '능력 사회'에서 '잠'은 어떤 존재 의미를 가지는 것인지, 7월 6일 <mbc다큐 스페셜>이 파헤쳐 본다. 



성공하기 위해 잠을 줄이는 사람들
다큐는 '능력 사회' 속 자신의 능력을 제고하기 위해 갖가지 방법으로 잠을 줄이는 사람들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대표적으로 잠을 줄이는 사례로 등장하는 것은 수능 준비를 하는 고3수험생이다. 수능에서 좀 더 높은 성적을 위해 애쓰는 승엽이, 고등학생이 되면서 성적을 올리기 위해 수면 시간을 절반으로 줄였다. 부족한 잠때문에 아침 밥상에서도 제대로 눈도 뜨지 못하는 승엽이, 그런 승엽이가 안타까워 엄마는 고기 반찬에 영양제까지 챙겨 먹이지만, 시도때도 없이 쏟아지는 잠은 승엽이의 고민거리다. 
다음으로 등장한 것은 직장인 김씨, 높은 연봉의 남들이 부러워하는 직장에 다니지만, 유학을 다녀온 동료들의 존재가 부담스러운 김씨가 선택한 방법은 남들보다 잠을 덜 자는 것이다. 새벽 서너시가 되도록 수학 문제를 풀고, 독서를 하며 자신을 다져가는 김씨, 하지만 일상의 그는 늘 '피곤에 쩔어있다'. 

보다 나은 능력을 얻기 위해 잠을 줄이고자 하는 것은 대한민국 사회만의 화두가 아니다. 자본신자유주의가 점령한 세계 곳곳에서 '능력 사회' 속에서 생존하고 성공하기 위해 사람들은 '잠을 줄이고' 있다. 미국 아이비 리그 대학생들의 20%가 잠을 덜 잘 수 있는 '스마트 약'을 복용하고 있다고 하고, 뇌에 전기 자극을 주어 잠을 쫓는 '경두개직류 자극장치(TDCS)가 인기를 끈다. 우리 사회에서 잠을 쫓는 각종 각성 음료는 학생 층을 중심으로 일상화되어 가고 있는 중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인위적으로 잠을 쫓는 방식, 성공을 위해 잠을 희생하는 방법이 정말 효과가 있는 것일까? <MBC다큐 스페셜>은 이에 대해 설명해 보고자 한다. 



잠, 생존을 위해, 성공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것
잠을 줄여 자신의 충전에 사용하는 직장인 김씨, 그를 진단한 의료진은 그의 건강 상태가 시한부 폭탄과도 같다고 위험을 경고한다. 즉, 줄어든 수면 시간으로 인해, 역설적으로 불면증까지 나타나고 있는 상태이며, 잠을 자도 숙면을 취하지 못해, 쌓인 만성 피로가 언제 폭발할 지 모른다는 것이다. 

자신의 성공을 위해, 혹은 생존을 위해 가장 만만하게 희생의 제물이 된 잠, 하지만, 그 잠을 줄인 결과는 뜻밖에도 참혹하다. 다큐는, 현대사의 인류에게서 벌어진 엄청난 재앙들이 뜻밖에도 부족한 잠의 결과물임을 밝힌다. 체르노빌을 비롯한 대재앙을 불러 일으킨 각종 사고들 뒤에는 뜻밖에도 '잠이 부족한' 사람들이 존재했다는 것이다. 

즉 잠은 그저 줄여도 되는 만만한 기능이 아니라, 잠을 줄였을 때 오는 집중력 저하, 인지 능력 감퇴는, '재앙'을 불어올 만한 가공할만한 위험 요소가 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실제 실험에 참가한 대학생들을 상대로 잠을 자는 집단과 잠을 자지 못한 집단으로 나눠 명백한 연구 결과로 그것을 증명한다. 

나아가 잠의 역할에 대해 규명하고 한다. 평생을 잠을 연구해온 학자들을 동원하여, 그리고 실제 실험을 통해 '잠'이 그저 휴식을 넘어, 깨어있는 시간 동안 했던 활동을 정리하고 축적하는 시간임을 밝힌다. 즉, 깨어있는 동안 했던 공부를 자기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잠'은 필수인 것이다. 

다큐는 무조건 잠을 줄인 승엽이와 달리, 자신의 페이스에 맞춰 잠을 충분히 자며 공부하는, 그래서 오히려 늘 맑은 정신으로 각종 정보들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가 된 같은 고등학생 다은이와 수림이의 학습 방식을 바람직한 예로 제시한다. 

실제 '뇌과학'은 우리 뇌를 '도서관'에 비유한다. 즉, 깨어있는 동안 받아들인 각종 정보를, 우리 뇌는 우리가 잠을 잘 동안 차곡차곡 정리하여, 마치 서가에 책을 꼿듯이 자신의 데이터베이스화 한다는 것이다. 결국, '잠'을 자지 않는다면, 우리 뇌는 정리되지 않는 정보의 포화 상태가 에 불과하다는 것이 최신 뇌과학의 입장이다.

하지만 이렇게 최신의 과학적 입장이 분명한데도,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는 '수능 만점자가 나오지 않았다'며, '9년의 행복이 90년의 불행을 낳는다는 담론'이 횡행한다. 그런 여전한 '능력 우선주의' 그리고 '그 희생의 제물로서 잠을 당연시 하는' 지배적인 사회 분위기에서, <MBC다큐 스페셜-잠을 지배하라>의 그 '지배'하고자 하는 방향은 유의미하다. 

단지 아쉬운 것은, 늘 그렇듯이, 승엽이와 수림이, 다은이의 방식 제시처럼, 공부를 잘 하기 위한 '개인의 선택'의 문제처럼 제시된다는 것이다. 우리 사회 '잠'의 문제, 그리고 '체르노비' 사고처럼, 사회적 재앙을 불러 일으킨 '잠'의 문제는 개인이 어떤 방식을 택하느냐의 선택이 아니다. 삼교대, 혹은 철야가 시스템으로 강요되는 사회 근본적인 문제이며, 직장인 김씨의 경우처럼 '성공을 위한 강박', 잠을 줄여서 수업량을 늘려야 한다고 하는 '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문제이다. 그런 면에서 원인은 사회에 있는데, 선택은 개인으로 귀결되는 다큐의 시선이 아쉽다. 


by meditator 2015. 7. 7. 15:42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