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환타지 드라마 장르에서 홍미란, 홍정은 작가의 영역은 발군이다. 앞서 '호텔 델루나'라는 '연옥'과 같은 공간을 매개로 생과 사를 오가는 '인연'의 이야기를 만들어 낸 홍작가들은 이번에는 '지도'상에 존재하지 않는 '대호국'이라는 가상의 국가로 시청자들을 초대한다. 

일찌기 <쾌걸 춘향> 이래로, <쾌도 홍길동>, <내 여자 친구는 구미호>, <화유기> 등 잘 알려진 고전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탄생시켜왔던 두 작가들은 이제 스스로 '고전'을 만들어 내는 경지에 이르른 듯하다. 작가들이 만들어 낸 '대호국'은 그래서 그 무엇이라도 가능한 공간이다. 이 곳에 왕이 지배하는 '정치 체제'와 별개로 '송림'이라는 무협 집단을 설정하고 무공을 넘어선 환타지적 능력의 주인공들을 등장시켜 서사를 진행시킨다. 여기에 '몸과 혼을 바꿀 수 있다는' 신비하고도 공포스러운 '환술'을 통해 드라마적 갈등 요소를 극대화한다. 

 

 

두 명의 홍작가들이 걸출한 건 매번 신선한 '환타지 월드'를 만들어 내는 데만 있지 않다. 그들은 2004년부터 거의 20년이 되어가는 시간동안 여전히 '청춘'의 서사를 공감가게 그려내고 있다. 배우의 이름보다 '나상실'이라는 캐릭터 명으로 더 친숙해진 한예슬, 드라마의 제목이 곧 주인공 이름이었던 '미남이'의 박신혜, 1300살도 넘은 장만월을 천연덕스럽게 해낸 아이유 등, 당대 청춘 스타들은 모두 '통과 의례'처럼 홍작가들의 드라마를 거쳤다. 

이번에도 아이돌 출신의 황민현과 아린의 출연이 화제가 된 드라마, 제작 초반 주연 배우 캐스팅의 잡음을 불식하고 드라마를 이끌고 있는 건 안정적 연기력이 뒷받침된 이재욱과 정소민이다. 

이재욱이 분한 장욱과 정소민이 분한 무덕이, 두 주인공은 대호국 명문가 장씨 집안의 아들과 그의 시종이라는 신분 상의 차이를 지녔지만, 그런 드러난 '상태'와 달리, 두 사람 모두 '갇힌 자'들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갇힌 청춘 장욱과 무덕이
청춘(靑春), 푸를 청에 봄 춘, 이 한자음의 뜻에서도 알 수 있듯이 '청춘'은 봄날의 푸른 싹처럼 거침없이 분출되는 젊음의 기운이다. 그런데 그 '분출'되어야 하는 기세가 갇혀있다면? 역사 이래 수많은 청춘들의 '불행'은 자신들의 뜻대로 그 청춘의 기세를 발산할 수 없음에서 기인하지 않았던가? 자신의 처지에서 어찌해볼 수 없어 고통받는 청춘의 서사, 이보다 더 청춘스러운 이야기가 있을까? 

<환혼>의 장욱과 무덕이 역시 그들이 가진 청춘의 기세를 제 맘대로 펼쳐낼 수 없는 처지라는 지점에서 '연'이 닿는다. 장씨 집안의 아들, 하지만 정작 집을 떠난 장욱의 아버지 장강은 장욱이 가진 '기문'을 막아버렸다. 당대 최고의 고수 장강이 막은 아들의 기문, 당연히 그 누구도 감히 장욱이 술법을 익힐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도울 수 없다. 

그런가 하면 어느날 저질 체력의 하인으로 장강 앞에 나타난 무덕이는 이 드라마의 주된 갈등 요소인 '환혼인'이다. 이름마저 '낙수', 그녀가 지난 자리에 사람들의 목이 떨어진다는 무림의 고수 낙수는 하지만 송림에 쫓겨 죽을 위기에서 눈먼 소녀 무덕이의 몸을 빈다. 

무덕이의 육체에 갇힌 낙수, 아버지가 막아 놓은 기문으로 자신의 육체에 갇힌 장욱, 두 사람은 도련님과 시종으로 만났지만 14번의 파문을 거듭하며 무림의 세계를 익힌 장욱은 무덕이 안의 낙수를 알아챈다. 그리고 그 누구도 그를 거두지 않은 송림의 사람들 대신 '낙수', 아니 낙수의 환혼인 무덕이를 자신의 스승으로 삼는다. 

남장 여자, 귀신을 무서워하는 호텔 지배인, 기억을 잃은 재벌 등 늘 '아이러니한 처지'의 주인공을 캐릭터화 시키는데 능숙한 두 홍 작가들은 이번에도 육체 안에 갇혀진 두 남녀 주인공들을 통해 그들의 서사를 펼쳐나간다. 특히 여주인공의 색다른 캐릭터에 독보적인 작가들 답게, 시종이자, 스승인 무덕이라는 신선한 여성 캐릭터를 풀어나간다. 

장씨 집안의 아들이라 송림의 내노라하는 스승들을 다 '섭렵'했지만 그들 모두 정작 장욱의 '기문'을 열어주려 엄두도 내지 않는 상황, 하지만 무덕이는 달랐다. 물론 무덕이의 다름은 그저 도련님 장욱을 위한 것만은 아니다. 그가 고수의 경지에 이르면 그의 '기력'으로 저질 체력의 육체 속에 갇힌 낙수 자신이 가진 본래의 '무공'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이해 관계'가 서로 맞아 떨어졌기 때문이다. 

장욱의 스승이 된 무덕이는 고수가 되고 싶다는 그의 열정을 '허세'라며 주저앉히는 다른 송림의 스승들과 달리, 그의 '기세'를 인정하고 복돋아 준다. 심지어 벼랑 아래로 떨어뜨려 살아남은 아이만 카우는 '스파르타식'으로 독약을 먹여 송림에서 기문을 열어줄 수 밖에 없는 방식으로 장욱을 사지로 몰아넣어 외려 그걸 통해 장욱의 '살길'을 도모하는 '극한의 교육'을 행한다. 그건 늘 극한의 고통과 죽음의 위기 속에서 살아왔던 '낙수'이기에 가능한 교육이다. 

죽음의 위기를 통해 그 누구도 건드리지 않았던 기문을 열 수 밖에 없도록 만든 무덕이 안의 낙수, 그렇게 남들은 '허세'라던 자신의 열망을 인정받는 과정을 통해 장욱은 '무덕이'에 대한 믿음을 형성해나간다. 그저 장씨 집안의 아들로 허세나 부리며 살아가라는 장욱을 무술에 대한 열망을 지닌 한 사람으로 온전히 이해해준 사람이 무덕이가 처음인 것이다. 

또한 무덕이 역시  오랜 시간 홀로 수련해 오고, 자신의 목숨을 노리는 자들만을 상대하던 고독하고 위태로운 삶을 살아왔는데, 위기의 상황에서 기꺼이 자신을 구하기 위해 나서는 장욱에게 믿음을 가지게 된다. 일찌기 가족들을 잃고 복수를 하고, 자신을 지키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살아온 그녀를 '보호'해주려고 한 사람은 장욱이 처음이었던 것이다. 

그렇게 두 사람은 스승과 제자, 그리고 무엇보다 그들은 인정하고 허용하지 않는 세상 속에 서로를 믿어주는 단 한 사람으로 '신뢰', 그리고 차츰, 그 신뢰를 밑바탕으로 한 '애정'의 걸음을 옮긴다. 

 

 

물론 드라마는 장욱과 그의 스승을 자처한 무덕이, 그 안의 낙수라는 두 주인공의 인연을 중심으로 풀어가지만, 거기에 서로에게 첫사랑의 기억을 가지고 있는 낙수와 서율(황민현 분), 무덕이를 '똥무더기'라 부르지만 어느덧 그녀를 신경쓰고 있는 세자 등, 무더기를 중심으로 한 남성 캐릭터들이 포진한 '역할렘물'의 요소도 이 드라마에서 빼놓을 수 없는 흥미 요소이다. 

물론 거창한 무림의 세계, 그리고 환술이라는 신비하고도 공포스러운 '신선한 환타지 월드'를 표방했지만 정작 드라마는 중국 무협 영화나 드라마를 보는 듯 낯이 익다. 또한 환술 역시 새로운데 어딘가 본 듯한 술법이다. 또한 송림을 배경으로 한 무술의 쟁투를 그리지만 스토리의 진행은 홍 작가들 특유의 치기어린 대사 들로 구성된다. 그럼에도 이제 기문이 뚫려 매회 무공이 업그레이드 되어가는 장욱과 그런 장욱을 흐뭇하게 바라보는 스승 무덕이의 환타스틱한 러브 스토리는 본격적인 괘도에 들어선다. 

by meditator 2022. 7. 13. 16:4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