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8년 서울에 경증치매인들이 함께 했던 <주문을 잊은 음식점>이 잔잔한 반향을 일으켰었다. '깜빡 깜빡'하는 경증 치매인들, 비록 주문을 종종 잊고, 자신이 지금 무얼 해야 하는 지, 어디에 있는지 잊어버려도 스텝과 식당에 온 손님들의 배려와 도움으로 자신의 맡은 바 임무를 거뜬히 해냈다. '치매'가 사회적 사망 선고가 되는 세상, 그런 굳어진 세상의 인식에 프로그래은 윤활유 역할을 했다. 

 

 

제주도의 주문을 잊은 식당 
그로부터 다시 4년이 흘렀다. 주문을 잊었던 음식점은 다시 한번 그 날개를 펼쳤다. 이번에는 바다 건너 제주로 갔다. 하루 3시간, 단 3일, 그 짧은 시간 동안 다시 한번 치매인들과 정상인들의 '이인삼각' 경주가 시작되었다. 

시즌 2를 맞이한 <주문을 잊은 음식점>에서 서빙을 하게 된 경증 치매인들은 네 사람이다. 83세의 맏형 장한수 씨는 2015년에 치매 판정을 받은 치매 경력이 제일 오래된 분이다. 기분이 좋으면 노래를 흥얼거리고 춤을 추지만 불안하면 자꾸 아내와 딸을 찾는다. 늘 베레모와 선글라스를 빼놓지 않는 최덕철 씨는 2020년 알츠하이머 판정을 받았다. 매일 보는 홍석천 씨를 처음 본 사람처럼 반가이 포옹을 하는 그는 한때는 카이스트 연구원이었다. 

매번 자신을 '백옥같이 곱다'는 의미에서 옥자라고 소개하는 백옥자 씨는 깜빡깜빡 멤버 중 유일한 홍일점이기도 하지만 '반가운 사람들만 있네'라며 언제나 웃는 낯을 놓치지 않는 멤버 중 가장 화사하고 따뜻한 존재이다. 무엇보다 손님 한 명 기억하기 라는 미션을 손에 써왔어도 다음 날이면 그 조차도 잊어버리지만 계산기가 필요없을 정도로 송은이도 버벅이는 손님들 밥값에는 '귀재'이다.  

처음 멤버로 등장했을 때 다른 멤버들이 모두 '촬영하는 분'이야 하고 의아해 했던 김승만 씨는 이제 겨우 60의 '조발성 알츠하이머' 치매인이다. 예전에는 목회 활동을 했지만 이제는 1번 테이블 찾기가 제일 어려운 처지다. 그래도 백옥자 씨 못지 않게 언제나 미소 띤 얼굴로, 주변 인물들에게 '엄지 척'을 놓치지 않는 선량한 아저씨다. 

 

 

날마다 새로운 일상
출근 첫 날 숙소에서 자고 일어난 백옥자 씨가 '여기가 어디지?'하고 낯설어 한다. 그래도 주변 환경을 찬찬히 살피던 옥자 씨는 조금 뒤 '제주도'임을 알아챈다. 그래도 첫 날 두리번거리던 옥자 씨는 나은 편이었을까? 셋째날 함께 출근하던 깜빡깜빡 남자 3인방은 당당하게 주문을 잊은 음식점 옆의 까페로 들어선다. 들어선 다음에도 여기가 맞다는 세 사람, 과연 단 3일이라도 그들의 '서빙'이 순탄할까? 

첫 날 화사한 분홍빛 앞치마를 장착한 네 사람, 옷 색깔에 대한 민망함도 저리 밀쳐두고 자신이 해야 할 새로운 일에 두려움이 앞서는 모습이다. 테이블 번호도 외우고, 해야 할 일도 숙지하고, 불안해서일까, 자꾸 아내와 딸을 찾던 한수 씨는 옆에서 옥자 씨가 괜찮다며 달래는 말에도 목소리가 높아지고 만다. 

우여곡절 끝에 개업한 식당, 다행히 손님들이 한 팀, 두 팀 찾아들기 시작했다. 이제 막 결혼식을 올렸다는 신혼 부부가 식당으로 입장한다. 

경증이지만 치매인들을 주문서에 손님들이 체크만 하면 되는 시스템, 그런데 주문서가 때론 주방에 도착하지를 않기도 한다. 음식이 나오면 차례로 손님께 가져다 주는 과정, 식당 안팍으로 겨우 일곱 테이블인데도 한바퀴를 빙 돌거나, 식당 안의 1번을 놔두고 밖에 나가서 두리번 거리기가 십상이다. 3일째 되었어도 여전히 주문서를 가져다 주는 것을 잊어버리고, 새로 등장한 '동파육'을 비싸니 싼 거 먹으라고 엉뚱한 소리를 하거나, 손님 테이블에서 자신의 지나온 이력을 줄줄이 늘어놓기도 하는 등 '서빙'의 본분을 잊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하지만 '잘 하려고, 열심히 하려고 하는' 4인방의 노력은 겨우 3일만에 능숙하게 자신의 동선을 자신에 맞게 '조직'해 낼 정도로 무람없이 자신들의 미션을 마무리했다. 

물론 이런 해프닝에 대비해 작업 치료사를 비롯한 스텝들이 만반의 대비를 하고 있지만, 손님들이 들이닥친 시간에 빚어지는 상황에 모두 대처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그런데도 주문을 잊은 식당이 가능했던 건, 이곳을 찾는 손님들의 '그러려니'하는 '배려' 덕분이었다. 수저를 안갖다줘도, '그림의 떡이네'하고 마주보고 웃는 부부처럼 손님들은 '깜빡 4인방'이 빚어내는 '실수 아닌 실수'들에 관대한 태도로 일관했다. 그리고 그런 '배려로 어우러진 장면이야말로 <주문을 잊은 음식점>을 통해 시청자들이 마음의 위로를 얻을 수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 

자신의 어머니가 치매였다는 외국인 아내는 백옥자 씨의 손을 꼭 잡고 건강하시라 한다. 어디 외국인뿐인가. 자신이 직접 만든 마카롱과 팔찌를 드리며 '응원'하는 모습들이 여전히 우리가 함께 어루러져서 살아갈 수 있음을 증명해 내고 있다. 

우리나라 노인 인구 중 10%가 치매를 앓고 있다. 김승만 씨 처럼 조발성 알츠하이머까지 약 88만 명이 치매를 겪고 있다. 프로그램이 끝나가자 깜빡 4인방은 모두 내일도 출근하고 싶다고 한다. 쉽지 않은 프로젝트였지만, 경증 치매인들이 사람들과 어우러져 사회적 인간으로 자신의 존재감을 뽐내는 시간은 의미가 깊다. 조금만 세상이 배려한다면 아직은 세상 속에 그들의 자리가 있음을, 우리가 여전히 그들과 함께 살아갈 수 있음을 프로그램은 말한다.

특히 지난 주문을 잊은 음식점에 출연했던 분의 등장은 감격스럽다. 시즌 1에 출연한 이래 뜨개질을 하는 등 꾸준한 활동으로 치매의 진전이 가속화되지 않은 모습은 뽀족한 치료제가 없는 현실에 등불같은 메시지를 남겼다. 

김승만씨를 찾아온 아내는 편안하게 다른 사람과 대화도 하고 장난도 치는 남편이 다른 사람같다고 눈시울이 붉어진다. 아내를 먼저 보내고 홀로 지내던 덕철은 '내 평생 잊지못할 추억'이라고 기쁨을 숨기지 않는다. 겨우 3일이었지만 늘 사회와 분리된 채 자신의 병마와 싸우던 이들에게 '주문을 잊은 음식점'은 마치 '크리스마스 선물'처럼 소중하고 뜻깊은 시간이다. 비록 그들이 이 시간조차 잊어버린다 할 지라도. 




by meditator 2022. 7. 31. 16:59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