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글의 법칙>에 밀려 금요일 밤 단골 2위의 자리를 설욕하기 위해 야심차게 수요일 밤 11시 10분으로 자리를 옮겼던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는 새로이 자리를 옮긴 <룸메이트>에게도 밀리며, 시청률의 품격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10월 16일부터 야심차게 합류시킨, '가족포차'코너에도 불구하고 동시간대 꼴찌를 면하지 못하고 있는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 이 프로그램의 품격은 어떻게 해야 유지될 수 있을까?

 

'화목한 가족'을 만들기 위해 12인의 전문가가 제시하는 현명한 가족문제 해결법'이란 그럴싸한 캐치프레이드를 내걸고 시작했지만,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는 근원적으로는, mbc에서 매주 토요일 11시 10분에 방영중인 <세상을 바꾸는 퀴즈(이하 세바퀴)>에 여러 게스트를 불러다 토크를 하는 프로그램의 형식을 빚지고 있고, 가깝게는 종편에서 활발하게 방영되고 있는 <동치미> 등의 아류라는 오명을 벗어내지 못하고 있다.

<인간의 조건>의 도전에도 불구하고 토요 예능 1위 자리를 굳건하게 지키던 <세바퀴>가 이제 거의 <인간의 조건>과 비슷한 시청률을 보이며 하락하고 있듯이, 같은 성격의 종편 프로그램의 범람과 함께, 이제 다수의 게스트를 모아놓고 이야기를 나누는 형식 자체가, 피로도를 넘어, '지겨움'을 주고 있는 형국이다. 이리저리 채널을 돌려봐도, 어디선가 한 편은 방영되는,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와 같은 프로그램들이,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와 같은 프로그램 전체를 질리게 만든 것이다.

 

더구나, 이와 비슷한 타 프로그램에서도  그렇지만, 말이 전문가가 제시하는 현명한 가족 문제 해결법이지, 이리 저리 자리만 바꿔앉은 듯한 이 방송 저 방송을 넘나드는 연예인 게스트들이 찜질방 아줌마 수다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는 해결 방법을 제시하는 것에, 다수의 정보 프로그램을 통해 식견이 높아진 시청자들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더 이상 세상은, 가족 문제에 있어, '화목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지 않고, 가족이라도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쟁투'와 '이혼'까지도 불사하는 세상에,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가 시대 착오적(?)으로, 가족 내 화목을 위해, 어설픈 충고를 해대고 있는 것도, 이 프로그램이 꼴찌를 면하지 못하는 또 하나의 이유가 될 수도 있겠다.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에는 <사랑과 전쟁>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났던 '위기'의 가족은 없다. 그저 '가족 사진' 속 환하게 웃는 코스프레한 가족이 있을 뿐이다. 막장이 인기를 끄는 세상에. 덕담만이 오가는,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가 싱거울 수 밖에 없는 노릇이다.

 

(bnt뉴스)

 

그런 위기의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가 내건 해결책은 이른바 '가족 포차'이다. 말이 가족 포차지, 이경규를 위시하여, 이윤석, 조우종, 김지민을 직장 내 서열에 따라 배치하고, 맞은 편에 게스트들을 직장 내 서열에 따라 앉힌 후,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새로운 형식을 도입한 것이다. 마치, <해피투게더>가 목욕탕 내 토크 이후, 야간 매점을 하는 식인 것이다.

하지만, <해피 투게더>의 경우, 동일한 게스트가 두 포맷을 함께 참여하는 것과 달리,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는 마치 전혀 다른 두 프로그램을 붙여 놓은 것처럼, 전혀 다른 게스트들이 두 코너에 등장한다. 그렇다고, 예전 <무르팍 도사>와 <라디오 스타>가 함께 하던, 토크쇼의 일관성도 없다. 그저 말만 가족을 붙였을 뿐이다. 그 이전에 해오던 '감놔라 배놔라' 코너를 포기하자니,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라는 정체성을 포기하는 것 같고, 그렇다고 새로운 코너, '가족 포차'에 대한 절대적 확신도 없는 것이, 어정쩡한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의 현재 상태라고나 할까?

 

되는 집안은 뭘 해도 되지만, 안되는 집안은 뭘 해도 안된다는 속담은 '가족 포차'를 두고 이르는 말같다.

<해피투게더>의 야간 매점이 인기를 얻은 이유 중 하나는 당시 트렌드가 되고 있던 '야식'이었다. 게스트들이 들고 나온 신선한 메뉴의 야식 '먹방'이 야간 매점을 화제의 중심으로 끌어 올렸다. 하지만, 말이 포차지, 배경만 포차인 '가족 포차'엔 포차다운 먹방은 없다. 그저 흔한 오뎅 국물 하나 없이 이루어지는 맹송맹송한 토크는, 영 분위기가 살지 않는다.

 

11월 5일 방영분에서 후배들이 이경규에게 묻는다. 어떻게 그렇게 하고 싶은 말을 다하면서 오래도록 살아남을 수 있느냐고, 그 질문에 이경규가 말하기를, 모든 것을 다 이야기 하지만, 결코 진짜 결정적인 말은 하지 않는다고. 어쩌면  <힐링 캠프> 등을 비롯한 이경규의 침체를 설명하는 명쾌한 정의가 될 수도 있는 말이다.

또한 이날의 후배들 질문에는, 어떻게 하면 이경규의 라인에 들 수 있는지 등과 같은 것이 있었다. 유재석, 강호동도 위기다, 이제 절정을 지났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상황에서, 여전히 이윤석이 침을 튀기면서, '시키면 다한다'는 식의 이경규 라인에 서는 법을 강의하는 '가족 포차'라니, 현실에서 벗어나도 한참 벗어난 질문이 아닌가.

 

게다가 포차에 초대되는 게스트들의 면모도 그렇다. 직장내 분위기를 살기 위해, kbs 아나운서실을 비롯하여, 다양한 기수의 개그맨들이 초대되었다. 하지만, 이들 역시 이미 <해피투게더>를 통하여 충분히 울궈낸 캐릭터에, 이야기들이다.

제 아무리 새로운 포맷이라 하더라도, 거기에 담긴 내용이 신선하지 않다면, 시청자들의 시선을 돌아갈 수 밖에 없다. 이미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의 출연진 면면이 그것을 증명하지 않았떤가.

 

어쩌면 애초에, 10시대에서 8시대 가족적인 분위기로 자리를 옮겼어야 할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가 11시의 예능 정글로 자리를 옮겨 앉은 것부터가 넌센스였을 지도 모르겠다. 과연 동시간대 2위나마 쟁취할 수 있을런지, '종영이야 폐지냐' 논란의 기로에 선, <매직 아이>의 전철을 밟지 않을 수 있을 런지. 식상한 출연진에, 그보다 더 식상한 토크로 점철된,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의 품격은 유지가 가능할 지 여러모로 그 행보가 아쉽다.

by meditator 2014. 11. 6. 11:44

<정글의 법칙>에 밀려 늘 금요 예능의 단골 2위였던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가 수요일 밤 11시대로 방송 시간을 옮기면서, 동시간대 1위에 등극했다.


11시대로 시간을 옮겼다 반갑게 말하는 이정민 아나운서에 인사에, 이경규는 냉정하게 말한다. '살벌한 시간대'라고. 그도 그럴 것이, 이전의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가 늘 <정글의 법칙>에 밀려 2위를 했듯이, 수요일 밤에는 무엇이 어떻든 최강자 <라디오 스타>가 버티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라디오 스타>가 예전만 못한데다가, 최근 들어 <오마이 베이비>가 <라디오 스타>를 시청률로 누른 경험도 있기에, 과연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는? 했는데, 결국, 편성의 한 수가,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에게 만년2인자의 설움을 씼어줬다. 

수요일 밤의 지각 변동은 이미 예상된 바 있다. 그 어떤 게스트가 나와서 시시껄렁한 이야기만 해도 늘 수요일 밤의 1위를 수성하던 <라디오 스타>가 <오마이 베이비>라는 가족 예능을 맞이하여 고전하기 시작했다. 게스트가 누구냐에 따라, <오마이베이비>와 1위 자리를 엎치락뒤치락 하기 시작한 것이다. 

무엇보다, 이런 시청률의 지각 변동의 원인은 <라디오 스타>에 있다. 
생기발랄한 B급 농담을 하며, 비주류적인 시각을 견지하던 <라디오 스타>가, 어느새 MC군단은 '어디 한번 웃겨봐'하는 식의 고압적 권위를 지니게 되었고, 게스트의 능력에 따라 프로그램의 재미는 편차가 심해진 고인 물이 되었다. 누가 나와도, 그의 새로움 면면을 발견하던 <라디오 스타>가 누가 나와도 뻔한 프로그램이 되기 시작한 것이 수요일 밤 예능 최강자 <라디오 스타> 몰락(?)의 징조였다. 

물론 그런 <라디오 스타>에 먼저 도전장을 낸 것은 야심차게 새로 시작한 도시로 간 정글의 법칙, <도시의 법칙>이었다. 
상대적으로 신선한 출연진들, 이방의 낯선 도시에 지갑조차 빼앗긴 채 던져진 그들, 그들의 생존기가 시청자들의 눈을 사로잡겠다며 <라디오 스타>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정글의 법칙>에 있던 김병만이 <도시의 법칙>에는 없었다. 프로그램이 미처 만들어 주지 않아도 스스로 프로그램을 꾸려가던 <정글의 법칙>과 달리, 특별할 것없는 게스트들에, 이방의 낯선 도시임에도 신선하지 않은 <도시의 법칙>은 정글과 달리, 시청자들의 눈을 사로잡지 못했다. 

대신, 11시대로 옮긴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가 <정글의 법칙>에 눌려 만년 2인자의 설움을 대신 <도시의 법칙>정도는 가뿐히 누르면서 풀어낸다. 

image
(사진; 스타뉴스)

그렇다면 대번에 1위에 오른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의 매력은 무엇일까? 그 징조는 <오마이 베이비>에서 시작되었다. 아기에만,혹은 아기와 아빠라는 특수한 상황에만 집중을 하던 여타 육아 프로그램과 달리, <오마이 베이비>에서 부각되는 것은 바로 '가족'이다. 가족이 키우는 아기, 가족 속의 아기, 그래서, 누가 아기를 어떻게 키우느냐가 <오마이 베이비>의 관전 포인트였다. 그런 <오마이 베이비>가 보다 살벌한 주말 예능으로 자리를 옮기고, 그 자리에, 역시나, '가족'에 방점이 찍힌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의 이동은, 시청자들의 마음을 잘 헤아린 편성의 성공이라 보여진다. 

처음 시작할 때만 해도, 종편의 여느 프로그램들처럼, 각 분야의 전문가연 하는 어르신들을 모아놓고, 가족 생활에 대한 훈수 두기 프로그램처럼 시작되었던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는 <안녕하세요>처럼 일반인 사례는 아니지만, 다양한 게스트들을 초빙하면서 좀 더 현실적인 가족 이야기를 프로그램의 내용으로 수용하면서 시청자들의 시선을 끌기 시작했다. 

7월 9일 방송분에서 보여지듯이, 갖난 아기를 가진 도경환 아나운서에서부터, 19개월 된 딸을 가진 변우민, 유치원생 아이를 둔 한주완 아나운서에, 세 쌍둥이 슈까지 출연하면서,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는 아이를 키우는 다양한 이야기들이 등장할 수 있는 자양분을 가진다.

대놓고 19살 연하의 아내와 이제 19개월 된 딸을 가진 중후한 변우민에게 세대 차이가 나지 않느냐고 물어보는 직설 화법에, 전혀 세대 차이는 느껴지지 않는다는, 혹은 육아가 너무 재밌다는 변우민에, 아이 보기가 재밌는 건 아버지의 마인드라기보다는 첫 손주를 본 할아버지의 마인드라는 촌철살인의 조크에서부터, 실제 부부 사이에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 중 '나이 차이'는 없다는 전문가의 평가까지 다양한 시각이 바로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의 재미 요인이다. 

무엇보다 품격 있는 가족 생활을 위한 진솔한 고민의 공유가 이 프로그램의 핵심이다. 
모유 수유를 위한 팁에서 부터, 모유 수유를 가능케 한 시도에 대한 19금 토크, 거기에 매일 밤 우는 아기에 대처하는 아빠의 자세까지, 실제 아기를 키우는 다양한 사례들이 등장하면서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는 뻔한 신변잡기류의 농담을 넘어서 진지한 고민의 공유로 넘어간다. 
매일 밤 아기 때문에 잠못드는 하지만 다음 날 직장에 나가 일을 해야 하는 아버지의 고뇌에, 24시간이 모자르는 엄마의 고충이 맞서고, 그런 아버지에게 각방을 허용해야 한다는 현실론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육아는 부부가 함께 공유해야 한다는 이상론이 맞선다. 출연자들은 연예인이지만, 그들이 누군가의 엄마, 아빠인 이상, 프로그램은 그 어떤 리얼리티 프로그램보다 '리얼'해진다. 

거기에 어르신들의 경험과, 전문가의 식견, 그리고 현재를 살아가는 세대의 조화가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의 매력이다. 때로는 육아를 둘러싼 부부간의 갈등을 조선시대 안채 바깥채를  쓰던 시절의 상황을 이상적이라 풀어내는, 지나치게 고답적인 해결책이 등장하거나, 여전히 의견의 논리적인 것과 상관없이 '내가 해봤는데' 식의 목소리 큰 사람이 이겨버리는 상황도 종종 등장하지만, 그럼에도, 세대간, 혹은 성간의 차이를 진솔한 고민의 토로를 통해 조금 더 '이해'에 접근하려는 자체가 품격있는 가족을 지향하는 이 프로그램의 성취이다. 가장 남성중심적인 듯하면서도 이런 세대별 성향을 아우르는데 탁월한 이경규와 직접 아이를 키우는 주부로서의 진솔함이 매력인 이정민 아나운서의 조화 역시 이 프로그램의 매력을 배가시킨다.

하지만 프로그램의 개성도 개성이지만, 젊은층이라는 타킷이 분명해 보이는 <도시의 법칙>과, 상대적으로 젊은 층을 지향하는 <라디오 스타>를 단번에 누른, 세대간 조화를 지향하는 혹은 상대적으로 중장년층의 시각을 대변하는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의 1위 쟁취는, 공중파 수요일 밤 11시에 대한 시청자층의 성향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by meditator 2014. 7. 10. 13:32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