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2일 첫 방영된 tvn의 금토 드라마 <시그널>은 마치 <응답하라>가 미처 그려내지 못한 그 시대들의 뒤안길을 파헤쳐간다. 드라마는 <응답하라> 시리즈에 나올 법한 '울고 있나요, 당신은 울고 있나요'라는 조동진의 노래를 따라, 그 시절로 시청자를 끌어들인다. 그리고, 지금으로부터 15년전 유괴된 아이의 사건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비오는 날 운동장에서 친구가 지켜보는 가운데 우산을 든 여자와 사라진 아이, 그 아이는 집으로 돌아오지 않았다. 그리고 15년이 흘러 이제 그 아이, 김윤정 유괴 사건의 공소 시효가 만료될 시점이 다가왔다. 하지만, 젊은 윤정이의 엄마가 초로의 나이가 되도록 사건은 해결되지 않았다. 그때 박해영(이제훈 분)이 우연히 집어든 무전기를 통해 흘러나온 15년전 그 시절 사건에 뛰어들었던 형사 이재한(조진웅 분)의 목소리, 그 목소리는 공소 시효가 다가온 김윤정 양의 사건에 결정적 단서를 제공한다.


 

<갑동이>와 <시그널> 같은 듯, 다른 듯
이재한이 제공한 단서로 범인 윤수아(오연아 분)를 잡았지만, 박해영과 차수현(김혜수 분)을 가로막은 건 바로 공소시효다. 2014년 방영된 <갑동이>처럼, 범인을 눈 앞에 놓고도 공소 시효로 인해 눈 앞에서 범인을 놓치는 상황이 다시 한번 벌어진 것이다. 그리고 갑동이 때처럼, 공소 시효는 범인을 잡는 또 다른 트릭으로 작용한다. 결국 김윤정 유괴 사건의 공소 시효를 넘겨버린 사건, 그리고 미소를 띠며 유유히 조사실을 걸어나가는 윤수아의 발목을 잡을 수 있었던 것은 그녀가 살해한 또 다른 사람, 서형준의 살해 공소 시효였다. 하지만 여론은 윤정이의 범인을 눈 앞에 두고도 놓아줘야 하는 이 상황에 분노하고, 공소 시효법 자체가 개정된다. 그리고 경찰 안에 미제 사건 전담팀이 생기고, 윤정이 사건을 덮으려 했던 수사국장 김범주(장현성 분)는 보란듯이 윤정이 사건에 뛰어들었던 박해영, 차수현 등을 미제 사건 전담팀에 배치한다. 그리고 그들 앞에 던져진 첫 번째 미제 사건은 바로 경기 남부 부녀자 연쇄 살인 사건이다. 

'경기 남부 부녀자 연쇄 살인 사건'은 우리에겐 '화성 부녀자 연쇄 살인'사건으로 더 익숙한 사건이다. 그리고 이미 2003년 제작된 영화 <살인의 추억>을 통해 영화 속 형사의 몸서리쳐지는 대사를 통해 범인이 잡히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건이다. 그리고 그 사건은 2014년 드라마 <갑동이>를 통해 재연되었다. 그리고 이제 다시 대표적 미제 사건으로 박해영, 차수현의 미제 사건 전담팀에게 던져졌다. 



경기 남부 부녀자 연쇄 살인 사건을 다시 한번 파헤치는 <시그널>의 주체는, <갑동이> 때처럼 형사들이다. 단지 다른 점이 있다면, <갑동이>가 그 시절 80년대의 막무가내 식 수사로 희생자가 되었던 희생자의 아들이 형사가 되어, 피해자 중 유일한 생존자였던 정신과 의사와 함께 사건을 추적해 들어간다면, 이제 2년만에 다시 <시그널>을 통해 재연된 경기 남부 연쇄 살인 사건을 풀어가는 주체는 그 시절의 신참 순경 이재한과, 미제 처리 전담반의 박해영, 차수현이다. 드라마는 과거로 부터 온 무전이라는 '환타지적 모티브'를 적절하게 이용하여, 이재한이라는 인물의 전사를 자유자재료 오간다. 김윤정 유괴 사건에서 서른 중반의 이재한으로 부터 무전이 왔다면, 이제 경기 남주 연쇄 살인 사건을 수사하는 이재한을 그 시절로부터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 신참 시절의 이재한이다. 그렇게 이재한의 전사를 씨줄로 한 드라마는, 그와 무전을 하는 박해영을 매개로, 유족들을 '통한'으로 몰아넣는 '미제 사건'이라는 날줄로 이 사건을 엮어간다. <갑동이>가 제목에서 처럼 경기 남부 연쇄 살인 사건이라는 사건 자체와 그 사건의 범인에 집중해 들어갔다면, <시그널>은 앞서 1회에서 김윤정 유괴 사건을 시작으로, 경기 남부 부녀자 연쇄 살인 사건으로 사건을 이어가며, '미제 사건' 이라는 줄기 자체에 집중한다. 

경기 남부 부녀자 연쇄 살인 사건이 또 다시 <시그널>을 통해 재연된 이유는?
똑같이 재연된 경기 남부 부녀자 연쇄 살인 사건이지만, 그 온도는 다르다. <갑동이>가 드라마 전체를 통해 이 사건에 집중하듯, 드라마는 현재에 되살아난 '갑동이'의 카피캣을 통해 특수 수사대가 만들어 질 정도로 경찰의 중심 사건으로 풀어진다. 그에 반해, <시그널>은 이미 김윤정 사건을 들춘 형사들이 6개월 뒤에 사라질 미제 사건 전담팀으로 보복성 배치되듯, '미제' 사건을 만든 경찰의 '정의롭지 않음'을 드라마의 한 축으로 끌고간다. 거기엔 아직 드러나지 않은 2회에 총성으로 끊긴 이재한 형사의 부재도 미스터리로 자리잡는다. 



즉, 이미 전작 <쓰리데이즈>를 통해, 위기의 대통령과, 다수의 목숨을 앗아가는데 협조한 대통령을 경호해야 하는 경호원의 딜레마와, 그들이 찾아가는 정의를 통해, 세월호 사건이 벌어진 2014년의 암울한 정의의 세상에, 한 줄기 '정의'의 가치를 강직하게 논했던 김은희 작가는, 이제 '미제 사건'을 통해, 돌아오지 않는 아이와, 그 아이의 죽음을 은폐하는 '정의'의 문제를 끄집어 낸다. 그리고, 홀홀단신 대통령과 그를 목숨을 바쳐 경호하는 사람들을 통해, '사람'으로 가능한 '정의'의 문제를 논했던 작가는, 이제 다시, '아이'의 생명으로 부터 시작하여, 여전한 피해자들의 '진혼곡'을 울릴 또 다른 정의의 이야기를 시작하려는 듯하다. 600일 하고도 다시 반이 지나도록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사건, 그리고 우리에게 잊혀져 가는 '정의'가 배제된 다른 사건들의 기억을 복기시킨다. 부디, 해결되지 않은 미제 사건의 진범 '갑동이'를 잡고 싶다 절규했던 <갑동이>가 아쉽게도 사이코패스 갑동이와 그의 카피 캣에 짖눌려 버린 <갑동이>의 전철을 밟지 않고, 과거에 침잠되지 않은 채 무전을 보내온 이재한 형사의 이야기로 귀결될, 현재의 정의를 제대로 풀어내 주길 바란다. 
by meditator 2016. 1. 24. 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