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수첩은 1000회를 맞이하여 '돈으로 보는 대한민국' 3부작을 마련했다. 1부, 대한민국 중산층, 52세 그 후(7월 1일 방영), 2부, 임대업이 꿈인 나라(7월 8일), 3부, 대한민국 사교육 잔혹사(7월 15일 방영)의 3부작이다. 


7월 15일 방영된 '대한민국 사교육 잔혹사'에서 조명한 대치동을 비롯한 과열된 위리 교육의 현실은 새삼스러운 내용이 아니다. 평준화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겠다는 취지에서 만들어 지기 시작한 특수목적고, 과학고와 외고, 그리고 자율형 사립고(자사고)는 이제 그 아래 일반고를 놓은 고교 교육의 서열화 체계로 귀결되었다. 실제 학생들을 가르친 선생님의 증언에서도 알 수 있듯이, 특수 목적고라고는 하지만, 대부분 입시 교육에 올인하는 우리 교육의 현실에서, 서열화된 학교들은, 결국 보다 많이 sky에 학생들은 진학시키는 결과로 드러난다. 그렇다면, 일반고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학비를 부담해야 하는 특수 목적고에 가는 학생들은 누구일까? 아니 특수 목적고만이 아니다. 부의 상징인 강남, 서초, 송파 강남 3구 출신들이 압도적으로 많이 입학한 서울대 입시 결과만 놓고 봐도 그렇다. <pd 수첩>은 '돈으로 보는 대한민국'의 취지에 맞게, 바로 부모의 '돈'이 곧 학생의 학력이 되고, 성공의 증표가 되는 현재의 대한민국을 조명한다. 1000 회를 맞아 1000명의 사람들 중 91.5%가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자녀의 교육 수준과 학벌이 달라진다고 대답했다. 

Image preview


하지만 이런 과열된 교육 경쟁이 결국 '치킨 게임'이라는 것을 다큐에 등장한 사람들은 증명한다.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해, 좋은 고등학교를 가야 하고, 좋은 고등학교를 가기 위해, 중학교, 초등학교, 아니 일찌기 솔직한 어느 엄마의 고백처럼 서서 걷기 시작하면서 부터 '교육'에 매진하는 부모들의 열성에 대한 댓가는 3%에 불과하다. 어릴 적부터 쉴 틈없이 입시 전쟁에 휘말린 아이들 중, 부도가 원하는 성공을 거두는 아이들은 단 3%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바로 그 3%의 성공을 위해, 부모들은 돈을 쏟아 붓고, 아이들은 '교육'이라는 이름의 학대에 시달린다. 이런 과열된 교육 현상에 대해, 한 전문가는 공연장의 관객에 빗대어 말한다. 공연을 보다 잘 보기 위해 한 사람이 서자, 그에 지지 않을 세라, 공연을 보는 다른 관객들도 일어서기 시작한다. 결국 모든 관객이 일어서고, 공연은 엉망이 되어버린 상황, 그것이 바로 우리 대한민국의 교육 현실이다. 

그렇다면 왜 부모들은 자신들의 노후 비용, 아니 빚을 져가면서라도 자식들의 교육에 매달릴까? 부모들은 말한다. 자신의 아이들은 조금 더 수월하게 살아가길 원한다고. '부모가 생각하는 '수월한 인생'이란, 바로 지금의 부모들이 맞닦뜨린, 1부, 대한민국 중산층, 52세 그후의 현실이다. 열심히 직장 생활을 하다, 하루 아침에 날벼락을 맞듯이 기업의 편의에 따라, 자신이 평생을 몸담으려니 했던 곳에서 밀려난다. 그리고 경험도 없이 자영업 등을 하다 그나마 가진 퇴직금마저 날린다. 그도 아니면 언제 짤릴 지 모를 비정규직을 전전한다. 바로 지금, 이렇게 보장되지 않은 자신들의 삶에 대한 반대 급부로, 부모들은 아이들의 교육에 매달리게 되는 것이다. '너는 나처럼 살지 말라'며. 월급장이로 고생하지 말고, 전문직이 되어 편하게 살라고, 지금 현재 아이의 행복을 강탈한다. 

하지만 정작 대한민국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들이 부모가 원하듯 '전문직'이 아니라, 임대업자라는 사실은 아이러니다. 최근 청문회에서, 아니 청문회조차 가지 못하고 낙마하는 후보자들의 의 결정적 실격 사유가, 바로 그들이 각종 '임대업'을 하다 걸린 케이스가 빈번한 것을 보면, 2부, 임대업이 꿈인 나라의 현실을 보는 듯하다. 대학 교수가 되어도, 임대 소득이라도 좀 있어야 공기가 숨쉴만 해지는 나라에서, 하지만, 결국 위너는 대기업 일가인, '돈 놓고 돈을 먹는' 세상에서, 그저 부모 세대보다 조금 더 배우고, 조금 더 올라가면, 길이 보이려니 하는 부모들의 욕망은 사실 눈 가리고 아웅식이다. 자신이 몸 담은 사회의 불행을 개선하지 않고, 그저 그 안에서 내 자식만 조금 더 나으면 되려니 하는 안일한 맹목성이, 서열화된 교육과, 계층 고착화를 가속화 시킨다. 개천에서 더 이상 용이 나지 않는 세상, 그래도 내 자식은 용이 되어야 한다는 부모들의 어리석은 맹목성이다. 

세월호 부모님들이 거리로 나섰다. 국회로 가 소리 높여 요구를 한다. 자식을 잃은 부모는, 자식을 그렇게 만든 실체를 밝히고자 한다. 더 이상 자기 자식과 같은 희생자가 되풀이 되서는 안된다고 한다. 하지만, 냄비처럼 달았다 이미 식어버린 사람들은, 그런 세월호 희생자 부모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 자기 자식이 희생되기 전까진, 내 자식만 아니면 돼 하는 사고 방식의 결과이다. 그래서, 자신들이 살기 힘든 사회를 고치는 대신, 내 자식만 세상에 맞게 '고치려고' 든다. 달라지지 않은 세상에서, 결국 부모들이 '경쟁'에 허덕이며 살아왔듯이, 내 자식도 그저 조금 나은 조건일뿐, 똑같은 경쟁 사회 속에서 '고사'돠어 갈 지도 모르면서. '돈'으로 교육시켜, '돈'을 많이 벌어 행복해지는 그런 교육을 하면서, 부모들은 자신들이, 어떻게 살아야 할 지 모르고, 사회 속에 부속품이 되어 살다 떨어져 나왔듯이, 내 자식도 똑같은, 아니 조금 더 양질의 부속품을 만들고자 애쓰는 안스럽고, 한심한 어른들의 대한민국, 그것이 바로 pd 수첩이 바라본 2014년의 '돈'이 화두가 되는 사회이다. 

(사진; 한겨레 신문, 이명박 정부때 해고 당한 13명의 언론인)

대한민국의 가장 중심적인 화두, '돈'을 통해, 대한민국을 재해석하며, 야심차게 1000회를 기념하여 3부작을 준비했지만, pd수첩의 1000회는 씁쓸하다. 그들이 준비한 3부작이, 현재의 대한민국을 제대로 해석해 내지 못했기 때문이 아니다. 지금의 대한민국을 정의 내리는데, '돈'만큼 명확한 주제어는 없다. 그런 면에서, 1000회를 맞이하여, '돈으로 보는 대한민국'은 그 어느 것보다도 시의적절한 주제였다. 하지만, 그런 노력은, 그 뒤안길에서 사라져 버린, pd수첩의 일원들 덕분에 무색해 진다. 지난 달 30일 pd 수첩의 전 pd를 포함한 '해고 무효 소송'을 하는 6명의 해직자들에 대해 항소심 판결이 내려질 때까지는 근로자 지위를 인정하고, 월급을 지급하라는 결정을 내렸다. 하지만, 그런 법원의 판결조차, mbc는 묵묵부답이다. 사원증은 커녕, 해직자들은 노조 사무실까지 도달하기 위해, 몇 번의 출근 투쟁을 벌였다. 즉, 언론 자유라는 정작 자신이 처한 문제에 대해서는 일언반구 언급도 없이, 해석해낸 1000회 3부작은, '아이를 보고 '바람풍하라며 '바담풍'하는 어리석은 훈장과도 같다. 


by meditator 2014. 7. 16. 0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