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7일 <pd수첩>은 2억명이 넘는 영화 관객을 기록하며(2014년 기준 2억 1506명)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는 영화 시장의 이면을 들여다 본다. 


그 시작은 최근 다시 멀티플렉스에 상영관을 확보하게 된 영화<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이하 개훔방)>으로 시작한다. 
영화를 본 관객들에 의해 훈훈하고 따뜻한 하지만 현실의 비극을 결코 간과하지 않은 영화로 평가받은 영화<개훔방>은 하지만 그 입소문이 제대로 퍼지기도 전에 멀티 플렉스에서 사라졌다. 이에 영화<개훔방>을 아끼는 관객들은 자비를 털어 영화관을 빌려 이 영화의 단독 상영을 이어갔다. 


좋은 영화가 외면받는 대기업의 스크린 독과점
이렇게 좋은 평가를 받은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미처 관객들의 평가를 받기도 전에 다수의 영화가 사라지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에 대해 <pd수첩>은 현재 극도에 달하고 있는 영화 산업의 독과점에 촛점을 맞춘다. 2014년 한 해, <명량>, <변호인>, <국제시장> 등 천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는 총 11편에 이른다. 하지만, 영화 관계자들은 말한다. 단 한 편의 영화가 천만을 달성하는 동안 수 십편의 영화가 관객들에게 선택의 기회조차 잃은 채 멀티 플렉스 극장에서 사라져 간다고. cj, 롯데 등 대기업이 장악하고 있는 멀티 플렉스 체인들은 자사가 배급하고 있는 영화들을 개봉 2주전부터 예매를 하기 시작하고, 가장 관객들이 많이 들 수 있는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배치하며, 심지어 한 영화에 전체 상영 영화의 30% 이상의 상영관을 배정하는 기형적 몰아주기를 함으로써 흥행을 넘어 천만 관객을 이루어 내었다는 것이다. 

이렇게 기형적인 독과점 체제에서 대기업의 배급망을 타지 않은 영화는 감히 그 경쟁 대열에 끼기 조차도 힘들며, 설사 끼었다손 치더라도 <개훔방>이나, 유지태 주연의 <더 테너 리리코 스핀토(이하 더 테너)>처럼 불리한 시간대에 배치됨으로써 조기 종영의 사태를 맞이하게 된다는 것이다. 아이와 부모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영화 <개훔방>을 조조나 심야 시간대에 배치하는 것은 아예 보지 말라는 것과 다를 바 없는데, 이런 말도 안되는 상황이 대기업 배급이 아닌 영화들에게는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는 것이다. 그나마 <개훔방>의 경우 제작사와 관객들이 힘을 합쳐 이 영화에 대한 여론을 불러 일으켜 다시 멀티 플렉스에 다수의 관을 확보하게 되었지만, <더 테너>의 경우는 멀티 플렉스가 아닌 독립영화관 단 한 곳에서만 상영하여 관객들의 아쉬움을 사고 있다고 한다. 실제 4년 여의 제작 기간, 100억 원의 제작비를 들인 <더 테너>의 제작사 대표는 개봉 첫 날 불리한 상영 시간을 확인하자마자 이 영화의 흥행을 포기했다고 밝힌다. 

제작, 배급, 상영까지 수직 계열화된 대기업의 영화 산업
이렇게 대기업들이 자사 배급의 영화를 독점적으로 심지어, 편법을 사용하면서까지 무리를 하면서 상영하고 있는 현실에 대해, <pd수첩>은 현재 기획에서 부터 제작, 배급, 상영까지 온전히 하나의 시스템으로 정착한 대기업의 영화 산업 전반에 대한 독과점에서 그 이유를 찾는다. 기획, 제작, 생산의 전 시스템이 대기업의 입맛에 따라 좌지우지되는 하나의 체계로 지난 10년간 영화 산업이 자리잡혀 왔고, 최근에 들어서는 영화 <광해>의 경우처럼 천만 관객을 만들기 위해 어거지로 세 달 동안 상영관을 유지하는 등 무리수까지 범하는 지경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실제 일찌감치 멀티 플렉스에서 상영관을 놓친 <개훔방>의 경우 당시 함께 상영되던 <오늘의 연애> 보다도 좌적 점유율이 높았지만, 결국 대기업의 영화가 아니라는 이유로 밀려나 버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비단 <개훔방>의 경우만이 아니다. 최근 <쎄시봉>의 경우도 대중들의 반응은 미비하고 좌석 점유율은 낮지만, cj의 배급이란 이유만으로 cgv등에서 많게는 30% 이상의 상영관을 확보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한다. 

이렇게 영화 산업에서 '갑' 중의 '갑'으로 등장한 대기업의 독과점에 대해 <pd수첩>은 영화 평론가 오상진씨의 입을 빌어, 공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그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은 1938년 미국의 '파라마운트 판결'이다. 우리와 마찬가지로 수직계열화된 헐리우드 스튜디오의 독과점이 문제가 되자, 영화 제작 및 극장 소유를 분리하도록 명령이 이루어 졌다고 한다. 그에 따라 헐리우드 스튜디오들은 극장을 매각했고, 1980년 규제가 완화된 이후에도, 미국 영화계에서는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pd수첩>은 우리도 이와같은 대기업의 수직 계열화에 따른 영화 산업의 독점 현상을 규제할 법적인 조처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결국 이런 대기업의 영화 산업 독과점은 현재 우리 사회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대기업 전횡의 일면이다. 재래 시장 주변에 대기업의 마트가 들어서서 재래 시장을 잠식하고, 그곳에서 일하는 상인들의 밥그릇을 빼앗아 가듯이, 대기업의 커피 체인점이나 베이커리가 거리에 하나 둘씩 들어차서 중소 상인들의 터전을 빼앗는 것과 다를 바 없다. 하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pd수첩>에서 인터뷰한 시민들과 같다. 극장을 장악한 영화가 그저 인기가 있어서 그러려니 하고, 극장에서 파는 팝콘이 터무니 없이 비싸도 모처럼 영화 한번 보는건데 하면서 무감각하게 받아들인다. 그런 사람들이 재래 시장보다 편한 마트를 가고, 유명한 커피숍에서 시간을 때운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최근 벌어지고 있는 이런 영화계의 독과점 현상이 그저 영화 산업이 아니라, 우리가 사는 그 모든 영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실이란 점까지 짚지 못한 점이다. 



하지만 영화 <개훔방>과 <더 테너>로 시작하여, 스크린 독점, 나아가 영화 산업 전반에 대한 대기업의 수직 계열화까지, 천만 영화의 화려함 뒤에 획일화되어가는 영화 산업 전반에 대해 <pd수첩>은 체계적으로 잘 짚어나간다. 평론가 오상진이 '이젠 인터뷰하기도 지긋지긋하다. 지난 10년 동안 내내 그 문제를 지적해 왔지만 달라진 것이 없다'는  토로와 함께, 이 문제가 10년의 궤적을 지닌 심각한 뿌리를 가지고 있다는 점도 놓치지 않는다. 또한 '파라마운트 판결'을 통해 그 해법까지도 제시하고 있는 점 긍정적이다. 물론 <개훔방>의 재상영이라는 분명한 결과물이 이루어 진 이후에야 뒷북치듯 이 문제를 들여다 보는 것 같지만, 아직도 우리 사회에서 요원해 보이는 그 해법을 위해서, 꾸준한 환기는 절실하다. 
by meditator 2015. 2. 18. 0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