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30일 <mbc다큐 스페셜>은 '갑을 소통 프로젝트 48'시간의 첫 회를 방영했다. 전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땅콩 항공 회항 사건' 등 '갑을'간의 소통의 문제가 사회적 공감을 얻고 있는 시점 '갑을 소통 프로젝트'는 주목할 만하다. 특히 지난 연말 mbc 시상식에서 후배 백진희를 통해 '세월호 사건'을 언급하며 '아직도 차가운 바닷 속에 갇혀있는 양심과 희망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로 수상을 거부해 '개념 연예인'으로 인정받았던 최민수를 나레이터로 출연시켜, 이 프로그램의 공익적 취지를 한껏 배가시켰다. 하지만, 정작 1회에서 보여진 것은 '갑을 소통 프로젝트'라는 공익적 다큐라기 보다는, 예능적 성격이 강한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mbc를 통해 방영된 바 있는 미국 cbs의 <언더커버 보스>의 재판이었다. 




마트로 간 국회의원, 회사로 간 회장님 
<갑을 소통 프로젝트 48시간>에서 갑으로써 을의 체험에 나선 사람은 수십년의 굴곡진 정치 인생에서 오뚜기처럼(?) 생존하고 있는 국회의원 이인제와, 광고를 통해 우리에게도 익숙한 ceo이자 인기 강사인 천호 식품의 김영식 회장이다. 

아직도 사람만 만나면 자연스레 먼저 말을 붙이고, 악수를 하고, 손을 모아 인사를 건네는 것이 몸에 밴 이인제 의원은 정치인 생활 몇 십년 만에 처음으로 보좌관없이 홀로 마트 직원이 되어 을의 48시간을 체험한다. 천호 식품의 김영식 회장은 자신의 회사의 임시 사원으로 간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mbc 분장팀이 공을 들인 이인제에서 이충제, 김영식에서 박충천으로의 변신이다. 보형물을 끼고, 안경을 쓰고, 실리콘 가면까지 만들어 쓴 두 사람은 물론 '회장님과 닮았다'는 말은 듣지만 추호도 원래의 본인이란 의심을 받지 않고 각각 마트의 시니어 계산원과 천호 식품의 물류 직원으로 취직한다. 

당연히 자신의 얼굴조차 다르게 분장하고 을의 체험에 나선 국회의원과 회장님, 그 두 사람을 다루는 다큐는 그들이 하는 을의 체험, 즉, 그들이 고생스레 그 직종에 적응하는 과정에 집중할 수 밖에 없다. 이미 사회적으로 지긋한 나이의 그들은 대부분 그 나이의 사람들이 하지 않는 계산원과 물류 일에 적응을 하느라 고생한다. 하지만 적응을 하고 싶은 건 마음뿐, 젊은 사람 중에서도 빠릿빠릿한 사람을 세우는 계단대에서 이인제의 계산은 마트의 메뉴얼을 실행하기 어렵고, 김영식의 늦은 손과 자신만만했던 자기 회사 물류에 대한 둔한 실정으로 물류는 자꾸 적체된다. 물론 다큐는 그렇게 그들이 어설프게 적응하는 과정을 통해 '을'로 살아가는 고달픔을 전하고 싶었겠지만, 정작 시청자들에게 다가온 것은 어설픈 귀족의 서민 체험이다. 말로는 시니어 직원의 체험이라지만 노골적으로 카메라가 따라붙은 을의 체험이 과연 진정 '을'의 체험이 될 수 있을지. 당장 바쁘게 돌아가야 하는 계산대에 자기 멋대로 계산을 마무리하거나, 어떻게 해야 할 지 몰라 쩔쩔 매는 나이많은 직원을 세울리 만무하며, 손이 늦어 물류을 정체시키는 초짜를 세울리 없을 터이니 말이다. 

물론 이 프로그램이 갑의 을과의 소통 프로젝트라는 것을 염두에 둔 채, 같이 일하는 동료 직원들의 사정도 등장한다. 김영식 회장에게 군기를 잡겠다고 다짐하는 단호한 선배 사원은 뜻밖에도 비정규직이다. 동정을 묻는 회장의 질문에 비정규직 선배 사원은 앞날을 기약할 수 없는 비정규직 생활에 좋아하는 사람이 있어도 결혼을 엄두도 못낸다며 자신의 속사정을 솔직하게 토로한다. 그런데 그런 비정규직의 현실적 고민에 대한 김영식 회장의 대응은 '복권!' 그가 등장하는 첫 장면부터 마치 선거 사례처럼 그가 돌리던 복권을 예외없이 꺼내어 비정규직 청년에게 건넨다. 심지어 그 복권이 당첨될 때 자신에게 어떤 사례를 할 것이냐며 딜까지 한다.
이인제 국회의원도 다르지 않다. 하루 종일 서서 일해야 하는 마트 직원들의 고충을 좀 듣는가 싶더니, 자기 같은 사원을 다루느라 고생한다며 덕담 한 마디를 하고는, 여전히 '마이 페이스'다. 비록 분장까지 하고, 사원 옷을 입고 마트에 가고, 회사에 갔지만 그들은 여전히 '갑'인 국회의원에, 회장님이다. 



셀프 홍보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이 날의 '갑을 소통 프로젝트'는 프로그램 마지막 최민수의 한 마디로 요약할 수 있다. 첫 회 두 사람의 체험 현장을 함께 본 최민수는 얼굴 표정 하나 바꾸지 않고 결론을 내린다. 김영식 회장님이야 회사 홍보차 나오셨을 테고, 이인제 국회의원은 정치인이니까 한번이라도 더 카메라에 비추는 것이 좋아서 나왔을 것이라고. 내걸기는 갑을 소통 프로젝트라고 했지만, 정작 프로그램에서 보여진 것은 을이 된 갑의 어설픈 해프닝이었다. 미국 cbs를 통해 방영된 후 우리나라에서도 잠시 방영된 바 있던 <언더보스 커버>는 프로그램의 취지는 mbc다큐 스페셜이 내건 것처럼 갑을 소통이었지만, 그것을 그 누구도 갑을 소통의 공익적 다큐로 생각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 보다는 갑의 을 체험 리얼 버라이어티 예능으로 받아들인다. 48시간 카메라가 따라다니는 을의 체험 현장을 통해 을과 소통했다고 할 수 있을까? 그것은 마치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인들이 경호원을 잔뜩 대동한 채 시장에 가서 시장 음식을 맛보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형식이다. 

언제 부터인가 우리 사회에서는 노동자와 자본가라는 계급적 전선이 '갑을'이라는 유형의 전선으로 변화되어 등장했다. 그런 이유 중 하나는, 일찌기 마르크스가 제시했던 그 전선을 구성하던 자본가와 노동자의 계급들이 자본주의의 발전과 함께 다양하게 분화되었기 때문이다. 더구나 신자유주의의 발현, 발전과 함께 노동자 계급 중 비정규직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을의 전선을 보다 복잡하고 다양해 졌다. 그런 과정에서, 땅콩 회항 사건'에서도 대표적으로 드러나듯이 갑을의 문제는 그 기본적 전성이 현실에서 감정적 갑질로 드러나면서, 갑대 을의 대면적 갈등으로 전화되어 등장한다. 노동자와 자본가라는 계급 대 계급의 집단적 갈등은, 갑과 을의 인격적 혹은 개체적 갈등으로 전화된다. 더구나, 갑과 을의 정체성조차 모호하다. 정직원이 비정규직에게 갑질을 할 수 있듯이, 갑과 을의 전선은 끊임없이 다른 방식으로 전용되어, 사회적 갈등의 전선을 해체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 우리 사회에서 수많은 갑질의 폐해의 본원적 원인은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의 계급적 갈등으로 부터 빚어진다. 비록 그 전선이 신자유주의 하에서 다양해 지고 있다 하더라도 본질은 달라지지 않는다. 따라서, 국회의원 이인제와 천호 식품의 김영식 회장의 갑을 소통 프로젝트가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고충을 토로하는 비정규직 사원에게 복권을 던져주는 것이 아니라, 그를 결혼을 꿈꿀 수 있는 정규직으로 만들어 주어야 할 것이다. 이인제 국회의원도 마찬가지다. 고생한다 한 마디 덕담이 아니라, 그가 소속된 국회로 가서 비정규직에 대한 법안을 상정하고, 실현시켜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고서는, 결국 제 아무리 그들이 고통스럽게 비정규직을 체험한다 해도 최민수의 말대로 자사 홍보와, 카메라 좋아하는 국회의원의 방송 나들이를 넘어설 수 없을 것이다. 
by meditator 2015. 3. 31. 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