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엄앵란과 신성일은 60년대의 대표적 청춘 스타이다. 60년대의 청춘의 상징이었던 두 사람은 그들이 출연했던 영화에서처럼 사랑을 했고, 수많은 사람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축복받는 결혼을 했다. 하지만, 두 사람의 그 이후의 이야기는 결코, 우리가 흔히 보듯 사랑해서 결혼했고, 그리고 행복하게 살았다로 끝을 맺지 못했다. '스타'라는 이름값에 걸맞게, 혹은 무색하게 전국민이 두 사람의 별거와 그에 이르기까지의 속내를 잘 알수 있도록 '가쉽'성 기사를 양산해 냈다.
황혼 이혼이 낯설지 않은 세상에 두 사람의 뒤늦은 해후
'황혼 이혼'이 낯설지 않은 세상이 되었다. 이 말의 범용화의 의미는, 더는 '백년해로'가 미덕이 되지 않는 세상을 되었다는 것이고, 결국 그 근저에는 우리 사회를 지탱해 왔던 '가족'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제기가 빈발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그렇게 나이 들어 서로를 긍휼히 여기며 노추의 손을 잡고 가는 것이 미덕이 아닌 것이 된 세상에, 2016 휴먼 다큐 사랑의 첫 테이프를 끊은 것은 40년을 별거한 엄앵란 신성일 부부의 '결합' 이야기이다. 도대체 40여년을 따로 살아왔던 이 부부가 이즈음에 굳이 함께 살려고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거기에는 아내 엄앵란의 건강 상의 위기가 결정적 역할을 한다. 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진행된 건강 검진 프로그램에서 유방암 검사를 받은 엄앵란은 수술을 받게 된다. 그리고 건강하게 가정을 지탱해 왔던 아내의 뜻하지 않은 암 통보는 바깥으로 돌았던 남편 신성일에게 충격으로 다가왔고, 이에 남편은 남은 여생 아내의 곁에서 아내를 돌보며 살아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한다.
하지만 방탕한 남편의 귀의라는 미담으로 단순하게 마무리될 줄 알았던 남편의 의지는 뜻밖에도 '이제와서 무슨!'이라는 아내의 주저함이라는 벽에 봉착해서 뜻을 이루지 못한다.
이미 서로 떨어져 산지 40여년 세월, 바람에, 정치에, 그리고 영화를 한답시고 투자에, 당대 최고의 여배우란 수식어가 무색하게 신성일의 아내로 살아온 시간은 여배우 엄앵란에게는 남편이 감당하지 않는 가정을 '가장'으로 이끌어와야만 했던 고난의 시간이었다. 비록 아직도 두 딸과 아들의 아버지로서 그와 호적상으로 갈라서지 않고, 여전히 시어머니 앞에서 자신의 편을 들어준 남편에 대한 고마움은 있지만, 부부로서의 믿음을 잃어버린지 오래, 거기에 사는 스타일마저 다른 남편과 너무 오래 떨어져 산 엄앵란은 남편의 제안 자체가 부담스럽다. 그런 남편의 제안에 맞춰 두 사람의 결합을 유도하는 방송조차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고.
하지만, 방송과 신성일은 꾸준히 자신들의 입장을 피력한다. 별거 이후 네 번째인 신성일의 집에서 하룻밤을 보내게 하고, 며칠에 한번 아픈 아내를 위해 보양식을 싸들고 찾아오고, 다리가 불편한 아내를 위해 장모님을 모신 절에 동행한다.
결국 이런 남편과 제작진의 지극한 성의에, 아내 엄앵란은 지난 시간 자신을 힘들게 했던 남편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늙어가는 자신에게 여전히 '기둥'이었음을 받아들이고, 의지할 의향을 보이며 방송은 마무리된다.
'사랑'을 빙자한 노년의 환타지는 아닐까?
이날 방송을 통해 알 수 있었던 것은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호사다마했던 신성일의 일생이 아니라, 책임지지 않는 남편 대신 가장이 되어 한 가정을 이끌어 왔던 전통적인 어머니 엄앵란이다.
엄앵란은 여든의 나이가 되었지만 여전히 <나는 몸신이다> 등의 방송 패널로 활동 중이다. 심지어 다큐에서 보여진 유방암 수술을 하고서도 아직 채 완쾌되지 않은 노구를 이끌고 방송 출연을 재개한다. 그 이유는, 그녀의 일생이 남편이 돌보지 않은, 그리고 이제 여전히 자식들에게 용돈은 커녕, 집안에서 돈을 버는 사람이 여전히 그녀가 유일한 이유로 마음 편히 쉴 틈이 없다. 심지어 자신이 죽고 난 뒤 자식들과 남편이 거지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 죽는 날까지 돈을 벌어야 한다고 다짐한다.
60년대의 대표적 여배우라 했지만, 우리에게 익숙한 엄앵란은 방송 패널로 나온 후덕한 어른의 모습이었다. 하지만 후덕한 외모와 달리, 그녀의 입을 통해 풀어지는 이야기들은 젊은 세대로서는 공감하기 힘든 전통적인 가부장적 사고방식을 '주입'하다시피한 내용들이었다. 주로 종편의 이야기 쇼를 통해 활약하는 모습에서 보여지듯이, 엄앵란의 이야기는 그녀가 여자임에도 여자의 편에 서기 보다는 가장과 자식들을 위해 희생을 당연시 해야 하는 우리 어머니들의 사고방식을 고스란히 답습한다.
그리고 다큐를 통해 보여진 엄앵란의 모습은 그녀가 방송을 통해 풀어냈던 이야기들이 빈말이 아니었음을 증명한다. 남편이 방기한 가정을 아내로서, 어머니로서 책임지기 위해 아픈 몸을 이끌고서도 다시 방송에 서야 하는 노년의 가장이었다. 여전히 그녀를 지배하는 것은 그녀가 지켜내야 하는 가정, 심지어 그녀가 죽고 재혼을 해야 할 지도 모를 남편이었다. 당대 숙명여대를 다니던 재원으로 대중들에게 인텔리로 사랑을 받던 여배우는 하지만, 몇 십년이 지난 여든의 나이에도 여전히 가부장적 사고방식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못한 어머니 세대의 여성일 뿐이었다.
단지 그녀에게 자유가 있다면, 여전히 재정적으로 가정을 책임져야 하지만, 남편과 함께 살지 않을 자유였다. 바람잘날 없는 남편과 별거 이후, 남편은 남자의 손이 없어 아프게 되었다지만, 그녀는 자신만의 스타일에 맞게 편하게 지내왔다.
그런데 과연, 이제와, 마치 돌아온 탕자처럼 결초보은의 자세로 마음을 바꾼 남편과 40여년만에 한 집에 살아야 할까? 다큐는 여전히 남편을 '기둥'으로 여기는 전통적인 아내 엄앵란의 정서를 강조하며 이 부부의 결합을 '사랑'의 미담으로 구색을 맞추지만, 오히려 '황혼 이혼'이 이상하지 않는 세상의 사람들 눈에는 40여년을 떨어져 산 낯선 이들의 어색한 동거로 받아들여질 수 있지 않을까.
물론 부부의 가정사 저마다의 사연이 있고, 그 사연에는 개별성의 깊이가 있겠지만, 40여년 바람처럼 스치듯 살고, 자식과 가정을 돌보지 않았던 남편이 수술실로 들어가는 아내의 곁을 지켜봐 주었다는 이유만으로 '기둥'이 될 수 있는 세상은 아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무엇보다, 남편의 결초보은은 꼭 이미 이혼한 딸과 손주들과 또 다른 가정을 이루고 사는 아내의 집에 들어가 사는 방식으로 이루어 져야 하는 것인지. 아픈 아내에게 결국 은수저를 찾게 만드는 그의 잔소리와 같은 남편의 고집은 아닐지.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다. 별거 이후에도 행복한 부부상을 연출했던 두 사람의 지난 날처럼, 이미 허상이 되어 가는 '가족'과 부부'의 환타지를 강요하는 것일 수도 있는 것이다.
우리는 부부는 한 집, 한 방, 그리고 한 침대를 나누어야 부부라는 고정 관념을 가지고 있지만, 조선시대만 해도 양반가에서는 부부가 담을 나누어 서로 다른 공간에 살아야 했던 것이 법도였던 시대를 살았었다. 별거 40여년의 부부를 아내의 투병, 하지만 이제는 방송 출연조차 가능한 아내를 위해 굳이 한 집에 사는 것을 '사랑'의 미덕으로 그리고자 하는 다큐에, 2016년의 '사랑'이 무엇일까? 회의적인 질문을 던지고 싶다.
'tv > 다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파고와 어린 왕자-2016 sdf특집 다큐> 알파고의 세상, 로봇과의 관계를 새로이 모색하다 (0) | 2016.05.16 |
---|---|
<시사기획 창-2016 정치 개혁-국회의원과 돈>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20대 국회 개혁? 19대의 과오를 돌아보자! (0) | 2016.05.04 |
<sbs스페셜-슈퍼맨의 비애-소방관의 sos> 119명 소방관의 속내를 통해 드러난 열악한 소방관 처우의 현실 (0) | 2016.04.25 |
<mbc다큐 스페셜-밥상, 상식을 뒤집다-탄수화물의 경고> 현대인의 과도한 당섭취, - 문제는 탄수화물이야!! (0) | 2016.04.19 |
<sbs스페셜-남편, 아내에게 쫓겨나다> 궤멸하는 가부장제, 중년의 이혼으로 드러나다 (0) | 2016.04.18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