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꼬리가 올라 가는 걸 보니, 자기 감정을 숨길 줄 모르는 군, 좋은 패가 들어 온 게 틀림없어'

12월 11일 방영된 8회 <왕의 얼굴>에서 김귀인의 오빠 김공량(이병준 분)과 장수태(고인범 분)의 장부를 놓고 내기를 하게 된 광해(서인국 분)의 나레이션이다. '관상'에 능통해진 광해가 상대방의 얼굴 표정만으로 그가 가진 패를 읽어내는 순간이다. 

영화 <관상>의 설정을 허락도 없에 베꼈다 하여 방영 전부터 논란이 되었던 <왕의 얼굴>은 막상 드라마가 시작되자, 영화에 대한 논란은 수그러 들었다. 그도 그럴 것이, 왕이 될 얼굴이란 설정의 시작은 비슷하지만,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이 전혀 달랐기 때문이다. 

영화 <관상>은 역적이었던 조상때문에 벼슬길에 나서지 못해 관상쟁이가 된 주인공이, 왕의 얼굴을 판가름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역사의 풍파 속에 휩쓸리게 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영화의 굵직한 흐름은 단종과 세조 대의 피비린내 나는 정쟁이지만, 결국 그 안에서 무기력하게 당하고마는 민초의 이야기를 근저에 깔고 간다. 

그에 반해, 드라마 <왕의 얼굴>은 대놓고, 왕이 될 관상을 지니고 있지 않아 컴플렉스를 가진 왕 선조(이성재 분)를 등장시킨다. 영화<관상>에서 왕이 될 얼굴이 아님에도 왕의 자리를 노리는 수양대군과는 같은 듯 다른 캐릭터이다. 한 사람은 왕이 될 얼굴이 아니지만, 스스로 왕의 자리를 쟁탈하는 자요, 또 한 사람은, 운명적으로 왕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신이 왕이 될 깜냥이 아니라는 컴플렉스에 시달리는 정신병리학적 증후군의 인물이다. 왕이 될만하지 않은 인물로 인해 일어나는 역사적 갈등을 다루었지만, 영화 <관상>이 제목이 관상임에도, 등장인물들이 '관상'이라는 운명론적 세계관에 휩쓸리지 않는 것과 달리, 드라마는 시작부터 거기에 사로잡힌다. 

 기사의 0번째 이미지
mbn 스타

그리고 그런 자격이 없는 아비에게서 왕이 될 얼굴을 가진 광해가 태어나고, 그의 등장은 아버지와 갈등의 원인이 된다. 자신이 왕실의 적자가 아니기에 늘 불안감에 시달리는 왕 선조, 하지만 그에게는 정작 정실 부인인 의인 왕후에게서 난 자손이 없다. 그래서 공빈 김씨의 소생인 두 아들들이 가장 유력한 왕의 계승자이지만, 그런 것이 선조에게는 늘 마땅찮은 구석이 된다. 더구나 그 중에서도 난 놈인 것 같은 광해가 그의 눈에 걸린다. 드라마 <왕의 얼굴>은 이렇게 자신의 아들이지만, 애증의 대상이 되어버린 광해가, 아버지 선조와의 갈등을 일으키며, 그리고 그런 수난을 겪는 와중에 백성들의 삶에 눈을 뜨고 진정한 군주의 상으로 거듭나는 성장드라마를 그리고자 한다. 

이렇게 태생적 아니, 왕재로 태어나지 않았지만 왕이 되어야 했던 선조의 컴플렉스를 '관상'이란 운명론적 세계관을 통해 설명하고자 했던 시도는 나쁘지 않다. 하지만, 드라마는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간다. 과연 왕의 얼굴이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라는 데 대한 의문을 가진 광해가 스스로 관상에 입문 능통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드라마 속 '관상'은 전가의 보도처럼 씌여진다. 11일 방송에서 처럼, 광해는, 그에게 닥친 위기의 순간마다, 게임의 필승 아이템처럼 '관상'을 꺼내 무기로 써먹는다.  마치 인간계에 등장한 마법사처럼 말이다. 당연히 상대방의 운명과 얼굴을 읽을 줄 아는 그의 능력 앞에 보통 사람은 나가 떨어질 밖에. 어디 광해 뿐인가, 궁중에 떠억하니 자리잡은 관상감하며 과거 시헙보듯이 관상 시헙을 보고 궁중에 입궐하는 김도치(신성록 분)까지. 

11일 방영된 김공량과 광해의 투전 대결은 게임 관전처럼 흥미진진하게 진행된다. 하지만, '관상'이라는 능력을 탑재한 광해 앞에 김공량은 그저 밥에 불과하다. 이런 식으로 광해 앞을 가로막은 장애들은 제거된다. 이러다, 광해와 김도치가 조우하게 된다면, 마치 중국 무술 영화의 각종 비기를 장착한 무림 고수들이 장풍을 쏘며 대결하듯, '관상'대 '관상'의 환상적인 대련이 보여지는 건 아닌지. '관상'이란 요소는, 대중적으로 흥미를 느낄 소재이긴 하지만, 여전히 운명론적이며, 중국 무협 영화의 장풍만큼이나, 막연한 요소인 것이다. 

드라마는 대동계의 역모에 휩쓸려 목숨을 잃은 가희와의 인연 때문에, 그녀를 보호하고자 하다, 폐서인으로 되어 궁궐 밖으로 내처지게 된 광해의 이야기를 다룬다. 한 여인을 보호하고자 했던 그의 마음은, 그녀가 살던 세상, 그리고 백성들이 사는 세상에 대해 눈을 뜨게 되는 계기를 이루게 된 것이다. 그래서, 가희, 그녀를 구하려는 광해의 시도는, 나아가 백성들의 삶을 구제하는 계기가 되어간다. 

이는 최근 역사학계에서도 새롭게 해석되고 있는 개혁군주로서의 광해에 대한 밑그림으로 그리 나쁘지 않은 구상이다. 하지만, 그런 광해가 가진 '관상'이란 능력은 지금은 전가의 보도처럼 쓰여지지만, 딜레마가 된다. 갖은 곡절을 이겨내고 왕의 자리에 오르지만, 그 자신이 결국 왕의 자리에서 내쫓기는, 그래서 '왕의 이름' 한 자리 지니지 못한 채, 광해군이란 이름으로 역사에 남을 이 존재를 어떻게 해명할 것인지. 정작 자신의 운명은 헤아리지 못한 '관상'의 능력자 광해라니. 그가 왕의 자리에 오르기까지는 에스컬레이터가 되었던 능력을 과연 이 드라마는 어떻게 설명해 낼 것인지. 

그런 능력자 광해에는, 최근 종영한 드라마 <비문>에서도 등장했지만, 정통성을 가지지 못한 아비와, 정통성에, 진취적 세계관까지 가진 능력자 아들이라는 단선적인 갈등 구조도 한 몫 한다. 왕의 깜냥이 아님에도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권신들의 비리를 눈감아주며, 능구렁이 된 아비와, 그런 아비와 달리, 권신들의 비리를 척결하고자 의지를 다지며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유토피아같은 세상을 꿈구는 아들이라는 대결 구도가 극을 이끌어 가다보니, 등장한 아이템이 아닐까 싶다. 

역사적으로 광해는 왕의 계승 서열에서 그의 아비 선조와 같이 정통성을 가지지 못한 인물이다.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사건이 없었다면 결코 왕이 되기 힘든 인물이었다. 역사는 그의 형 임해가 광폭하여 왕이 될 깜냥이 되지 못한 듯 그려내지만, 그 역시 폭군 광해처럼 후대의 해석일 뿐이다. '임진왜란' 때 도망간 아비를 대신하여, 전쟁터에서 성실하게 왕자의 자리를 지킨 그의 공로가 그를 왕의 자리에 까지 올렸다. 드라마는, '왕의 얼굴'이라는 운명적 요소로 그의 왕좌를 설명하지만, 정작 그를 왕위에 올린 건, 전쟁터를 지킨 그의 책임감이자, 능력이다. 

이렇게 우연과, 우연 속에 드러난 광해라는 인물의 신실한 캐릭터를, 굳이, '관상'이라는 운명론적 요소를 개입시켜, 개연성을 부풀릴 필요가 있을까? 8회까지 진행된 드라마에서, 가희와 얽히면서 폐서인이 되기까지 광해의 파란만장해진 삶 만으로도 드라마는 충분히 내적 동력을 가지고 있는데, 굳이, 김공량과의 투전 대결에서 등장한 '관상' 아이템처럼, 절대 무한 능력까지 장착시켜, 운명론을 배가시켜야 했는지, 이건, 마치, 조선 건국을 '용비어천가'로 설명하는 식처럼, 광해란 인물을 입지전적 인물로 형상화하기 위해 둔 무리수는 아닌지. 하지만 제 아무리 이제 와 개혁 군주로서의 면모가 재조명된다 한들, 그 역시 장단점을 가진 역사적 인물에 불과할 진대, 드라마 <왕의 얼굴>은 정통성을 가진 아비에 대비하기 위해, 광해를 너무 '완벽한 캐릭터'로 키워가고 있는 건 아닌지. 진취적 성향을 가진 개혁 군주라는 또 하나의 볼모에 잡히고 있는 건 아닌지. 이제 본격적인 광해의 활약이 시작되는 즈음, <왕의 얼굴>에 덧붙이는 아쉬움이다. 


by meditator 2014. 12. 12. 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