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화이>를 보고나서, 문득 어디선가 이 비슷한 이야기를 본 듯한 느낌이 들었다. 어디서 봤는데.......아, <스캔들>! <스캔들>의 그 ' 매우 충격적이고 부도덕한 사건'은 영화 <화이>와 유사하다. 괴물이 된 아버지를 맞딱뜨린 아들, 아들들에 대한 또 다른 보고서이다. 


무엇보다 두 이야기는 모두 '유괴'가 사건의 실마리가 된다. 
영화 속 아버지들도, <스캔들>의 아버지 하명근도 아이를 유괴한다. 그리고 그 유괴는 그저 단순한 유괴라는 범죄만이 아니라, 그 순간 충동적이었건 그렇지 않건, '징벌'의 의미를 지닌다. 자신을 그렇게 만든 또 다른 아버지에 대한. 
그리고 두 영화 모두, 유괴해 온 아이를 죽이지 않는다. 그 아이를 죽이면, 자신은 완전 범죄로 후환을 없앨 수 있음에도 결국 그 아이를 품고 산다. 그리고 아이는 유괴범을 아버지라 부르며 자란다. 유괴범을 닮아가며. 유괴범을 배워가며. 

(사진; osen)

물론 여기서 영화와 드라마의 길은 나눠진다. 
애증의 휩싸여, 늘 하은중이 된 장은중에게 거리감을 두었던 하명근 형사는 그럼에도 어느새 자신의 아들만큼 그에게 깊은 정을 주어버린다. 그리고 뜻하지 않게 유괴범이 되었지만, 여전히 '태하'의 비리를 밝히는데 주저하지 않는 강직하던 형사의 자세를 가지고 있는 하명근을 하은중은 닮아간다. 
반면, <화이>는 아버지를 다섯이나 두었고, 그들 각각의 방식으로 넘치는 사랑을 받았지만, 동시에, 그들처럼 되어가는 방식도 훈련받는다. 그리고, 괴물이 된 아버지들의 전사에는 또 다른 괴물이 존재한다는 걸, 그리고 그 괴물에게서 도망가기 위해 괴물이 되어야 했음을 영화를 통해 알 수 있다. 
아니다. <스캔들>이 다른 것이 아니다. 하명근과 하은중 부자의 관계가 '부전자전'의 긍정적 효과였다면, 장태하와, 그의 두 자식, 장은중, 지금의 구재인, 그리고 장주하는, 아버지를 닮은 괴물로 키워진다. 구재인은 자신이 빼앗긴 장태하의 아들 자리, 태하 그룹의 후계자 자리를 되찾기 위해, 또 다른 장은중을 없애달라는데 주저하지 않는다. 태하 그룹을 얻기 위해 장인을 죽음에 이르게 했던 장태하처럼, 그의 품에서 자란 자식들은 그의 방식대로 사는 것을 배운다. 

두 작품이 말 하고자 하는 것이 다른 것이 아니다. 
괴물이 되어버린 아버지의 세대, 그리고 그 아버지 세대의 방식대로 보고 자란 아들의 세대가 살아가는, 살아가야 하는 방식에 대해, '부전자전'의 태도에 대해 논하고자 하는 것이다. 
공교롭게도 두 작품 모두에서, 사건을 확산시키는 계기로 '철거'가 등장하는 것은, 당대성을 상징하는 가장 적절한 소재였기 때문일 것이다. 
<스캔들>의 장태하는 자신의 부를 완성하기 위해 부자비한 철거를 감행한다. 주저하는 경찰과 철거 용역들 앞에 그 스스로가 불도저를 밀고 들이 닥친다. 철거와, 건설이라는 두 단어로 상징되는, 개발 경제 시대의 아버지이다. 
<화이>의 아버지들은, 경찰과 철거 용역조차 해결해 내지 못한 단 하나 남은 철거 현장의 집을 없애기 위해 투입된 특수 용역인 셈이다. 우리가 그런 일까지 할 필요는 없다고 하지만, 결국 경찰의 끄나풀이, 기업의 하수인이 된 또 다른 세대의 아버지들을 상징한다. 

<화이>의 아버지들이 그들을 괴롭히던 괴물을 피하기 위해 그 스스로 더 잔혹한 괴물이 되어가는 방식을 택한 것처럼, 그 아버지들은 그들의 방식을 화이에게 강요한다. 너도 우리처럼 괴물이 되어서 살면 편하다고.<스캔들> 역시 마찬가지다. 이십 여년 만에 처음 만난 아들에게 장태하가 권하는 것은 자기 대신 재판에 나가, 자기처럼 철면피가 되는 것이다. 그것이 장태하의 아들이 되는 리트머스 시험지이다. 아버지들은 '사랑'의 이름으로 아들들이 자신과 같은 삶을 살기를 강요한다. 

<화이>도, <스캔들>도 결국에 돌아오는 건 질문이다. 그것이 개발 독재 시대의 아버지들이건,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또 다른 괴물이 되어버린 그 이후 세대의 아버지들이건, 결국 모든 사건의 열쇠는 결국 아들의 손으로 넘겨진다는 것을 강하게 주장한다. 


<화이>는 영화답게, 두 시간에 모든 것을 끝장내야 하는 완결적 스토리답게, 그리고 청소년답게, 화끈하게 징벌과 극복을 해소해 버린다. 말 그대로, 괴물을 삼켜버린다. 
반면, <스캔들>의 해법은 복잡하다. 장은중과 또 장은중은 사회 물도 먹을 만큼 먹은 만큼, 머릿 속이 복잡하다. 계산해야 할 것들이 많다. 더구나, 36부작의 장편을 이끌어 가야 할 만큼 고민할 꺼리도 많다. 
그래도 역시나 길을 두 가지이다. 이제는 구재인이 된 장은중처럼, 그 아버지가 그랬듯이, 자신의 것을 쟁취하기 위해, 자신이 상처받은 걸 돌려주기 위해 괴물이 되는 방식을 택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은중이었던, 이제는 장은중이 선택한 방식은 <화이>의 방식일 것이다. 화이가 화끈하게 몇 자루의 총으로 해결했던 청소를, 장은중은 아주 복잡하게 도대체 아직은 그 해법이 무엇인가조차 그저 짐작만 할 수 있게, 큰 그림의 청소를 해나간다. 그가 그토록 사랑해 마지 않는 여자와 재판에서 대면해 놓고서도, 그녀의 공소 사실을 천연덕스럽게 부인할 만큼 속을 내보이지 않으면서도 자신을 믿어달라고 외칠 만큼, 그의 행보는 의심스럽지만, 의지는 확고하다. 

하지만 그 무엇이 되었든, 공은 <화이>와 <스캔들>을 보는 관객과 시청자들에게로 굴러온다. 
당신들이 부정해 마지 않는 역사가 이제 당신들의 몫으로 던져졌다. 당신들은 어떤 방식을 택할래? 하고, 언제까지 아버지가 나뻐서 라고 징징거릴 때가 아니야! 라고 .

* <스캔들>에는 괴물이 되느냐, 마느냐 서로 다른 두 아들의 선택이란 흥미진진한 볼거리와 함께, 현실이 고스란히 투영되는 대사를 쫄깃하게 즐기는 재미가 더해진다. 
에피소드 1; 윤화영이 검찰 총장을 찾아갔다고 하자, 장태하는 그 검찰 총장을 구워 삶으라 한다. 하지만 그 검찰 총장이 강직해서 그럴 것이 없다고 하자, 없는 애라도 만들어서 신문에 뿌리라고 한다. 
에피소드2; 조진웅 태하 건설 사장과, 그의 아버지 조치국 장관이, 개발제한 구역 땅을 풀어 땅 장사를 한 이야기를 나눈다. 뭣도 모르는 사람들이 자기들의 땅 장사에 빛을 내서 끼어들어 망해가는 것을 조롱하며. 대한민국은 땅도, 집도, 강도 모조리, 자기들 봉이라며 낄낄거린다. 그것도 모르고 사람들은 빛을 내서, 그걸 사지 못해 안달을 한다고 비웃는다. 


by meditator 2013. 10. 14. 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