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영국의 미술가 500명이 20세기 100년 동안 가장 영향력이 컸던 미술품을 뽑았다. 

결과는? 피카소의 '게르니카'와 앤디 워홀의 '마릴린 먼로 2면화'를 제치고, 마르셀 뒤샹의 '샘'이 그 영광을 차지했다. 
20세기에 가장 지대한 영향력을 끼쳤다는 마르셀 뒤샹의 샘이란 작품은 어떤 작품일까? 막상 그 작품을 보면, 대다수의 입에서는 '애개~'하는 단어가 튀어나오기 십상이다. 그도 그럴 것이, 그저 흔하디 흔한 남자 변기를 거꾸로 엎어 놓고, 거기에 '샘(fountain)'이라는 제목을 붙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 화장실에 걸려 있어야 할 흔하디 흔한 남자 변기는 마르셀 뒤샹의 손을 거쳐 예술 작품이 되었다. 그리고 바로, 마르셀 뒤샹은 그 과정을 통해, 전시장에 걸려 고결한 예술 작품이 되어가는 그 전 세기의 미술을 비판하고, 가장 평범한 대중의 삶 속의 물건들이 예술적 '오브제'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해 내었다. 그저 변기였던 마르셀 뒤샹의 작품은 잃어버렸다 다시 복원이 되었음에도 100만 달러가 호가하는 예술품이 되었다. 

변기였다 20세기 최고의 예술 작품이 된 마르셀 뒤샹의 '샘'은 가장 통속적인 사람 사는 이야기가 텔레비젼을 통해 '막장'이 되었다가, 소프드라마류의 아침 드라마가 되었다가, 때로는 대중들의 뇌리에 남을 명작이 되기도 하는 우리네 드라마와 닮았다. 별다른 이야기를 하는 게 아니라, 같은 이야기를 어떻게 요리하느냐에 따라, 망작이 되기도, 명작이 되기도 한다. 김수현 작가가 새로 시작한 <세 번 결혼하는 여자>를 보면 이런 생각이 더욱 분명하게 다가온다. 


<세 번 결혼하는 여자>는 여주인공이 세 번 결혼한다는 충격적 제목에서 오는 '스포'만 차치해 놓고 본다면 어디선가 본듯한 이야기들이다. 스물 아홉에 딸 아이 하나 데리고 이혼을 해 혼자가 되었다가, 멋진 재벌남을 만나, 결국은 딸내미를 친정에 맡기고 재혼을 한 여자, 하지만 늘 '사랑해'를 주문처럼 외우는 남편에, 지각있는 시부모님 등 무엇하나 부족할 것이 없는 환경이지만, 두고온 딸내미로 인해 늘 얼굴 한 편에 그림자가 드리워진 여자, 우리는 이런 여자를 <사랑과 전쟁>이나, 아침드라마 들에서 종종 조우해 왔었다. 그녀의 언니도 마찬가지다. 독립적인 노처녀, 그리고 그녀의 오랜 베프 남자와 여자, 그녀는 오래도록 남자를 짝사랑하지만, 남자가 보낸 사랑의 짝대기는 늘 방향이 그녀를 비껴가고, 이제는 친구의 남자를 사랑하는 처지에까지 이르게 만든다. 

하지만 어디서 본 듯한 이야기들이, 김수현이라는 이제 '대가'의 칭호가 무색하지 않는 작가의 품 안에서는 매우 신선한 이야기들로 둔갑을 하기 시작한다. 
보통 아침 드라마들이 첫 결혼을 이혼으로 종지부 찍게 만드는 길고 지리한 '시월드'의 고통에 주목하는 것과 달리, 김수현 작가는 단번에, 이야기의 시점을 아침 드라마의 결론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끌고 온다. 마치 우리가 흔히 보던 아침 드라마의 결론- 아니 아침드라마로 갈 것도 없다. 요즘 아주머니들과 어머니들을 매료시킨 <오로라 공주>의 상황이 딱 요거다- 그렇게 포악한 시어머니와 간악한 시누이로 인해 고생하던 그녀는, 결국 지옥같은 시집을 떠나, 더 부자이고, 더 멋진 남자를 만나 결혼하게 되었다는 해피엔딩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히트 작가 김은숙이 '자기 복제'를 한다는 것을 시인하며, 그건 아무나 하냐며 자랑하는 세상에, 김수현 작가가 '대가'인 이유는, 우리가 익숙하게 혹은 드라마들이 익숙하게 사용해 왔던 서사에서 용감하게 한 발 더 나아간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녀는 행복했어요 라는 결론에서 더 나아가, 그녀가 정말 행복했을까? 라는 질문으로 <세결여>는 시작된다. 그러면서, 부잣집 남자와 교양있는 시부모님과 다시 사는 행복을 누리기 위해 그녀가 포기한 것들이 그녀를 여전히 짖누르고 있고, 그녀를 놓지 못한 전 남편의 인연이 여전히 한 자락 그녀의 삶에 드리워져 있다. 그리고 궁극에 가서는 행복이라 부르는 것들이 모래성처럼 흘러내릴 지도 모른다. 

본듯한 이야기들을 접근하는 방식, 시점이 달라짐으로써 이야기는 전혀 새로운 질감으로 우리게게 느껴지는 것이다. 물론 당연히 스토리는 여느 멜로 드라마처럼 주인공들이 다시 만나고 사랑하고 아우다웅거리는 이야기들로 흘러가게 될 것이지만, 하지만 사람들이 흔하게 매료되는 멜로 드라마의 그 플롯의 익숙함에, 김수현 작가가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는 '의의'는 사라지지 않느다. 그 누구보다 통속적인 이야기에 있어서 '귀재'인 작가가, 바로 그 '통속성'의 함정을 논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여전히 김수현 드라마를 자기 복제를 거듭하다 단물을 다 빼먹어가는 유명 작가들의 드라마와 달리, 일흔이 넘은 나이에도 당대성을 지니는 문제작으로 만드는 이유이기도 하다. 

비록 출연하는 배우의 부도덕한 스캔들로 인해 얼룩지기는 했지만 <천일의 약속>이 젊은 여성의 치매라는 색다른 소재를 이용해 사랑과 결혼의 의미를 되새겨 보고자 했다면, <세 번 결혼하는 여자>는 재혼이라는 소재, 아니 애초에 결혼이라는 제도 자체에 대한 김수현식의 조사 보고서가 될 듯하다. 물론 때로는 그 과정에서, 작가의 노파심이 앞서고, 그래서 작가의 목소리가 드라마적 재미보다 높아지기도 하지만, 여전히 2013년에, 김수현의 문제제기는 이 시대의 결혼 풍속에 의미를 지닌다. 


by meditator 2013. 11. 11. 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