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0일 방영된 <다큐3일>에서는 신선한 기획이 시도되었다. 세계를 주무르는 두 강대국, 미국과 중국, 지지않은 해와, 떠오르는 해와 같은 두 나라의 각각 한 장소를 배경으로 72시간의 다큐 3일이 마련된 것이다. 또한 이 기획이 특별한 점은, 미국은 일본의 제작진이, 그리고 중국은 한국의 제작진이 참여함으로써, 두 나라를 바라보는 일본과 한국의 관점의 묘한 이질감이, 똑같은 72시간이지만 전혀 다른 질감의 이야기를 탄생시켰다.

 

 


 


꿈이 빚어지는 곳 창사의 중식당과 뉴욕의 24시간 빨래방

우선 먼저 방영된 것은 한국의 <다큐 3일> 제작진이 마련한 중국 창사에 자리잡은 중국 최대, 세계 최대의 중식당을 배경으로 한 72시간의 기록이다. 그간 우리나라 예능을 통해 종종 얼굴을 비춘 이 후난성 창사시에 자리잡은 세계 최대의 중식당은 자금성을 본딴 엄청난 규모로, 연간 80여만 명의 손님이 찾아드는 성황리에 영업을 하는 중이다. 처음에는 비싼 가격으로 일부 부유층만을 상대로 하는 식당처럼 인식이 되었지만, 오히려 그런 인식이 경제 호황과 더불어 생활수준이 높아진 중국인들의 '인기'를 얻어, 이제는 결혼힉을 비롯한 창사시 중국인들의 행사 전담 식당으로 거듭나고 있는 중이다. 수천만원을 호가하는 결혼식 이벤트가 주말마다 ㅂ러어지며 해마다 이곳을 찾는 손님이 늘어나고 있는 이 식당엔 요리, 서빙에서부터 설겆이까지 450여명의 직원들이 곳곳에서 쉴사이없이 움직이고 있다.

 

한국의 제작진들이 중국의 가장 큰 식당에 촛점을 맞추었다면, 일본 NHK 제작진은 미국 뉴욕의 빨래방에 시선을 맞춘다. 뉴욕 퀸스 지역의 24시간 빨래방, 일찌기 신대륙의 자유를 찾아 대서양을 건넜던 유럽인들의 열망은 이제 아시아, 남아메리카, 중동 지역의 다양한 사람들로 확산되어 여전히 뉴욕을 '꿈'의 도시로 만든다. 그리고 그곳에서 빨랫감을 가지고 모여드는 다양한 국정의 사람들은 그 여전한 '아메리칸 드림'의 상징이자, 현주소이다.

 

똑같이 '꿈'을 찾아 모여드는 사람들임에도 중국과 뉴욕이 전하는 정서는 다르다. 말이 '차이나'라는 한 나라지, 중국사는 중국이란 대륙의 구심점과, 그 구심점에서 벗어나 각자 자신의 영역, 혹은 새로운 구심점을 생성하려는 무수한 민족의 쟁투이다. 중국의 역사 이래 가장 오랜 '한족'의 통치를 성공했다는 현 '차이나'에도 불구하고, 변방에서는 '한족'의 전횡에 맞서 자국의 독립을 고소원하는 티벳을 비롯한 다수의 소수민족들이 존립한다. 그런 현대사의 구심점으로 이제 세계 경제 대국으로 세계 경제의 구심점으로 거듭나고 있는 중국, 그리고 그 차이나머니의 가장 큰 혜택을 받으며 성장한 창사시의 중식당에는, 차이나드림을 가지고 모여든 450명의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그 사람들을 72시간 지켜보는 중국의 가장 가까운 이웃 한국의 제작진들이 있다.

 

제작진에 눈에 비친 경제 호황 속의 중국, 그리고 그 증거인 창사시의 중식당은 몇 천 명의 손님들을 끌어모아, 위안화를 뿌리며 거나하게 벌어지는 결혼식으로 보여진다. 그런가 하면, 그런 경제 호황에도 불구하고, 그 속에서 일하는 450명의 직원들은 마치 우리나라 경제 발전기 고향을 떠나 어려운 가족을 돕기 위해 일찌기 일터로 떠난 6,70년대의 젊은이들을 보는 시점과도 같다. 한편에서 휘황한 이벤트와, 그 이벤트의 한 편에서 십대의 어린 나이에도 공부를 접고 가족을 떠나 한 푼이라도 벌며 자신의 꿈을 기원하는 직원, 그리고 아이들은 물론, 부부마저 떨어져 살면서도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현실을 당차게 견뎌내는 또 다른 직원들을 통해, 경제 부흥과, 그 경제 부흥기의 물결을 타고 저마다 자신의 분홍빛 미래를 꿈꾸는 중국인들의 허니문을 절묘하게 그려낸다.

 

 


 


신흥 강대국 중국과 지지않는 태양 미국, 그리고 그걸 바라보는 한국과 일본

그렇게 중국 창사의 대식당이 분명치는 않지만 그래도 '분홍빛 장미빛 미래'의 꿈을 향한 72시간이었다면, 일터가 아닌, 빨래방이라는 정처없는 공간에 카메라의 촛점을 맞춘 뉴욕의 NHK제작진이 보여준 '아메리칸 드림'은 어쩐지 삶의 '비상구'같은 느낌이 강하게 밀려온다. 다친 엄마를 대신하여 폭력이 난무하는 자신들의 할렘가 주거 지역을 피해 그래도 안전한 빨래방으로 아이들을 데리고 와 빨래를 하는 동안 마음껏 놀게 해주는 흑인 할머니, 국가 부도 사태를 겪은 그리스를 피해 미국으로 돈을 벌러온 그리스인, 위험을 무릎쓰고 미국으로 건너온 멕시코인, 하지만, 그런 위험을 무릎쓴 이주에도 불구하고 대학생이 되도록 여전히 미국 시민이 되지 못한 남미의 청년, 20여년 뉴욕에 살면서 퀸즈 지역의 변화를 몸으로 겪어낸 백인 원주민, 미국의 경제 위기 때 노숙자의 위기를 거쳐 다시 삶의 의지를 불태우는 가장, 불과 72시간이지만, 24시간 빨래방을 통해 좁게는 뉴욕 퀸즈 타운, 그리고 그곳을 통해 보여지는 현재의 미국, 나아가 세계의 현실이 빨래를 하러 들르는 정처없는 이 공간을 통해 적나라하게 전달된다.

 

한국과 일본의 제작진이 사전에 상의 하에 장소를 결정한 것인지, 아니면 각자 방송국의 결정이었는지, 절묘하게도 중국의 대식당은 이제 막 경제 대국으로 발돋움한 신흥 부국 중국의 흥분과 흥청거림, 설레임이 담겨있다면, 2001년 쌍둥이 빌딩 폭파 테러와, 2008년의 경제 위기를 겪었음에도 여전히 세계 경제의 중심이자,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자유'와 '부'에 대한 열망을 가질 수 있는 꺼지지 않는 아메리칸 드림으로, 정처없지만, 그럼에도 포기할 수 없는 '자유'와 꿈을 찾아 날아드는 세계 각국의 이미자들의 집합소 미국을 '빨래방'이라는 '부유(浮流)한 공간을 통해 절묘하게 그려낸다. 중국이란 부의 구심력이던지, 저마다 다른 인종의 원심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포기할 수 없는 아메리칸 드림에 대한 열정은, 거대한 중식당과 삭막한 24시간 빨래방을 통해 절묘하게 묘사된다.

 

또한 어린 나이에 꿈을 찾아 식당의 궂은 일을 마다치 않는 직원이나, 생이별을 마다하지 않는 부부의 애틋한 사연에 촛점을 맞춘 한국의 72시간이 한국식의 '정(情)과 '신파' 사이의 절묘한 줄타기를 했다면,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대한 까칠한 미국 중년의 질문마저 가감없이 담아낸 NHK의 관찰자적인 시선은, 결코 녹록치 않을 아메리카 드림의 현주소인 양 '거리감을 쉬이 접지 않는다. 어쩌면 '한국'이 바라보는 신흥 강대국 중국과, 일본이 바라보는 그럼에도 지지않는 태양 미국에 대한 은밀한 속내가 은연 중에 드러난 것일 지도 모른다.

by meditator 2016. 1. 11. 1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