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5일 kbs2를 통해 첫 선을 보인 <착하지 않은 여자들>은 첫 회부터 요란뻑적지근했다. 

안국동 강선생이라 불리워지는 요리 선생 강순옥(김혜자 분) 여사의 두 딸 김현숙(채시라 분), 김현정(도지원 분)과 현숙의 딸 정마리(이하나 분), 할머니와 두 딸, 그리고 손녀까지 모계로 이루어진 이 가정에 평지풍파가 일어난 것이다. 



엄마와 딸의 파란, 그 운명적 공통점은?
우선 그 파란의 첫번 째 주인공은 이 집의 둘째 현숙이다. 일찌기 고등학교 시절 퇴학을 당한 이래 도무지 풀린 일이라고는 없는 그녀, 딸과 함께 어머니 집에 얹혀살던 그녀가 어머니의 집까지 담보로 삼아 투자한 곳에 문제가 생긴다. 죽으려고 해보지만 그것도 여의치 않은 그녀는 이판사판 친구의 돈을 빌어 도박장에서 한 탕을 해서 어머니 돈을 갚아보겠다고 하지만 그 조차도 불법 도박을 근절시키기 위해 출동한 경찰들로 인해 도망자 신세가 되었다. 

이렇게 뒤로 넘어져도 코가 깨질 것 같이, 도무지 되는 일이 없는 현숙에게도 유일한 삶의 보람이 있으니 바로 그녀의 딸 장마리이다. 국문학 강사로 전임 자리를 엿보던 그녀, 하지만 학생들의 환심을 사고자 캠퍼스에서 벌인 짜장면 파티가 그녀의 발목을 잡는다. 사석에서 농담처럼 흘린 피라미드식 학생 유인책이 방송을 타고, 마치 전임 자리를 위해 학생들을 학점과 갖은 방법을 낚은 부도덕한 강사가 되어 하루 아침에 강사직에서 짤린다. 그뿐만 아니라 그녀의 호구지책이었던 논술 학원 강의조차 소문에 발빠른 학부모들로 인해 날아간다. 

이렇게 사고와 말썽으로 범벅이 된 두 모녀에 비해 그래도 여전히 솔직한 입담을 자랑하며 수강자들을 끌어모으고 있는 이 집의 실질적 가장 강순옥 여사나, 여전히 싱글이며 후배들의 시기와 질투를 받지만 그래도 굳건하게 앵커자리에 버티고 있는 현정은 형편이 나은 편이다. 

<착하지 않은 여자들>의 첫 회는 주인공 현숙와 그녀의 딸 마리의 수난사로 시끌벅적했다. 일찌기 고등학교 시절 담임 선생님에게 찍힌 이래 현재 어머니의 집까지 날릴 처지에 놓인 현숙과, 오로지 공부를 통해 엄마의 자부심이 되어 대학 강사까지 되지만 하루 아침에 강사직은 물론 논술 강사직까지 날린 마리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그것은 그녀들이 자신들의 삶을 곧이곧대로 살아보려 했던 '착한 여자들'이라는 것이다. 

일찌기 고등학교 시절 학생들의 학구열을 가속화시키기 위해 1등부터 60등까지 성적순으로 앉힌다는 선생님에게 유일하게 부당하다며 반기를 들었던 현숙, 그렇게 원칙을 준수하고자 했던 그녀의 삶은 하지만 거기에서 부터 어긋난다. 선생님은 그녀를 찍었고, 학생들은 그녀를 따돌렸다. 
그녀의 딸 마리 역시 마찬가지다. 대학 사회에서 소외당하는 인문학을 가르치는 강사로 인문학 강의의 어려움을 사석에서 토로하고, 짜장면까지 사주며 학생들을 독려하려 했지만, 그녀의 의도와는 반대로 학생들을 피라미드식으로 모집하려는 사심어린 강사로 찍혔을 뿐이다. 
엄마인 현숙과, 그녀의 딸인 마리가 처한 상황은 다르지만 공교롭게도, 두 사람의 불행이 바로 엄마인 현숙이 고등학생이던 시대의 이른바 학력을 둘러싼 '경쟁 우선주의'와, 이제, 딸 마리가 사는 이 시대 역시나 또 다른 대학 사회의 '경쟁 우선 주의'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즉 약삭빠르게 옆의 사람이 어떻게 되건 말건 나 한 사람 잘 되면 되는 세상에서, 엄마인 현숙과, 그녀의 딸인 마리는 영 젬병이다. 엄마는 일찌기 고등학교 시절부터 고지식한 태도로 결국 신분 상승의 기본적 수단을 제공하는 학교에서 밀려났고, 이제 겨우 인문학 나부랭이를 가르치며 강사 자리라도 유지하려던 마리는 그녀가 가진 생각이 오해를 불러 역시나 또 다른 신분 보증의 수단인 대학 사회에서 밀려난다. 
<착하지 않은 여자들>에서 착한(?) 현숙과 마리가 불행해지는 이유는, 결국 엄마가 학생이던 시절부터 현재 마리가 사는 세대까지 우리 사회에 일관되게 이어지는 '경쟁'이 내재화된 사회이다. 



착하다지만 착하지만은 않은 그녀들의 행보 
하지만 이렇게 상징적 존재로 등장한 현숙이 1회 동안 벌이는 해프닝은, '착한' 그녀라기엔 어쩐지 '착해 보이지 않는다' 어머니의 집까지 담보로 해서 무리한 투자를 벌인다든가, 친구의 돈까지 빌어 도박판에 가담하는 모습은, 비록 그것을 통해 제도권에서 밀려난 사람이 취할 수 있는 방식의 제한성을 보인다 하더라도, 어쩐지 고지식해 일찌기 밀려났던 현숙의 캐릭터와는 이율배반적이다. 일찌기 고등학교 시절, 학교에서 말리는 내한한 팝스타의 공연을 보러갔다가 벌을 서는 현숙처럼 말이다. 

이렇게 애매모호한 정체성을 가진 현숙에게 정당성을 부여한 것은, 그녀를 학교 밖으로 밀어버린 결정적 역할을 한 선생님 나말년(서이숙 분)이다. 될성 부르지 않은 학생은 일찌감치 찍어내버려야 한다는 것처럼 가혹하기 한 자신의 교육관을 당당하게 부르짖는 나말년의 소신이, 현숙이란 애매모호한 캐릭터를 추동하는 발연재로 쓰인다. 

그런 면에서는 딸 마리도 마찬가지다. 선의에 의한 것이지만 결과론적으로 충분히 오해를 살만한 소지가 있는 행동을 벌인 마리의 짜장면 해프닝을 통해 마리의 캐릭터 설명하기에는 어쩐지 애매하다. 그를 위해 충분히 오해를 살만한 정황을 부여한 이두진(김지석 분)이 필요한 이유다. 



이렇게 엄밀하게 보면 '착하다'고만은 하기엔 어정쩡한 그녀들, 하지만 단 1회 동안, 돈 날리고, 경찰에게 쫓기고, 하루 아침에 일자리를 잃는 가장 현실적인 사건들이, 그녀들, 그녀들의 이후 삶에 집중하도록 만든다. 분명 엄마의 집까지 담보로 삼고, 그 돈을 보상하겠다고 친구 돈을 빌어 도박판으로 향하는 현숙은 이해받기 어렵지만, 고등학교 시절의 가혹한 에피소드는 현재의 허황한 그녀조차 이해하고 싶은 마음이 들게 만들며, 나말년에게 복수하고자 하는 그녀의 다짐에 동조하게 만든다. 마리의 무리수인 짜장면 파티도, 어렵사리 된 강사직조차 놓쳐버리고 논술 강사직까지 잃은 채 초라하게 버스를 타고 돌아오는 그녀의 모습으로 마음을 돌리게 만든다. 과정이야 어떻든 가진거 다 잃고 이제 식구들마저 거리에 나앉게 생긴 현숙네 가정에 닥친 폭풍, 그 폭풍의 운명성이 삶의 희노애락에 시달려 본 동년배들의 시선을 끌 가능성이 높다. 
by meditator 2015. 2. 26. 06:06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