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라는 명구가 무색해진지 오래되었다. 하지만, 그 잊혀진 독서의 계절을 뜻밖에도 부추키는 건, '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라며 정현종의 시 '방문객'으로 사랑의 시작을 알리는 드라마 <이번 생은 처음이라>이다. 그러나 <이번 생은 처음이라>를 '문학적'으로 만드는 건 작품 속 곳곳에서 인용되는 독서의 욕구를 부추기는 문학 작품들때문만은 아니다. 어쩌면 이 시대의 문학이 무색하게도, 문학이 해야할 작품을 통해 자신을 투영하고 직시하며 반성할 수 있는 '문학적 역할'을 드라마가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생은 처음이라>는 '문학'보다 더 '문학적'이다. 




사람이 온다, 그의 19호실과 함께 
계약 결혼을 통해 낯선 두 이방인이었던 남세희(이민기 분)와 윤지호(정소민 분)가 '사랑'의 문을 열기 시작한 것을 드라마는 정현종의 '방문객'으로 알렸다. 그저 월세 세입자가 필요했고, 몸 뉘일 방이 필요했던 두 사람은 본의 아니게 한 공간에서 살며, '사랑'하지 않는다는 편의적 이유로 성큼성큼 서로의 삶에 발을 들여놓게 된다. 

'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그는/ 그의 과거와 현재와/ 그리고/ 그의 미래와 함께 오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일생이 오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정도만 되도, 정현종의 '방문객'은 그저 사랑의 문학적 수사로 그칠 수 있었다. 가랑비에 옷적듯이, 그러나 때론 옷과 가방을 집어 던진 채 그 사람을 지키기 위해 소중한 돈 대신 비싼 오토바이를 부수는 걸 감수하고, '갈음'이란 표현에 섭섭하고 상처주고 싶어하며 가까워지던 두 사람은 결국 진짜 '키쓰'를 통해 사랑의 통과 의례를 겪어간다. 그리고 사랑하며 그 사람의 세계에 성큼성큼 발을 들이니 거기엔 남세희의 집에 마주한 두 사람의 방처럼, 이십 여년, 혹은 삼십 팔년을 웅크리고 살아왔던 각자의 19호 실에 맞닦뜨리게 된다. 

우리 사회에서 결혼이란 둘이 만나 하나가 되는 것이라고들 해왔다. 이 이상한 수학 공식에는 홀로 맞서기 힘든 세상을 두 사람이 힘을 합쳐 하나가 되어 함께 헤쳐나간다는 전제가 깔려있다. 이 부부의 하나됨이 하나의 가족을 만들고, 그 가족이 이 사회의 '가족주의', 때로는 '전체주의'의 바탕이 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 2017년의 젊은이들은 사회 경제적 이유로 그런 '가족'을 이룰 수 없는 처지에 놓여있다. 그런데, <이번 생은 처음이라>는 그런 사회 경제적 이유를 넘어,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지금까지 '우리'라 정의 내려진 그 명제에 대해 새로운 이견을 제시한다. 



그 이견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건 바로 연애 7년차, 아니 전 연인인 양호랑(김가은 분)과 심원석(김민석 분)커플에게서이다. 한 통장에 미래의 꿈을 부으며 원석의 자수성가와, 그를 통한 성공적 결혼과 안락한 가정을 꿈꾸던 호랑-원석 커플은 7년차에 이르러서도 앱 개발에 성공하지 못해 미래를 보장할 수 없는 원석의 사회 경제적 처지로 인해 흔들린다. 호랑을 위해 자신의 꿈을 접고 선배 회사에까지 들어갔지만, 호랑이 원하는 결혼까지 하려면 5년을 더 기다려 달라는 원석의 요구에 호랑은 절망한다. 그리고 결국, 원석은 자신이 호랑을 행복하게 해줄 수 없다는 이유로 이별을 통보하고 호랑은 원석의 집에서 짐을 뺀다. 

너와 내가 구분되지 않고 연인이라는 이름으로 뭉뜨그려져온 두 사람, 하지만 7년의 시간이 흘렀지만 두 사람의 이해는 쉽게 만나지지 않는다. 연애는 좋지만 결혼은 물음표라는 원석과 결혼이라는 골문을 향해 모든 과정을 감수했던 호랑의 이해 관계는 결국 매번 어긋나고 만다. 원석이 자신의 꿈을 포기해도 쉽사리 합의에 도달할 수 없는 이 커플은 결국 7년차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각자 자신을 직시하기에 이르른다. 

19호실에서 나와 사랑의 광장에서 
호랑, 원석 커플의 파경은 결국 더 이상 우리 사회의 연애와 결혼이 그 옛날 단칸방에 함께라는 이유로 행복하던 그 시절의 결혼이 이 시대에 유효하지 않다는 걸 증명한다. 그건 시대가 달라져서도, 사회가 달라져서도 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사람이 달라져서인 것이다. 즉, 이 시대의 결혼은 분명 남과 여의 결합이지만, 그 남과 여는 각자의 삶과 주관이 분명한 개인들의 결합이라 드라마는 말한다. 

그래서 우수지(이솜 분)가 너무 좋아 그녀가 쏘아대는 화살마저도 내가 맞고 그녀가 조금 편해졌으면 하는 마상구(박병은 분)는 사랑하는 그녀에게 '우리가 함께하면 다 해결될 거야'라는 고백 대신, 세상에 상처받고 자신의 19호실에 갇혀있는 수지가 당당하게 세상 밖으로 나와 싸우기를 독려하고, 자신이 그 응원군이 기꺼이 될 꺼라 말한다. 분명 '함께'이지만, 두루뭉수리한 집단이 아니라, 각자 자신의 삶의 주체로써 서있는 개인으로서의 '결합'을 전제한 고백이다.

 

드라마 속 전직(?) 드라마 작가인 지호는 바로 이런 자신들의 처지를 도리스 레싱의 <19호실로 가다>를 통해 빗대어 설명한다. 가사 노동에 지친 한 여성이 자신만의 '공간'을 얻기 위해 기꺼이 '불륜'의 오해조차 감내한다는 이 파격적인 이야기는 이 시대 자신의 삶을 올곧이 살아내는 개인들의 현실을 절묘하게 상징해 낸다. 

자신의 집에 집착하는 세희, 자신이 머물 방이 필요했던 지호가 그 자신들의 '공간'이 필요해 전 시대의 유산이라 할 '결혼 제도'를 이용하는 장치는 그래서 더 상징적이다. 그런데 이제 그 공간을 공유한 그들은 서로로 인해 마음 속의 공간이 생겨, 사랑이 싹트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번 생은 처음이라>가 '로코'의 형식을 띠지만 21세기의 실존을 적나라하게 담보해 내고 있기에 그 '로코'의 과정조차 녹록치 않다. 

'사랑하다보면, 그 사람을 다 알았다고 생각하는 순간 무엇인가 모르는 구석이 생긴다. 나의 세계 속에서 자라는 상대가 점점 울창해지고 있다는 뜻이다. 아니 이것은 내가 상대의 세계로 더 깊이 걸어들어왔다는 뜻이다. 사랑의 세계에서 공간은 늘 광장처럼 드넓다.'

그 흔한 삼각 관계의 등장, 12년전 세희와 동거를 하고, 아이까지 가졌던 고정민(이청하 분)의 대두는 남세희와 윤지호의 사랑 전선에 위기를 불러온다. 하지만, 드라마는 이 긴장을 통해 오히려 그간 두 사람 각자의 19호실의 방문을 열어젖힌다. 방문객이란 시집 속에 갈피처럼 끼워넣은 고정민의 영원히 사랑같은 건 하지 말라던 그 명제에서 세희는 비로소 깨어나기 시작했으며, 지호는 그간 묻어두었던 작가의 꿈을, 아니 작가를 하기 위해 겪었던 고통을 꺼내들기 시작했다. 

이제 2회차를 남은 드라마는 그래서 뜻밖에도 '함께'하기 위해 각자 해결해야할 과제에 주인공들이 무거워진다. 그 각자 자신의 방 속에 묵혀둔 그 짐 보따리를 풀어내고 나서야, 이들은 자신의 19호실을 나와, 함께 할 '공간'으로 걸어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이번 생은 처음이라>가 각자의 '자존'과 '실존'이 우선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에게 권하는 '사랑'과 '결혼'이다. 
by meditator 2017. 11. 22. 1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