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록 2015년의 괴작 소리를 듣긴 했지만 <아이언맨>을 재미있게 시청했다. 기괴한 설정과 달리 동화와도 같은 소박한 이야기가 좋았고, 그 소박함을 등에서 칼이 솟는 기괴함에 잘 버무려 전달한 연출이 좋았다. 등에서 돋는 칼이 안쓰럽고 애잔하게 느껴지게 만든데는 갖가지 장치를 동원하여 시청자들을 설득하기에 진력한 연출의 공이 크다. '예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단 하나의 장면에서, 원래의 이야기보다 더 많은 이야기를 전달해주는 김용수 감독의 연출은, 단지 이것이 다수의 사람이 공유할 수 없음이 안타까울 뿐이었다. 특히나, 논두렁에서 두 연인을 따라가는 반딧불이 씬에서는 보는 시청자의 마음마저 정화가 되는 듯한 느낌을 주었다. 2015년 다시 찾아온 <드라마 스페셜-바람은 소망하는 곳으로 분다>가 무엇보다 반가웠던 이유는 바로 그 김용수 감독의 예술을 다시 한번 만끽할 수 있는 기회가 찾아왔기 때문이다. 


다시 돌아온 김용수의 예술
아니나 다를까, 단편이라기엔 아쉬울 정도의 구도가 잡힌 화면, 그리고 거기에 덧입혀진 극의 분위기를 점층시키기에 충분한 ost. 역시 김용수월드라 할만한 장면들이 2회 연작 <드라마 스페셜-바람은 소망하는 곳으로 분다>를 꽉 채운다. 10.26이 일어나던 해 발생한 대대적인 죄수들의 탈옥 사건은 김용수만의 예술을 펼치기에 손색없는 역시나 또 한번의 '기괴한 사건'이다.

2회로 이어진 <바람은 소망하는 곳으로 분다>의 1회는 과거로 돌아가, 그 소송차에 탔던, 혹은 탔을 것으로 예상된 죄수들의 이야기로 부터 시작된다. 36년이 지난 후 뜻밖에도 그 당시 형사였던 조성기(김영철 분)가 당시 죄수 중 한 명이었던 열쇠 수리공을 찾아와, 과거의 사건을 들춘다. 36년 동안 그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집요하게 추적해 왔던 그의 말에 따르면 당시 소송차에 탔던 죄수 중 3 명이 사라졌고, 그 3명의 죄수는 일제 말 일본 장교 무다구치가 숨겨놓은 보물을 찾으러 갔다는 것이다. 이제 와 다시 열쇠 수리공을 찾은 이유는 이제는 노인이 된 열쇠 수리공이 당시 그들을 소송차에 타기 전에 빼돌린 하수인이기 때문이었다. 

그렇게 36년이 지나서야, 아니 36년이 되도록 그 사건에 집착한 조성기의 열쇠집 방문을 시작으로, 36년 전 교도소의 한 방에 모여든 유재만(이원종 분), 문종대(이원철 분), 방대식(이영훈 분)의 사연이 풀어진다. 조성기의 말대로 그들은 그 방에 함께 지냈던 장기수 우문술(김기천 분)의 숨겨진 금괴를 찾기 위해 탈출을 감행했던 것이다. 하지만 이야기는 반전에 반전을 거듭한다. 알고보니 금괴를 찾아나선 사람들은 그들이지만, 그들을 그렇게 할 수 있도록 열쇠 수리공을 보내는 등의 일을 꾸민 배후의 인물이 따로 있었던 것이다. 어렵사리 탈주에 성공한 세 사람, 금괴에 눈이 먼 그들은 금괴를 독차지 할 요량으로 천상사를 배신한다. 하지만 월남에서 민간인을 12명이나 학살했다는 '악명'이 자자한 천상사는 문종대의 애인을 잔인하게 살해하며 그들의 흔적을 쫓아, 결국 그들을 따라잡기에 성공한다. 그리고 여기서 또 한 사람, 지금의 조성기 역시 그들을 찾고자 하지만 뜻밖에도 10.26이 발목에 잡힌다. 뒤숭숭한 정국에 탈주한 죄수들이라는 흉흉한 사건은 당시 사건 기록의 행간 속으로 사라져 버리고 만다. 



그렇게 1부가 과거 죄수들의 탈주 사건의 경과를 자세하게 풀어갔다면, 2부는 36년이 지난 현재의 시점에서, 36년 전과 똑같은 수법으로 다시 벌어진 연쇄 살인 사건으로 시작된다. 
눈을 땡글거리는 어색한 표정은 그 표정을 대신할 둔중한 몸짓과, 생각 외로 자연스러운 대사를 치는 '힙합 비둘기' 데프콘, 경찰대 수석 졸업이지만 오래 살기 위해 운동을 하느니, 좋아하는 도넛을 맘껏 먹으며 덜 살겠다는 소신을 가진 양구병 형사로 분해, 현재의 사건 속에서 과거 죄수들의 탈주 사건을 길어 올린다. 그리고, 36년이 지난 지금에도 여전히 그 사건을 추적하는 조성기 형사까지 그 흔적을 찾아낸다. 

'반전'의 희생된 주제 의식
하지만 이렇게 그럴 듯하게 진행되던 현재 사건과 과거 사건이 만나게 되는 퍼즐은 2부 중반을 흐르면서 여러 사건이 나열된다. 극은 다시 또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여, 이제는 목사가 된 문종대에 이어 열쇠 수리공 유원술(박길수 분)이 살해되고, 노인이 된 방대식을 찾아간 양구병 병사와 동료는 함께 불 속에 갇히는 사건을 겪는다. 또한 금괴로 인해 상당한 부를 축적한 듯이 보이는 유재만 앞에 과거의 천상사가 등장하여 도끼를 휘둘러 댄다. 
결국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던 사건은 조성기의 집을 찾아간 양구병 형사가 조성기 형사가 천상사와 쌍둥이 형제였음을 확인하고, 불구자라던 천상사의 외모를 빼어닮은 그의 아들과 혈투를 벌이며 명확해진다. 결국 이 모든 것이, 형 조성기마저 죽이고 조성인 채 살아오며 과거의 탈주했던 3인을 쫓은 천상사의 보복극이었음 마지막 유재만과 조성기의 독대씬에서 드러난다. 

'반전에 반전'을 숨기고 있는 극들의 맹점 중 하나는 자신들이 하고자 하는 술래잡기 놀이의 묘미를 한껏 배가하기 위해, 애초에 말하고자 하는 주제 의식마저 숨기는 것이다. <바람은 소망하는 곳으로 분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죄수들의 탈주극으로 시작하여, 양구병 형사의 범죄 수사극으로 이어진 이 단편 역시 반전에 반전이라는 묘미의 함정에 빠져들었다. 그러다 보니 시청자들은 죄수들의 금괴 찾기에 빠져들다, 다시 양구병 형사의 범죄 수사극에 집중하다, 뜻밖에도 마지막에 조성기 형사의 변신과 그 예상 외의 결말을 조우하고서는 허무한 느낌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제작진은 잔뜻 등 뒤에 숨겨놓고, '놀랐지' 하는데, '뭥미?'라는 느낌을 받는 달까? 소망하는 곳으로 불 수 없는 바람의 아이러니는 만끽될 수 없었다. 

물론 제작진은 충분히 그 반전에 반전이 숨겨놓은 퍼즐을 종종 힌트로 알려주었다. 양민을 학살했다는 베트남전 천상사의 이야기에서 과도하게 감정을 이입한 조성기라던가, 장면 장면이 바뀔 때마다, 막간으로 등장한 당시 사건들을 다룬 신문 기사들에서, 수많은 힌트들이 등장했다. 하지만, 2부작을 다 보고 나서도, <바람은 소망하는 곳으로 분다>라는 제목의 의미가 갸우뚱해질 만큼, 극은 이리저리 시청자들을 데리고 '반전'을 향한 숨바꼭질에 치중하다 보니, 정작, 마지막에 금괴 찾기가 아니라, '복수'를 향한 천상사의 일념에 대한 천착이 충분한 설명을 가지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결국 1부에서 주인공처럼 등장한 죄수들의 최후 역시 해명 한 마디 없이 마무리 되고 만다. 궁금한 것은 멋들어지게 한 입 베어불고 던져 진 양구병 형사의 폼나는 마무리가 아니라, 가짜 금괴를 발견한 이후, 살아온 그들 각자의 삶이었는데 말이다. 사건은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며 '깜짝 놀랐지!'하며 끝냈는데, 정작 할 이야기를 다 듣지 못한 미진함이랄까. 그래서 분명 모든 이야기를 다 풀어 놓았음에도 용두사미의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래도 반갑다, 드라마 스페셜
그래도 일요일과 월요일 한 주가 넘어가는 한껏 외진 자리라도 그래도 자리 자리를 차지하고 있던 <드라마 스페셜>이 이젠 핫해진 금요일 저녁의 막간극으로 등장했다. tvn <삼시 세끼>와 맞붙은 각 방송사의 전력 투구로, 그나마 이 자리조차 얼마나 보전할런지, 기약할 길없다. 그나마 사라지지 않을 걸 감사해야 하는 건지 입맛이 씁쓸하다. 그래서일까, 용두사미이든, 기괴하든, 여전히 거뜬하게 등장한 단막극이 우선은 반갑다. 기존 드라마들에서 볼 수 없는 이야기들을 보는 맛은 그 미완의 결말에도 불구하고 색다른 별미다. 
by meditator 2015. 3. 21. 1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