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미디어의 시대다, 그리고 그 중의 하나가 '독립 출판', 기존의 '상업적 목적'을 벗어나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한 권의 책에 담는 나만의 콘텐츠 창작 역시 2,30대 중심으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문화적 트렌드이다. 그리고 그 '트렌드'을 발빠르게 '예능'이 담아낸다. 바로 지난 6월 6일부터 새로인 선보인 kbs2의 예능 <냄비 받침>이다. 


제목부터 역설적 의욕이 넘친다. 흔히 보지 않는 책의 효용이 '냄비 받침'으로의 전락을 빗대어, 야심차게 '냄비 받침'이 되지 않을 '출판 콘텐츠'를 '예능'의 그릇에 담겠다는 의도다. 그리고 그 '냄비 받침'이 되지 않을 '출판'의 당사자로 이경규, 안재욱, 김희철, 트와이스, 이용대가 등장했다. 



독립 출판 예능이 되다 
이미 유승민이 등장하기 전부터 '낙선 정치인'에 대한 책을 쓰겠다는 포부만으로 홍준표 후보의 등장 여부를 놓고 설전이 벌어졌던 <냄비 받침>은 이미 방영 초반 뜨거운 '신고식'을 치뤘다. 그리고 이제 유승민 의원을 시작으로 이경규가 원하던 바 '낙선 정치인'에 대한 인터뷰가 시작되었다. 그렇게 이경규가 '큰 그림'을 그리는 사이, 애기 아빠가 된 이용대는 '육아 일기'를, 애주가 안재욱은 전국의 '건배사' 모음집을, 그리고 이젠 '삼촌'이 된 김희철은 그의 사심 가득한 '걸그룹 입문기'를, 트와이스는 20대 초반답게 '신상 탐험기'를 '저술(?)하기 시작했다. 

도서관을 채운 책이 0번에서 시작해서 900번대 까지 다양한 분야의 내용을 아우르듯 '책을 매개로 한 예능 <냄비 받침> 역시 펼쳐논 포석이 야무지다. 출연자 각자의 개성과 기획에 따라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다는 점에선 <마이 리틀 텔레비젼>이 연상된다. 특히 이경규에서 안재욱, 이용대, 김희철, 트와이스 등 출연자의 면면을 보면, <냄비 받침>을 통해 전 연령대를 아우르겠다는 의도 역시 다분히 노골적이다. 뿐만 아니라 그들이 들고 나온 콘텐츠 역시 50대 이상의 '정치', 40대의 '술 자리', 30대의 '가정'과 '취미', 그리고 20대의 '신상'처럼, 연령 별 선호 품목을 정확히 주목하고 있다. 이런 것은 최근 프로그램 전체가 아니라, 짤막한 동영상으로 '소모'되고 있는 예능의 트렌드에 맞춘 절묘한 기획이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절묘한 기획'이 정작 '본방'의 <냄비 받침>의 정체성을 모호하게 만든다. <마이 리틀 텔레비젼>은 한 공간에 모여든 여러 스튜디오 각각에서 실시간으로 벌어진 다양한 콘텐츠들의 반응에 따른 '경연'이란 점이 이 이질적 콘텐츠들의 '어색한 조합'을 무마시켰다. 하지만, 막상 이제 3회를 맞이한 <냄비 받침>은 그런 세대별 전혀 다른 관심사를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적절하게 수용하고 있는가란 질문에 물음표가 뒤따른다. 

시끌벅적한 화제를 이끌고 이경규의 낙선 정치인 인터뷰가 시작되었다. 그리고 그 첫 테이프를 끊은 건 대선 과정에서 비록 낮은 지지율을 보였지만, 그 사람이 여당이라 안타까웠다는 유승민 바른 정당 후보다. 

'정치 과정'으로서 '목적 의식적' 방송이 아닌 예능에, 이제 자연인으로 등장한 유승민 전 의원은 자신의 방송 출연만큼이나 이경규를 실제로 맞이한다는 사실을 신기해 하며 방송은 시작되었다. 역시나 노련한 이경규는 틀에 박힌 질문의 행간 너머로 곧 유승민이란 인물이 그간 선거 과정을 통해 '홍보성'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부분에 대해 예리하게 살펴간다. 뿐만 아니라, 유시민의 지적처럼 이제는 마음에 없는 말을 하지 않아도 되는 처지의 유승민 의원은 선거 과정 이면의 뒷담화 역시 허심탄회하게 전해주어 '정치적 목적'없는 정치인의 소탈한 모습을 맛볼 수 있었다. 

하지만 유승민 의원에 대한 인터뷰가 무르익을 무렵, 방송은 느닷없이 트와이스의 합숙소로 시선을 돌린다. 유승민과 이경규, 두 사람의 이야기에 몰입할 만하니, 갑자기 젊은 걸그룹이 단체로 나와 '신상' 체험기를 벌인다. 그게 또 저런 건가 보다 하고 보려니, 김희철이 등장해서 '아이돌에 관한 책을 쓰겠다고 난리다. 그런데 그 책을 쓰는 방식이 방송국 앞 까페에 앉아서 매니저들에게 읍소하는 방식이다. 무엇보다 과연 이수만 사장님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그가, '잔혹사'에 가까운 아이돌의 역사를 제대로 서술할 수 있을까?싶은데, 이젠 또 아니라 그러면서 자신이 좋아하는 걸그룹 숙소를 찾아 '걸그룹 입문기'를 쓰겠단다. 그러더니 마무리는 안재욱이 등장하여 이경구가 함께 했던 대선 기간 '마크맨' 기자들과의 '건배사'로 마무리한다. 



한 지붕 어색한 여러 가족 
패널들 각자가 하고자 하는 '출판'의 기획은 참신했다. 논란이 되었지만 유승민 의원이 보인 소탈한 모습을 통해 '정치'적 목적에서 한결 자유로워진 그들의 후일담이 충분한 들을 거리가 되었다. 젊은 트와이스의 신상 탐험기도 괜찮았고, 시행 착오를 했지만 요즘 걸그룹 입문기를 빙자한 걸그룹 함께 하기도 '걸그룹'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환호'할만한 소재다. '건배사' 혹은 술자리를 통해 엿보는 우리 시대 사람 사는 이야기도 그 자체로 충분히 다가갈 만 하다. 

문제는 이들을 한 시간 여의 예능에 쑤셔 넣었다는 지점이다. 진득하게 이경규의 인터뷰에 집중을 하던가, 걸그룹의 시끌벅적한 리얼 예능을 하던가, 술자리를 빌어 살펴 본 일반인들의 살아가는 이야기를 하던가, 선택과 집중이 필요해 보인다. 

이런 공중파 예능의 모아놓고 하나만 반응 있어라는 식의 '백화점식' 혹은 '편집식' 구성은 이제 새로울 것이 없다. 공중파에서 예능이라면 대부분 이런 방식을 택한다. 여러 '노총각'들을 모아서 그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미운 우리 새끼>부터, 싱글들의 <나혼자 산다> 등 다 이런 식이다. 이는 '시즌제'가 아닌 '영원'을 지향하는 공중파 예능의 숙명이라 할 수도 있다. 또한 담론과 화두, 혹은 주제 의식이 없는 이른바 '영혼없는 예능'의 한계이기도 하다. 왜 우리에게는 나영석이 없는가라는 고민을 하기 전에, 왜 우리는 '예능을 통해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없는가에 대한 고민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니 맨날 새로운 예능이라면서 결국은 트렌디한 아이템을 내걸고 결국 하는 건 뻔한 예능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도 어느 정도 '톤'과 베이스'의 적정선이 있다. 그런 면에서 <냄비 받침>은 스스로 본방 사수 하는 이들에게 '리모컨'을 쥐어 주는 셈이다. 유승민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였던 사람들은 트와이스의 시끌벅적한 신상 탐험기가 어이없고, 걸그룹이 궁금한 사람들에게 정치니 건배사니는 생뚱맞다. 과연 이런 콘텐츠의 상충되는 면을 어떻게 조화시켜 나갈지, 차라리 이럴 바에는 <냄비 받침> 내의 시즌제를 하던가, 모처럼 신선한 콘텐츠로 등장한 '독립 출판'이라는 아이디어가 잘 안착하기를 바란다. 
by meditator 2017. 6. 21. 15:04